종합(200대 부자 이미지).jpg

경제전문 주간지 ‘Business Review Weekly’(BRW)가 매년 발표하는 ‘호주 부자 리스트’ 조사 결과 상위 5대 부자의 총자산은 490억 달러로 지난해 390억 달러보다 무려 100억 달러가 늘어났다.


원자재 수요 감소로 자산 60억 달러 감소 불구

Business Review Weekly 조사, 호주 부자 리스트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철광석 재벌인 지나 라인하트(Gina Rinehart)씨가 호주 최고 부자 자리를 이어갔다.

경제전문 주간지 ‘Business Review Weekly’(BRW)가 매년 조사, 발표하는 호주 부자 리스트(BRW Rich 200 list)에 따르면 라인하트씨는 올해에도 부에 있어서는 호주 ‘최고’ 자리를 유지했다.

 

지난해 200억1천만 달러로 집계됐던 라인하트의 자산은 전 세계 원자재 수요 감소와 철광석 가격 인하로 무려 59억9천만 달러가 감소했지만, 140억2천만 달러라는 자산은 라인하트를 호주 최고 부자 자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부족함이 없었다.

 

지난 주 목요일(28일) 지나 라인하트씨는 NSW 주 대법원 판결로 50억 달러에 달하는 라인하트 가문 신탁기금의 운영권을 놓게 됐다. 지난 3년 이상 라인하트씨는 자녀들과 이 문제로 법적 소송을 벌여 왔으며, 이 신탁기금 관리는 애초 이 문제를 제기했던 장녀 비앙카씨가 맡게 됐다.

 

올해 두 번째 부자로 이름을 올린 이는 거대 판지상자 제조업체이자 재활용 회사인 ‘Visy’ 사의 앤서니 프랫(Anthony Pratt) 회장으로 올해 그의 자산은 107억6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프랫 회장의 자산은 76억4천만 달러에 이르렀지만 미국에서의 기업상황 호전으로 그의 자산은 100억 달러대로 크게 증가했다.

 

근래의 부동산 붐은 시드니를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개발업자 해리 트리거보프(Harry Triguboff)씨의 자산을 크게 불려 놓았다. ‘메리톤’(Meriton) 아파트로 유명한 트리거보프 회장의 자산은 지난해(55억 달러)보다 두 배가량 늘어난 102억3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웨스트필드’(Westfield) 쇼핑센터의 프랭크 로위(Frank Lowy) 회장은 78억4천만 달러로 네 번재 부자 자리를 이어갔다. 그의 자산은 ‘웨스트필드’와 ‘센터그룹’(Scentre)의 주식이며 또한 ‘Lowy Family Group’이라는 개인 회사를 통한 투자로 자산을 불렸다.

 

홍콩을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회사 ‘Shimao Property Holdings’의 후이 윙 마우(Hui Wing Mau) 회장의 부 역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남부 호주 대학교(niversity of South Australia)에서 MBA 학위를 얻은 그는 호주 시민권을 획득했으며, 곧 이어진 중국 상하이 및 베이징 부동산 붐으로 큰 부를 일궈 올해 다섯 번째 부자에 등극했다.

 

이들 상위 5위에 든 부자들의 전체 자산은 490억 달러로 지난해 ‘톱 5’ 부자들의 자산 합계 390억 달러에서 1년 사이 무려 100억 달러가 증가했다.

 

BRW의 이번 부자 리스트 조사에서는 여성 3명이 새로운 억만장자로 얼굴을 내밀었다. 레오니 발독(Leonie Baldock)과 알렉산드라 버트(Alexandra Burt) 자매가 17억 달러로, 새 억만장자로는 가장 높은 순위(22, 23위)에 올랐다. 서부 호주 퍼스(Perth) 기반의 이들 자매는 한때 철광석 재벌이자 지나 라인하트의 부친인 랭 핸콕(Lang Hancock)의 비즈니스 파트너였던 피터 라이트(Peter Wright)의 손녀, 마이클 라이트(Michael Wright)의 딸들이다.

 

또 다른 새 얼굴은 ‘플래티넘 자산관리’(Platinum Asset Management) 창업자인 커 넬슨(Kerr Neilson)과 이혼한 주디스 넬슨(Judith Neilson)씨로, 그녀가 보유한 ‘플래티넘’ 사의 주식은 15억5천만 달러에 달한다.

 

오래 전부터 ‘호주 부자’로서의 명성을 이어오고 있는 제임스 패커(James Packer)와 앤드류 포레스트(Andrew Forrest)의 경우, 상위 부자들 가운데 자산 감소가 가장 많았던 케이스다. 이들이 각각 운영하는 ‘Crown Resorts’와 ‘Fortescue Metals Group’의 주식가치 하락으로 이들의 자산은 크게 줄었다.

 

제임스 패커씨의 경우 지난해 자산은 71억9천만 달러로 네 번째 부자 대열에 올랐지만 올해의 경우 60억8천만 달러로 전체 순위에서는 7위로 내려앉았으며, 지난 해 58억6천만 달러로 7위였던 포레스트씨의 자산은 29억3천만 달러로 줄어 9위를 기록했다.

 

BRW가 집계한 상위 부자 200명의 평균 자산은 9억7470만 달러로 집계됐으며, 전체적으로 지난해의 9억6800만 달러와 큰 차이는 없었지만 상위 부자인 지나 라인하트와 제임스 패커, 포레스트씨의 자산이 엄청나게 감소한 점을 감안하면 그 외 억만장자들의 자산은 상당히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상위 200명’의 부자들 가운데 새로 등장한 신흥 부자는 정보기술 회사를 운영하는 패트릭 그로브(Patrick Grove. 2억8600만 달러)씨를 비롯해 총 1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주 목요일(28일) 200명의 상위 부자 리스트를 발표한 BRW는 올해 주목할 만한 새 억만장자로 ‘젊은 부자 리스트’의 데이브 그레이너(Dave Greiner)와 벤 리차드슨(Ben Richardson)을 언급했다. 소프트웨어 회사인 ‘캠페인 모니터’(Campaign Monitor)의 공동 설립자인 이들의 자산은 5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들이 개발한 전자메일 마케팅을 위한 프로그램은 현재 ‘BuzzFeed’, ‘Coca-Cola’ ‘Airbnb’ 등 거대 기업이 사용할 만큼 신뢰를 받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뉴욕의 벤터투자회사인 ‘Insight Venture Partners’ 사로부터 2억5천만 달러의 투자를 받기도 했다.

 


■ 톱 10 부자 리스트

(순위 / 이름 / 자산)

1. Gina Rinehart : 140억2천만 달러

2. Anthony Pratt & family : 107억6천만 달러

3. Harry Triguboff : 102억3천만 달러

4. Frank Lowy : 78억4천만 달러

5. Hui Wing Mau : 68억9천만 달러

6. Ivan Glasenberg : 61억4천만 달러

7. James Packer :60억8천만 달러

8. John Gandel : 44억 달러

9. Andrew Forrest : 28억3천만 달러

10. Stan Perron : 26억5천만 달러

 


■ 새 억만장자

(전체 순위 / 이름 / 자산)

22, 23. Leonie Baldock & Alexandra Burt : 17억 달러

26. Judith Neilson : 15억5천만 달러

32. Chris Wallin : 13억 달러

33. Jack Cowin : 12억8천만 달러

34. Ye Lipei : 12억6천만 달러

35. Nigel Austin : 12억4천만 달러

44. Brett Blundy : 10억9천만 달러

47. Con Makris & family : 10억3천만 달러

48. Greg Goodman & family : 10억2천만 달러

 


■ 젊은 부자 리스트

(전체 순위 / 이름 / 자산)

35. Nigel Austin : 12억4천만 달러

42. Mike Cannon-Brookes : 11억4천만 달러

43. Scott Farquhar : 11억3천만 달러

98. Greg Coffey : 5억3100만 달러

106, 107. David Greiner, Ben Richardson : 5억 달러

131, 132. Gabby & Hezi Leibovich : 4억3200만 달러

136. Steven Kalmin : 4억3천만 달러

137. Hilton Nathanson : 4억1500만 달러

138. Michael Boyd : 4억1300만 달러

 


■ 여성 상위 부자

(전체 순위 / 이름 / 자산)

1. Gina Rinehart : 140억2천만 달러

13. Vicky Teoh : 23억1천만 달러

22, 23. Leonie Baldock & Alexandra Burt : 17억 달러

26. Judith Neilson : 15억5천만 달러

27. Angela Bennett : 15억3천만 달러

66. Charlotte Vidor : 7억7천만 달러

99. Jamuna Gurung : 5억2800만 달러

101. Naomi Milgrom : 5억2600만 달러

104. Mary Fairfax : 5억1800만 달러

* 자료 : BRW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63 호주 한인 여대생 반은지 살해범 “나는 무죄, (우발적) 살인은 저질렀지만...” 톱뉴스 18.08.09.
962 호주 <인터뷰> 장재곤 변호사 “쫓기면 안돼, 적성에 맞아야 미래 그릴 수 있어” 톱뉴스 18.08.09.
961 뉴질랜드 6000명이 참석한 웰링톤 2018 K-Culture Festival 이모저모 NZ코리아포.. 18.08.11.
960 호주 “독립을 위한 선열들의 처절한 갈망과 희생이 광복 이끌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959 호주 ‘Australia-Korean Art Exhibition’ 개막, 8월23일까지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958 호주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소녀상 건립 2주년 기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957 호주 장항준-전고운... 유명 영화인들, 시드니 관객과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956 호주 세계웅변대회, 호주 대표단 큰 성과 거둬 톱뉴스 18.08.18.
955 호주 테너 이용훈의 오페라 ‘아이다’ 톱뉴스 18.08.18.
954 호주 반은지씨 참혹한 살인사건... 가해자 '조현병으로 심신미약' 주장 톱뉴스 18.08.18.
953 호주 ‘한호정경포럼’, 오는 10월 포럼 예정... 주제는 ‘북핵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952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골번 지역 ‘워홀러’ 방문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951 호주 마약원료 밀수혐의 한국 워홀러, 기소 중지로 석방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950 호주 호주한국영화제, 시드니-브리즈번 행사 폐막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949 뉴질랜드 결국 정부 등 외부로 넘어가는 한인회 분쟁 file 선데이타임즈 18.08.23.
948 호주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통일 여론조사 실시 톱뉴스 18.08.23.
947 호주 마약원료 밀수 시도 혐의 한국 여성 ‘무혐의’...수감 212일 만에 석방 톱뉴스 18.08.23.
946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한국인 등산객 구조유공자 감사패 전달 톱뉴스 18.08.23.
945 호주 한인 여대생 반은지 살해범 ‘종신형’ 선고 받아 톱뉴스 18.08.23.
944 호주 NZ교민자녀조슈아김,호주Dance Boss결승전진출 일요시사 18.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