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청소년 자살 1).jpg

주 젊은이들의 자살률이 10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으며, 이 기간 동안 여성 자살률 또한 두 배 이상 증가했다는 보고서가 나와 이의 예방을 위한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멜번대학교 정신건강센터 보고서... ‘새 예방책 필요’ 촉구

 

호주 젊은이들의 자살률이 10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으며, 정부 차원의 새로운 예방책이 필요하다는 새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이번 보고서는 멜번대학교 ‘오리진 청년 정신건강센터’(Orygen Youth Mental Health Centre) 조사 결과로, 효과 없는 정부의 현 시스템을 점검하고 새로운 자살 예방책을 마련하자는 취지이다.

‘오리진’의 자살예방연구 대표인 조 로빈슨(Jo Robinson) 박사는 현 자살예방 시스템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그는 “청소년 자살 방지를 위해 국가적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청년 자살을 막을 정부 차원의 새로운 접근법을 촉구했다.

동 보고서는 여전히 남성의 자살률이 여성보다 높은 편이지만, 여성 자살률이 10년 동안 두 배 이상 증가했다는 것을 강조했다. 또한 자살이 성인보다 청소년에게서 두 배 더 빈번히 발생하며, 원주민과 토러스 해협 도서민(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내륙 먼 외딴 지역 청소년들이 가장 위험한 상황에 처해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퀸즐랜드(Queensland) 주 내륙 중앙 지역이 한 외딴 마을에서는 2010~12년 사이 21명의 젊은이들이 자살했으며, 서부 호주(WA) 북부에 위치한 한 마을에서는 같은 시기에 15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조 로빈슨 대표는 “예산을 늘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용처의 초점을 재점검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시드니대학교 ‘뇌-정신센터’(The Brain and Mind Centre)의 이안 히키(Ian Hickie) 교수도 이에 동의했다. 그는 “자살률이 지금의 두 배가 넘었던 1990년대에 새로운 접근 방법을 통한 방지 노력이 있었다”면서 “청(소)년 자살을 성공적으로 감소시킨 당시의 노력을 당연시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호주국립대학(ANU)의 리차드 번스(Richard Burns) 박사는 “이번 보고서를 주의 깊게 봐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10대 소년의 자살률이 2배 증가했지만 이는 상대적으로 특히 낮은 수치를 보였던 2004-05년과 비교했기 때문”이라며 “이 기간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여성의 자살률은 상대적으로 낮아 작은 증가세도 크게 보일 수 있다”고 덧붙이면서 “2015년, 10대 여성 자살률이 두 배 증가하며 급증했지만 이것이 트렌드라고 말하기에는 아직 몇 년을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아들 잃은 어머니,

“그는 괜찮아 보였다...”

 

리사(Lisa)씨의 아들 엘리엇(Elliot)은 18세가 되기 며칠 전인 12학년(Year 12), 기말고사를 일주일 앞두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학교 학생회장이었던 아들이 자살할 것이라고는 전혀 눈치 채지 못했다.

 

종합(청소년 자살 2).jpg

18세 아들의 자살을 겪은 리사(Lisa)씨. 그녀는 아들이 죽기 직전까지도 아무런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면서 청소년 자살을 막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다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사씨는 “아들이 불안해하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렇게 심각한 줄은 몰랐고, 한 번도 말을 한 적이 없었기에 괜찮은 줄 알았다”며 “조금 약한 아이이긴 했지만 우리가 강하게 키웠다고 생각했기에 정말 갑작스러웠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청소년 자살을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해야 한다”고 간곡히 부탁했다.

이번 보고서는 청소년 자살예방 전략에 중점을 둔 국가차원의 자살방지 대책을 촉구하고 자살 위기에 처한 청소년을 위한 상담센터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빈슨 박사는 “자살예방센터가 부족해 매년 수만 명이 상담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그 중 일부는 결국 비극적인 결말을 택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한 온라인 상담서비스를 구축해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경로의 예방 노력을 제안했다.

로빈슨 박사는 “온라인이 젊은 사람들에게 더 접근성이 있고 효과적”이라며 온라인 플랫폼이 가져올 수 있는 해로운 측면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정부의 입장에 대해 “신중한 결정도 필요하지만 지금은 기술이 제공하는 여러 기회를 살펴봐야할 시기”라고 말했다.

 

자해 수치도 크게 증가

 

보고서는 또한 “자살률의 증가는 자해도 함께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 다. 최근 여성의 자가중독으로 인한 입원 사례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로빈슨 박사는 “자해 문제는 지역 커뮤니티와 의료서비스 분야에서 심각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자해로 병원에 실려간 청소년들 중에는 응급실에서 페퍼 스프레이(호신용 분사액체)를 맞고 진통제도 없이 봉합 수술을 받았다는 보도가 있었다”며 병원이 이들을 적절하게 대우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청소년 자해는 자살로 이어지는 위험요소”라고 강조하면서 “자해에 대해 ‘관심 받기 위한 행동’이라는 분석이 있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 호주 자살 관련 통계

-10년 동안 15-24세 자살률 최고조

-전체 사망자의 3분의 1은 청소년 자살

-12~17세 청소년 41,000명 자살 시도

-5~19세 여성 자살률, 2005년보다 두 배 증가

-14세 이하 어린이 자살률 증가

-16~17세 여성의 4분의 1이 자해

-원주민, 토레스 해협 도서민(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LGBTIQ(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인터섹스, 퀴어)에서 심각한 정신적 문제를 가진 청소년 다수

 

■ 관련 상담기관

-생명의 전화 : 13 11 14

-어린이 도움의 전화 : 1800 551 800

-호주 상담 전화(MensLine) : 1300 789 978

-자살 콜백 서비스 : 1300 659 467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청소년 자살 1).jpg (File Size:16.9KB/Download:41)
  2. 종합(청소년 자살 2).jpg (File Size:92.4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01 호주 ‘누가 무엇을 얻는가’의 논쟁... 호주 명예훈장 시스템의 놀라운 역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0 호주 시드니의 ‘sea and tree changers’, 지방지역 주택가격 상승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9 호주 ‘코어로직’의 1월 주택 관련 자료를 통해 전망하는 올해 주택시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8 호주 2021년도, 가장 높은 주택가격 성장을 기록한 5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7 호주 팬데믹으로 인한 록다운 기간 중 호주인 맥주 소비량,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6 호주 팬데믹 이후 퀸즐랜드 주 ‘노인학대 헬프라인’ 신고, 거의 32%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5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세계적 수준의 야외 음악회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4 호주 “우리 지역 스몰비즈니스 지원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하고자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3 호주 백신자문그룹, 16-17세 청소년 대상으로 ‘화이자 백신’ 추가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2 호주 국경 완화 이후 국제학생 입국 증가... 업계, “더 많은 유학생 유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1 호주 검고 시퍼런 멍으로 묘사한 인종차별과 회복력에 대한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0 호주 시드니 거주자들이 느끼는 주택 압박감, 뉴욕-런던 시민보다 크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9 호주 호주, 2월 21일부터 각국 여행자에 검역 절차 없이 입국 허용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8 호주 “올해는 코로나 바이러스 재조정의 해가 될 것...” 전염병 전문가들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7 호주 광역시드니 중간 주택가격 160만 달러... 성장세는 둔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6 호주 ‘워킹 홀리데이’ 비자 신청 및 발급 급증에도 농장 노동력 부족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5 호주 호주의 각국 여행자 입국 허용... Here's who can travel, and when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4 호주 20년 후 광역시드니 인구, 폭발적 증가 예상... 기반시설 압박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3 호주 COVID-19 예방주사, ‘완전 백신접종’ 대신 ‘최근 접종’ 용어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2 호주 덴마크의 COVID-19 데이터, 팬데믹 사태의 끝을 보여준다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1 호주 “노동당 알바니스 대표는 올해 총선에서 승리, 차기 총리에 오를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0 호주 2021년 12월 분기 브리즈번 주택가격, 18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079 호주 호주에서 주택가격 가장 높은 일부 교외지역 중간 가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078 호주 팜비치 거주자들, 주택 보유 만으로 지난해 177만 달러 불로소득 챙겨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077 호주 CB City 카운슬의 '혁신적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인정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076 호주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등 NSW COVID 제한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075 호주 새로운 저가 항공사 ‘Bonza Airlines’, 국내 지역 항공 서비스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074 호주 내년부터 호주 교육과정에 ‘동의 교육’ 추가, 연방-주 정부의 일치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073 호주 성별 임금격차 논란 지속되지만... 남성 급여, 여성보다 높을 가능성 ‘2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072 호주 영국인들의 호주 여행에 대한 관심, 이전과는 사뭇 다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071 호주 해외 출생 이민자, 호주 태생에 비해 COVID-19에 의한 사망 위험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070 호주 ‘국가안보’를 무기로 한 집권당의 정치 공격 불구, 노동당 지지기반 ‘견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069 호주 해외 부동산 화제- 런던의 초소형 아파트, 온라인 경매서 9만 파운드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1068 호주 지난해의 ‘sea changes’ 바람... 주택거래 금액 가장 높았던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1067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당국, COVID-19 예방치료제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1066 호주 국제여행자 입국 완화 불구 호주 여행업계 ‘불안감’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1065 호주 NSW 주 COVID 방역 규정 위반 벌금, 시드니 서부-지방 지역서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1064 호주 “마스크 착용이 마음 편하다” 일부 코비드 제한 유지 의견 다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1063 호주 ‘Service NSW’에서 제공하는 800달러 상당의 바우처,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1062 호주 버클루즈 소재 호화 맨션, 6천200만 달러 판매... 호주에서 6번째 매매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61 호주 임대수익 위한 아파트 투자... 시드니 지역 상위 10개 추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60 호주 광역시드니 4분의 1 이상 서버브 중간 주택가격, 200만 달러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9 호주 “신의 경지에 이른 예술의 최고봉... 많은 희망을 가져다주는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8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하버 브릿지 완공 90년 기념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7 호주 점토판 기록물에서 디지털 시대로... 인류 공공도서관의 놀라운 역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6 호주 QLD 제2의 도시 골드코스트, 여전히 ‘Regional’로 간주되어야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5 호주 역사적 재난과의 비교를 통해 보는 COVID 팬데믹, 어떤 도움이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4 호주 시드니의 ‘모기지 보증금’으로 ‘내집 마련’이 가능한 호주 내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53 호주 NSW 주 정부, 취약 지역사회 대상으로 추가 ‘COVID-19 자금 지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52 호주 피부암 일종인 '흑색종'에 의한 남성 사망 위험, 여성에 비해 두 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