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야곱병 1).jpg

지난 5월 병원에 입원한 뒤 크로이츠펠트 야곱병 진단을 받은 프랭크 버튼(Frank Burton)씨. 현재 로얄 프린스 알프레드 병원(Royal Prince Alfred Hospital)에 입원 중인 그는 심각한 상태로 알려졌다. 사진은 채널 10 뉴스 화면.


발병확률, 100만 명 중 한 명꼴... 50~70세 대부분

 


한 시드니 남성이 비교적 희귀질환인 크로이츠 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 진단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질병은 신체와 정신 기능이 저하되다가 죽음에 이르는 뇌 질환으로 광우병 증상과 유사하다.

 

금주 수요일(8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현재 로얄 프린스 알프레드 병원(Royal Prince Alfred Hospital)에 입원 중인 올해 63세의 프랭크 버튼(Frank Burton)씨는 수 주 전 크로이츠펠트 야곱병 진단을 받았으며 현재 심각한 상태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호주 풋볼(Australian rules football) 클럽 ‘사드니 스완스’(Sydney Swans)의 재무 책임자로 근무하던 버튼 씨는 지난 5월 보도를 걷다 넘어져 병원에서 진료를 받던 가운데 희귀 퇴행성 질병으로 진단을 받고 입원했다. 그가 광우병과 유사한 크로이츠펠트 야곱병이라는 사실은 금주 화요일(7일) 공개됐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CJD는 전염성이 거의 없으며 병원 대변인도 감염의 위험은 없다고 발표했다. 실제로 이 병은 공기 중 전염이나 신체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고 다만 환자의 뇌 조직이나 뇌척수액에서 옮겨지기 때문에 감염 위험은 거의 없는 셈이다.

 

버튼씨의 친구인 피터 코고이(Peter Kogoy)씨는 채널 10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버튼 씨를 치료하는 의사는 버튼 씨가 어떻게 이 병에 걸렸는지 모르고 있다”고 말했다.

 

CJD는 전염성 해면 뇌병증(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ies. TSEs)으로 알려진 질병 그룹의 하나 또는 환자의 뇌에서 감염되는 프리온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광우병(Mad cow disease) 또한 소의 해면뇌병증으로 알려진 TSE의 한 타입이며 인간 CJD의 변형이다.

 

현재 CJD에 대한 치료법은 없으며 대부분 환자는 치매와 보행장애 증상을 보이다가 보통 6개월 또는 이내 사망하기도 한다.

 

코고이씨는 채널 10에서 버튼 씨의 현재 상태에 대해 “혼자서 옷을 입거나 음식을 먹을 수 없으며 24시간 내내 누군가 옆에서 지켜줘야 한다”고 말했다.

 

호주에서 진단되는 CJD 발병 케이스는 매년 20건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볼 대 호주에서의 발병 확률은 100만 명 중 한 명 정도이며, 이제까지 사례를 보면 50~70세 사이에 주로 나타났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43 뉴질랜드 러브앤피스 창단 10주년 기념 콘서트...“끝날 때마다 기적이었다” NZ코리아포.. 18.06.09.
1042 뉴질랜드 25회 YBA 농구대회 성료 NZ코리아포.. 18.06.11.
1041 뉴질랜드 옥타 차세대 강연, 김정근교수의 "리테일러의 효과적인 마케팅"열려 NZ코리아포.. 18.06.11.
1040 호주 주호주한국대사관, ‘전환의 시대, 한-호 관계’ 심포지엄 개최 톱뉴스 18.06.11.
1039 호주 [포토뉴스] 더콰이엇X도끼, 시드니를 열광시킨 스웨그 톱뉴스 18.06.11.
1038 호주 20대 한국 워홀러 여성, 실종 엿새만에 극적 구조 톱뉴스 18.06.11.
1037 호주 한국 이니스프리 직영매장 멜버른 진출 톱뉴스 18.06.11.
1036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인회, 임시총회 결과 '무효'선언 NZ News Today 18.06.14.
1035 호주 ‘부시 워킹’ 계획하세요? 톱뉴스 18.06.17.
1034 호주 ‘역사적 만남’ 북미 정상회담…… 차세대 호주 한인들의 반응은? 톱뉴스 18.06.17.
1033 호주 <민주평통 아세안지역회의> 북미정상회담 후속 활동 잰걸음 톱뉴스 18.06.17.
1032 호주 윤상수 총영사, 독립유공자 후손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1031 호주 광복회 호주지회, 산하 ‘차세대네트워크’ 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1030 호주 총영사관, 올해는 QLD 한국전 참전용사와 함께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1029 호주 기획- 벤디고 한인 커뮤니티 은행①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1028 뉴질랜드 강원국 작가 초청 강연회 동포들과 좋은 시간 가져. NZ코리아포.. 18.06.23.
1027 호주 호주한인차세대네트워크(KAYN)출범식 16일 열려 톱뉴스 18.06.25.
1026 호주 [본사 방문] 산림청 공무원 톱 미디어 방문...산불 보도 현황 파악 톱뉴스 18.06.25.
1025 호주 시드니 곳곳 "대~한민국" 응원전 열기 한껏 톱뉴스 18.06.25.
1024 뉴질랜드 '즐길 수 있는 직업을 가져라',워홀러 대상 워크샵 및 취업박람회 열려 NZ코리아포.. 18.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