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화 메인.jpg

인류는 구석기 시대부터 동굴 벽면 등에 그림을 남겼다. 20세기 들어 이 벽화는 국가 이념을 대중들에게 쉽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활용되었으며 오늘날에는 거리 미관을 바꾸고 지역 사람들에게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는 수단으로 확산되고 있다. 거리 예술가가 애들레이드(Adelaide)의 한 건물에서 벽화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

 

거대한 벽화 하나로 거리 풍경을 바꾸어놓다

 

인류가 벽에 그림을 그려온 것은 구석기 때부터였다. 전 세계 곳곳의 동굴벽화가 이를 증명한다. 당시 동굴 등의 벽화는 주로 동물 형상으로, 이는 풍요를 기원하거나 숭배의 대상이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혹은 사냥을 하고자 하는 동물을 그린 것으로도 보여진다. 사실 이 동굴의 벽화는 당시 어떤 동물들이 있었는지를 짐작케 하고 또 사람들이 어떤 사냥도구를 사용했는지를 알게 하는 주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고구려 구분벽화, 신라 왕릉에서 발견된 그림들만 봐도 이를 짐작케 한다.

오늘날, 이 벽화는 ‘사회적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새로운 관심을 받고 있다. 공공장소의 건물이나 담, 길거리 위를 장식하는 거리 예술이 일반 대중에게 상징적 메시지를 잘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이다. 이 때문에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통치이념을 상징하는 벽화에 집중하기도 했다. 물론 사회주의 국가뿐 아니다. 20세기 초 멕시코는 혁명 직후 벽화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혁명을 통해 구성한 새 정부는 대중교육 및 계몽이라는 취지에서 문화장려 정책을 펼쳤는데 그 일환으로 주요 장소 곳곳에 멕시코의 역사, 신화를 담은 수많은 벽화를 선보였다.

벽화는 여기서 머물지 않고 ‘도시 미관’이라는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낙후된 지역이 벽화 하나로 유명 관광지가 된 사례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부산 감천마을, 통영 동피랑 마을, 서울 이화동 골목, 청주 수암골 벽화는 마을의 아름다움을 살려내면서 여행객까지 끌어들이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분명, 거리 예술은 해당 지역의 분위기를 바꾸어 놓고, 사람들의 느낌마저도 보다 긍정적으로 만드는 효과가 있다.

지난 주 금요일(16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부동산 섹션인 ‘도메인’(Domain)은 거리 예술이 지역민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증명하는 전 세계 대표적 벽화를 소개했다.

신문은 각 지역의 거리 예술을 사진으로 제시하면서 “건물 벽이나 담장 등도 포토리얼리스틱 예술(photorealistic art. 사물을 사진처럼 정확하고 상세하게 묘사하는 예술 기법)의 캔버스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고 전했다.

 

 

■ Athens, Greece

그리스 아테네 외곽의 한 허름한 단층 건물에 그려놓은 올빼미 그림은 이 거리의 쓸쓸함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Owl of Athens’, ‘아테네의 올빼미’라는 제목의 이 벽화는 ‘Wild Drawing’으로 알려진 그리스의 유명 거리 예술가 WD의 작품이다. 그는 이 벽화에 대해 “올빼미는 지혜를 의미하며 또한 이 도시의 이름을 제공한 여신 아테나를 상징하는 새로, 특히 어둠 속에서도 먼 거리를 볼 수 있는 빼어난 시력을 갖고 있다”면서 “어두운 시기를 견뎌내고 있는 지금의 그리스에서 올빼미의 지혜를 기억해야 할 때라는 생각을 담아냈다”고 설명했다.

 

벽화(그리스 1).png

벽화(그리스 2).png

 

 

■ Sham Shui Po, Hong Kong

홍콩의 샴수이포우(Sham Shui Po)는 과거의 모습이 많이 남아 있는 지역이며 중산층 이하 사람들이 거주하는 곳이다. 이곳의 한 건물을 장식한 이 벽화는 스페인 거리 예술가인 오쿠다(Okuda)씨로, 그는 올해 ‘HK Walls festival’를 더욱 알리고 또 이곳 샴수이포우를 새로 단장하기 위해 직접 홍콩으로 가 이 벽화를 그려냈다. 그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 이곳에 벽화를 그려냄으로써 단순한 낙서보다 벽화가 더 많은 것을 담아낸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이해시키고자 했다고 밝혔다. 10층 높이 건물의 이 벽화는 단 3일 만에 완성한 것이라고.

 

벽화(홍콩 1).png

벽화(홍콩 2).png

 

 

■ Pachuca, Mexico

멕시코 파추카(Pachuca)에 있는 한 산동네 주택 외벽을 새롭게 단장한 것이다. 벽화 작업 넓이만 약 2만 평방미터로, 이 작업은 ‘Germen Crew’라는 이름의 거리 예술가 그룹이 현지인들과 합작하여 완성한 ‘무지개’라는 제목의 대형 벽화이다. 이 거리 예술가 그룹은 이 작업을 통해 이 지역 청소년들로 하여금 의미 있는 일을 하도록 변화시키고자 했다고.

 

벽화(파추카 1).png

벽화(파추카 2).png

 

 

■ Brives-Charensac, France

프랑스 ‘Brives-Charensac’이라는 작은 마을의 한 아파트 벽에 그린 프레스코(fresco) 벽화로, 프랑스 거리 예술가 패트릭 코머시(Patrick Commecy)와 그의 팀이 완성한 것이다. 코머시씨는 거리벽화 제작을 자신의 비즈니스로 확대한 예술가로, 그의 벽화는 프랑스 시골 마을 풍경을 주로 담아내고 있다. 이 벽화 또한 Brives-Charensac를 흐르는 강과 이곳에서 빨래를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려놓았다.

 

벽화(브리브스 1).jpg

벽화(브리브스 2).jpg

 

 

■ Puy-en-Velay, France

프랑스 중남부의 작은 시골마을 퓌앙벌레이(Puy-en-Velay)에 있는 벽화이다. 멀리서 이 그림을 보면 실제로 사람들이 발코니의 문을 열고 청소를 하거나 거리를 내다보고 있는 것처럼 느낄 수도 있다. 이 벽화도 패트릭 코머시(Patrick Commecy)와 그의 팀이 작업했다.

 

벽화(퓨엔밸리 1).jpg

벽화(퓨엔밸리 2).jpg

 

 

■ Glasgow, Scotland

스코틀랜드 글래스고(Glasgow)의 한 아파트 한쪽 외벽을 장식한 대형 벽화이다. 이 작품은 ‘Smug’라고만 소개한 예술가가 만들어낸 것으로, 그의 ‘인스타그램’(instagram)에는 그가 작업한 많은 벽화 그림이 담겨 있다. 그는 지난 2014년 스코틀랜드에서 열린 ‘커먼웰스 게임’(Commonwealth Games. 영 연방국가의 스포츠 대회)을 기해 수많은 벽화 작업을 의뢰받았다고 한다.

 

벽화(글라스고 1).jpg

벽화(글라스고 2).jpg

 

 

■ Poznan, Poland

황량하기만 했던 건물 외벽을, 여러 복합건물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것처럼 만들어 놓았다. 벽화 안에는 중세 기사의 모습, 트럼펫을 부는 남자, 지붕에는 산책하는 고양이도 있다. 폴란드 포즈난(Poznan)이라는 도시의 한 건물(아파트로 보인다) 외벽을 장식한 벽화이다.

 

벽화(포즈난 1).jpg

벽화(포즈난 2).jpg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벽화 메인.jpg (File Size:44.4KB/Download:44)
  2. 벽화(그리스 1).png (File Size:263.7KB/Download:62)
  3. 벽화(그리스 2).png (File Size:291.1KB/Download:34)
  4. 벽화(글라스고 1).jpg (File Size:43.4KB/Download:32)
  5. 벽화(글라스고 2).jpg (File Size:63.5KB/Download:42)
  6. 벽화(브리브스 1).jpg (File Size:45.2KB/Download:40)
  7. 벽화(브리브스 2).jpg (File Size:60.6KB/Download:40)
  8. 벽화(파추카 1).png (File Size:182.8KB/Download:41)
  9. 벽화(파추카 2).png (File Size:191.9KB/Download:44)
  10. 벽화(포즈난 1).jpg (File Size:45.3KB/Download:43)
  11. 벽화(포즈난 2).jpg (File Size:49.9KB/Download:37)
  12. 벽화(퓨엔밸리 1).jpg (File Size:47.9KB/Download:37)
  13. 벽화(퓨엔밸리 2).jpg (File Size:73.9KB/Download:41)
  14. 벽화(홍콩 1).png (File Size:278.8KB/Download:40)
  15. 벽화(홍콩 2).png (File Size:294.9KB/Download:4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뉴질랜드 강창희 국회의장 주최 동포 초청 간담회 굿데이뉴질랜.. 14.03.11.
6800 뉴질랜드 더니든 남성 99글자짜리 이름으로 개명 성공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9 뉴질랜드 주오클랜드분관 청사 이전 안내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8 뉴질랜드 2014 한인의날 Korean Day 안내 (3월 15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7 뉴질랜드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오리엔테이션 및 문제해설 특강 (4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6 뉴질랜드 총선 끝난 후 ‘뉴질랜드 국기 교체 여부’ 국민투표 굿데이뉴질랜.. 14.03.12.
6795 뉴질랜드 청소년 백일장 우리말 글쓰기 예선 합격자 굿데이뉴질랜.. 14.03.13.
6794 뉴질랜드 A형 간염 주의보 ‘감염자 접촉 사과, 복숭아 리콜’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3 뉴질랜드 대한민국 하키 여자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하키 여자국가대표팀과 공식 경기 예정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2 뉴질랜드 다음 정권은 9월 20일에 결판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1 뉴질랜드 기업체, 고유식별번호로 통합 관리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0 뉴질랜드 뉴질랜드, OECD중 단연 경제 성장률 높아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9 뉴질랜드 웰링턴 박지관 교수, 여왕메달(QSM) 수여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8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7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6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5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4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3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2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1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0 뉴질랜드 2014 오클랜드 한인의 날 성공리에 개최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9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매매중 1/4은 중국인이 사들였다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8 뉴질랜드 뉴질랜드 낮은 실업률, 고용시장 안정화 국면 file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제 상승곡선위에서 주춤주춤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6 뉴질랜드 교육부, 학생성적에 따라 학교운영비 지원 추진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5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4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3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2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1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0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69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8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공동위, 양국간 협력 강화 합의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7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6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5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4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3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2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1 호주 AFC 아시안컵축구, 북한 중국 우즈베키스탄 C조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0 호주 애보트 총리 “봉쇄 작전 큰 효과” 선언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9 호주 합참의장 출신.. 애보트 총리 측근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8 호주 2.5%.. 호주달러 미화 93센트 육박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1.
6757 뉴질랜드 국민 3분의 1 "수입 격차 점점 벌어지고 있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2.
6756 호주 여야, 군소정당 총력전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5 호주 바이키단체 변호사 ‘명예훼손’ 보상 청구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4 호주 스트라스필드시 연방, 주정부 입장 청취 후 처리 방침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3 호주 BP, 필립모리스 "호주 생산 중단" 발표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2 뉴질랜드 유아교육은 뉴질랜드가 미국보다 앞서 굿데이뉴질랜.. 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