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거주민 이동 1).jpg

광역 시드니 각 지역별 거주민의 유출 비율 집계 결과 서덜랜드 샤이어(Sutherland Shire)의 인구 유출이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3대째 서덜랜드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알란 스티지(Alan Steege)씨의 가족.


ABS 분석... 노스 시드니-스트라스필드 가장 높아

 


광역 시드니의 각 카운슬별 인구 이동 상황을 알아보는 자료가 발표됐다.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에 따르면 지역 주민들 스스로 ‘하느님의 영토’(God's own country)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서덜랜드 샤이어’(Sutherland Shire)의 인구 유출이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 금요일(28일), ABS 통계를 인용한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13-14 회계연도 기간, 서덜랜드 지역에서 외부로 빠져나간 거주민은 전체 인구의 4.3%로 임은 물론 광역 시드니 41개 카운슬 가운데 가장 적은 비율로, 이는 광역 시드니 전체 평균의 절반 수준이었다.

 

이 같은 통계는 서덜랜드 샤이어에서 태어난 이들의 경우 광역 시드니 다른 어느 지역에 비해 서덜랜드 샤이어 거주를 희망한다는 의미이다.

 

알란 스티지(Alan Steege)씨의 가족은 이 같은 경향을 보여주는 거주민으로 꼽힌다. 그는 1950년대 중반 크로눌라(Cronulla)에서 서덜랜드 지역으로 이주했으며, 그의 두 동생과 세 아들, 10명의 손자손녀들 모두 현재까지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스티지씨는 “이 지역 사람들은 서덜랜드에 거주하는 것에 만족하며 이곳에서 계속 거주하기를 원하고 있다”면서 “주거 지역으로 서덜랜드를 좋아하지 않는 이들은 아주 특별한 일부일 뿐”이라고 말했다.

 

해안을 좋아하는 호주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듯 노던 비치(Northern Beaches) 지역, 그리고 불루마운틴(Blue Mountains)과 펜리스(Penrith) 또한 인구 유출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스 시드니(North Sydney) 지역의 인구 유출은 11.6%로 광역 시드니에서 가장 높았으며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 11.4%), 시드니 시티(City of Sydney, 11.1%), 애쉬필드(Ashfield, 11.1%)가 뒤를 이었다.

 

호주 통계청의 인구 학자 앤드류 호우(Andrew Howe) 박사는 서덜랜드 샤이어의 지리적 특성이 이 지역 거주 인구의 안정성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했다.

호우 박사는 “서덜랜드 샤이어는 타스만 해(Tasman Sea)와 면해 있으며 조지 강(Georges River)과 로얄 국립공원(Royal National Park)을 끼고 있어 자연풍광이 빼어나다”면서 “이 같은 지리적 여건이 인구 유출이 적은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했다.

 

통계청의 데이터는 또한 서덜랜드 샤이어 지역에서 거주하다 떠난 이들도 이곳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으로 이주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2013-14년도 서덜랜드에서 이주한 이들의 40%가량은 조지 강과 인접한 4개 카운슬 지역에 정착했다.

 

호우 박사는 이어 “서덜랜드 샤이어에서 이주한 이들 중 2%가량은 노던 비치 지역에 정착했다”면서 “이는 서덜랜드가 갖고 있는 지리적 특성과 유사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서덜랜드 샤이어의 켄트 존스(Kent Johns) 시장은 샤이어 지역의 인구 유출이 적다는 통계는 그리 놀랄 만한 일이 아니라고 말했다. 존스 시장은 “우리 지역으로 이주해 온 주민들은 다음 세대까지 이곳에 계속 거주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이곳으로 이주한 뒤 네 아이들을 낳고는 지금까지 거주하는 나도 그런 하나의 예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덜랜드에서 부동산 감정사로 일하다가 은퇴한 스티지씨의 두 아들도 이 지역의 직장에서 일하고 있다. 그는 “오래 거주하다 보니 이웃과 아주 가깝고 서로 도와주려는 경향이 강하다”며 “마치 커다란 시골 타운처럼 정겨움이 있다”고 말했다.

 

호우 박사는 올해 처음 분석한 통계청의 이 같은 통계는 시드니 지역별 인구이동에 관한 전망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의 새로운 통계 자료는 보다 풍부한 호주 내 각 지역의 인구 이동에 대한 경향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번 통계에서 파라마타 카운슬의 경우 지난 2013-14년 한 해 동안 인구 유출 및 유입에서 가장 많은 인구 이동이 있었던 지역으로 꼽혔다. 파라마타 카운슬에서 이주한 이들이 가장 많이 이주한 지역은 블랙타운(Blacktown) 카운슬 지역으로, 이주 수로는 4천700명에 달했으며, 반대로 블랙타운에서 파라마타 지역으로 유입된 이들은 3천100명이었다.

 


■ 각 지역별 거주민 유출 비율

(기간 : 2013-14 회계연도)


-Ashfielf 11.1%

-Auburn : 9.6%

-Bankstown 6.8%

-Blacktown 6.5%

-Blue Mts 5.7%

-Botany Bay 8.5%

-Burwood 10.6%

-Camden 6.2%

-Campbelltown 6.4%

-Canada Bay 8.9%

-Canterbury 8.4%

-Fairfield 6.2%

-Holroyd 9.5%

-Hornsby 7.1%

-Hunters Hill 8.0%

-Hurstville 8.4%

-Kogarah 9.5%

-Ku-ring-gai 7.2%

-Lane Cove 9.9%

-Leichhardt 9.9%

-Liverpool 7.1%

-Manly 9.1%

-Marrickville 10.7%

-Mosman 9.8%

-North Sydney 11.6%

-Parramatta 10.2%

-Penrith 5.8%

-Pittwater 6.1%

-Randwick 7.8%

-Rockdale 8.6%

-Ryde 8.3%

-Strathfield 11.4%

-Sutherland 4.3%

-Sydney 11.1%

-The Hills 7.3%

-Warringah 5.9%

-Waverly 9.0%

-Willoughby 9.7%

-Woollahra 9.7%

*Source : ABS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83 호주 “이건 정말 기적이다” 정현4강 네티즌열광 file 뉴스로_USA 18.01.24.
1182 호주 브리즈번 순회 영사, 2월 1, 2일 톱뉴스 18.01.26.
1181 호주 '1987', 뜨거운 감동 전하며 호주서도 꾸준한 흥행 질주 中 톱뉴스 18.01.26.
1180 호주 세계어린이문화예술축제, 시드니 개최 톱뉴스 18.01.26.
1179 호주 임금착취 스시업체, 약 20만 달러 벌금 물게 돼 톱뉴스 18.01.26.
1178 호주 조세핀 폭포, 강물에 휩쓸려 한국인 관광객 사망 톱뉴스 18.01.26.
1177 호주 “평창 올림픽 통해 남북 화해의 길 열리길“ 톱뉴스 18.01.26.
1176 뉴질랜드 남여 주니어 이장현과 정다래, 헤이스팅스 오픈에서 우승 NZ코리아포.. 18.01.30.
1175 호주 시드니 각 교회-단체 배구팀, 경기 통해 친선 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1174 호주 호바트 시 ‘설 행사’에 ‘평택 농악팀’ 최초 공연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1173 호주 평통 아세안 지역회의, 통일 체험-올림픽 참관 차세대 선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1172 호주 시드니 공관 및 정부 기관, 올해 활동-사업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1171 호주 평통 아세안 지역회의, 통일 체험 및 올림픽 참관 자녀 선발 톱뉴스 18.02.02.
1170 뉴질랜드 2018 신년 하례회, 교민화합의 장 NZ코리아포.. 18.02.06.
1169 호주 총영사관, 탐워스 ‘워킹 홀리데이 상담원’ 위촉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1168 호주 한국 ‘재외동포법’ 개정, ‘F-4 비자’ 자격 요건 바뀌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1167 호주 캔버라 동포들, 다문화 축제서 평창-한국문화 홍보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1166 호주 브리즈번 남성, 워홀러 한국여성 2주간 감금한 채 무차별 강간 폭행 톱뉴스 18.02.10.
1165 호주 [평창동계올림픽]호주쇼트트랙대표 앤디정에 후원 이어져 톱뉴스 18.02.10.
1164 호주 호주 대사 조기 교체…호주한인사회 “당혹감” 신임 대사에 이백순 전 국회의장 특임대사 톱뉴스 18.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