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HSC 1).jpg

NSW 주 하이스쿨 학생들의 대학입학을 가름하는 2016 HSC 시험 결과가 발표됐다. 올해에도 90점 이상의 고득점자 비율에서 ‘제임스 루스 농업고등학교’(James Ruse Agricultural High School)가 73%로 21년 연속 최고 점수 행진을 이어갔다. 사진은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의 이번 시험 결과 분석(동 사의 인터넷 방송 화면 캡처).

 

90점 이상 고득점자 비율 73%, 21년째 ‘부동의 1위’ 이어가

 

NSW 주 하이스쿨 학생들의 대학입학을 가름하는 2016 HSC(Higher School Certificate) 시험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주 목요일(15일) 나온 이번 시험 결과에 따르면 올해에도 ‘제임스 루스 농업고등학교’(James Ruse Agricultural High School)가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

NSW 주 전역 6만8천여 명의 학생이 응시한 올해 HSC에서는 여전히 셀렉티브 스쿨(Selective School) 학생들이 상위권을, 사립학교들(independent schools)이 그 뒤를 이은 가운데, 칼링포드(Carlingford) 소재 셀렉티브 스쿨인 제임스 루스는 고득점(90점 이상)자 비율이 전체 73%를 넘는 기록적인 성과로 21년 연속 부동의 1위를 지켰다.

특히 제임스 루스의 이번 성적은 ‘21년 연속 HSC 고득점자 최다 배출’에서 나아가 2위 학교와의 격차를 10%나 벌리는 ‘안정적인 선두’라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2009년 이후 노스 시드니 보이스(North Sydney Boys)가 5년 전 제임스 루스와 7% 이내의 격차를 기록하며 가장 근접하게 따라잡기는 했지만, 지난 4년 간 제임스 루스는 2위 학교와의 격차를 다시금 최소 10% 앞지르며 ‘칼링포드의 슈퍼스타’ 자리를 유지해왔다. 반면 2위와 3위 학교와의 격차는 3~6%를 맴돌았다.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 분석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수준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평가되는 학교 중 상위권에 든 학교에는 캔리베일(Canley Vale), 보니릭 하이스쿨(Bonnyrigg High School), 쿠나바라브란(Coonabarabran)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성별 비교분석 결과 ‘Band 6’(90점 이상) 점수 분포도에서 70%의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의 남학생들이 여학생보다 높은 성적을 보였으나 점수 차는 크지 않았다.

상위 20위권 학교 중 연속 10위권을 유지해온 버큼힐스(Baulkham Hills)는 올해 2위를 기록했고, 노스 시드니 보이스(North Sydney Boys), 노스 시드니 걸스(North Sydney Girls)가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시드니 그래머(Sydney Grammar)는 종합 6위를 기록, 최고 사립학교로 등극했으며 첼튼햄걸스(Cheltenham Girls)는 53위로, 비셀렉티브 공립학교(comprehensive public school) 중 최고 자리에 올랐다.

상위 20권에서 가장 큰 변화는 16단계가 하락한 PLC(Presbyterian Ladies' College)였다. 기라윈(Girraween) 고등학교는 12단계가 내려가 상위 10권에서 벗어났고, 상위 5위를 유지했던 명문고 시드니 걸스(Sydney Girls)도 10단계 하락, 13위를 기록하는 등 순위의 등락도 눈에 띄었다.

한편 최근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호주 학생들의 학업성적 하락세로 호주 교육계에 실망스런 분위기가 감도는 가운데 NSW 교육위원회(Board of Studies NSW)의 톰 알레고나리아스(Tom Alegounarias) 위원장은 올해 HSC 결과에 대해 긍정적인 분석을 내놓았다.

그는 “HSC의 점수로 영국의 옥스퍼드 및 캠브리지 대학교에 지원할 수 있고, 미국의 프린스턴과 하버드에 진학할 수 있다”며 “HSC 상위권 학생들은 세계 최고 수준에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것이 다른 시험들과 다른 HSC의 차별성이고 호주 학생들이 목을 매는 이유”라는 알레고나리아 회장은 “학생들은 10학년까지 시험에 크게 관심이 없다가 11학년이 되어야 비로소 시험 볼 자세와 준비를 갖추기 시작한다”며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는 15세 학생 대상의 국제시험 결과는 호주 학생들의 참 실력을 정확히 나타내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NSW 주 교육부는 지난 주 수요일(14일) 올해 HSC 시험 113개의 각 과목에서 최고 점수를 받은 124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이 중 11%가 상위 등급(‘Band 6’ 또는 E4)을 받았다. 이어 다음날인 목요일(15일) 아침 6만7천명 이상의 학생들이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을 통해 개개인의 HSC 시험 점수를 통보받았으며, 이중 5만5,961명이 다음날 오전 9시 대입순위(ATAR) 자격을 부여받았다.

올해 HSC에서는 약 80%의 학생들이 수학 과목을 치뤘고, 90%가 최소 하나의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관련 과목)에 응시했다. 전체 응시생 중 약 4%는 최소 기준점수에 미달해 내년도 HSC 응시자격을 박탈당했다.

 

■ 2016 HSC 상위 학교 순위

(순위, 학교 : 90점 이상 득점자 비율)

1. James Ruse : 73.1%

2. Baulkham Hills : 62.3%

3. North Sydney Boys : 59.2%

4. North Sydney Girls : 52.4%

5. Hornsby Girls : 51.5%

6. Sydney Grammar : 50.4%

7. Sydney Boys : 49.8%

8. Reddam House : 49.4%

9. N. Beaches(Manly) : 48.9%

10. Conservatorium : 46.5%

11. Normanhurst Boys : 45.7%

12. SCEGGS Darlinghurst : 45.3%

13. Sydney Girls : 43.4%

14. Abbotsleigh : 43.2%

15. Wenona : 43.1%

16. Kambala : 43.0%

17. St George Girls : 41.6%

18. Ascham : 40.1%

19. Queenwood Girls : 39.0%

20. Girraween : 39.0%

Source : BOSTES merit lists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HSC 1).jpg (File Size:38.8KB/Download:3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51 호주 ‘Snow Medical Research Foundation’, 자금지원 대상서 멜번대 제외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50 호주 피부암 일종인 '흑색종'에 의한 남성 사망 위험, 여성에 비해 두 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49 호주 NSW 주 정부, 취약 지역사회 대상으로 추가 ‘COVID-19 자금 지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48 호주 시드니의 ‘모기지 보증금’으로 ‘내집 마련’이 가능한 호주 내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47 호주 역사적 재난과의 비교를 통해 보는 COVID 팬데믹, 어떤 도움이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6 호주 QLD 제2의 도시 골드코스트, 여전히 ‘Regional’로 간주되어야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5 호주 점토판 기록물에서 디지털 시대로... 인류 공공도서관의 놀라운 역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4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하버 브릿지 완공 90년 기념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3 호주 “신의 경지에 이른 예술의 최고봉... 많은 희망을 가져다주는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2 호주 광역시드니 4분의 1 이상 서버브 중간 주택가격, 200만 달러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1 호주 임대수익 위한 아파트 투자... 시드니 지역 상위 10개 추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0 호주 버클루즈 소재 호화 맨션, 6천200만 달러 판매... 호주에서 6번째 매매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39 호주 ‘Service NSW’에서 제공하는 800달러 상당의 바우처,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8 호주 “마스크 착용이 마음 편하다” 일부 코비드 제한 유지 의견 다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7 호주 NSW 주 COVID 방역 규정 위반 벌금, 시드니 서부-지방 지역서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6 호주 국제여행자 입국 완화 불구 호주 여행업계 ‘불안감’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5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당국, COVID-19 예방치료제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4 호주 지난해의 ‘sea changes’ 바람... 주택거래 금액 가장 높았던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3 호주 해외 부동산 화제- 런던의 초소형 아파트, 온라인 경매서 9만 파운드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2 호주 ‘국가안보’를 무기로 한 집권당의 정치 공격 불구, 노동당 지지기반 ‘견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31 호주 해외 출생 이민자, 호주 태생에 비해 COVID-19에 의한 사망 위험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30 호주 영국인들의 호주 여행에 대한 관심, 이전과는 사뭇 다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29 호주 성별 임금격차 논란 지속되지만... 남성 급여, 여성보다 높을 가능성 ‘2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28 호주 내년부터 호주 교육과정에 ‘동의 교육’ 추가, 연방-주 정부의 일치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27 호주 새로운 저가 항공사 ‘Bonza Airlines’, 국내 지역 항공 서비스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26 호주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등 NSW COVID 제한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25 호주 CB City 카운슬의 '혁신적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인정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24 호주 팜비치 거주자들, 주택 보유 만으로 지난해 177만 달러 불로소득 챙겨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23 호주 호주에서 주택가격 가장 높은 일부 교외지역 중간 가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22 호주 2021년 12월 분기 브리즈번 주택가격, 18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21 호주 “노동당 알바니스 대표는 올해 총선에서 승리, 차기 총리에 오를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5720 호주 덴마크의 COVID-19 데이터, 팬데믹 사태의 끝을 보여준다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5719 호주 COVID-19 예방주사, ‘완전 백신접종’ 대신 ‘최근 접종’ 용어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5718 호주 20년 후 광역시드니 인구, 폭발적 증가 예상... 기반시설 압박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5717 호주 호주의 각국 여행자 입국 허용... Here's who can travel, and when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5716 호주 ‘워킹 홀리데이’ 비자 신청 및 발급 급증에도 농장 노동력 부족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5715 호주 광역시드니 중간 주택가격 160만 달러... 성장세는 둔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5714 호주 “올해는 코로나 바이러스 재조정의 해가 될 것...” 전염병 전문가들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13 호주 호주, 2월 21일부터 각국 여행자에 검역 절차 없이 입국 허용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12 호주 시드니 거주자들이 느끼는 주택 압박감, 뉴욕-런던 시민보다 크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11 호주 검고 시퍼런 멍으로 묘사한 인종차별과 회복력에 대한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10 호주 국경 완화 이후 국제학생 입국 증가... 업계, “더 많은 유학생 유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09 호주 백신자문그룹, 16-17세 청소년 대상으로 ‘화이자 백신’ 추가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08 호주 “우리 지역 스몰비즈니스 지원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하고자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07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세계적 수준의 야외 음악회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06 호주 팬데믹 이후 퀸즐랜드 주 ‘노인학대 헬프라인’ 신고, 거의 32%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05 호주 팬데믹으로 인한 록다운 기간 중 호주인 맥주 소비량,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04 호주 2021년도, 가장 높은 주택가격 성장을 기록한 5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03 호주 ‘코어로직’의 1월 주택 관련 자료를 통해 전망하는 올해 주택시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5702 호주 시드니의 ‘sea and tree changers’, 지방지역 주택가격 상승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