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Ice).jpg

‘국립 마약-알코올 연구센터’(National Drug and Alcohol Research Centre) 조사 결과 주입식 마약 복용자(injecting drug users) 가운데 아이스 복용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중독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 ‘아이스’ 복용이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일반인들 ‘아이스’ 복용 증가 없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 나와

 


‘아이스’(ice. 얼음 형태로 만든 메탐페타민 등 환각성 불법 마약을 일컫는 용어) 복용 범죄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독성 마약 복용자가 아닌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아이스’ 복용 증가가 없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 마약-알코올 연구센터’(National Drug and Alcohol Research Centre. 이하 NDARC)의 조사 결과, 주입식 마약 복용자(injecting drug users) 가운데 ‘아이스’ 복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금주 수요일(14일) ABC 방송이 보도했다.

 

NDARC의 마이클 파렐(Michael Farrell) 소장은 “매년 주입식 마약 복용자와 엑스터시 등 다른 마약 복용자 등 두 그룹으로 나눠 조사를 한다”며 “올해 연구 결과 헤로인 등 심각한 주입식 마약 중독자 가운데 ‘아이스’ 복용자가 6%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원들은 암페타민 복용과 관련된 문제로 인해 병원에 가는 사람의 수가 증가한 것에 주목했다. 이와 관련, NDARC 수석 연구원인 아만다 록스버그(Amanda Roxburgh)씨는 2001년 이래 암페타민와 관련된 문제로 치료를 받는 사람들이 두 배로 증가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녀는 이어 “암페타민 복용 관련 문제로 병원을 찾는 이들이 증가했을 뿐 아니라 메스암페타민과 관련된 위험성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며 “낮은 수치이기는 하지만 메스암페타민과 관련된 사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또한 록스버그 연구원은 “많은 자료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마약 복용으로 병원에 온 이들의 경우 이미 불법 마약시장에 발을 디뎠거나 이미 마약 복용으로 인한 문제를 경험했던 사람들”이라고 지적했다.

 

NDARC 팀의 연구 결과 비주입식 마약 사용자의 경우 암페타민를 기반으로 한 마약 복용자가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로 드러났지만 ‘아이스’를 분말 형태로 복용하는 사람들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록스버그 연구원은 “우리는 호주 전역에 걸쳐 ‘아이스’ 복용자가 다소 증가한 것을 확인했지만 상시 마약 복용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 ‘아이스’ 사용의 수치 변화는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NDARC 팀은 지방이나 시골 지역에서 ‘아이스’ 사용이 증가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이와 관련, 록스버그 연구원은 “작은 커뮤니티 안에서 ‘아이스’ 사용자가 증가하게 되면 지역사회 전체로 금세 퍼져나갈 수 있다”며 “이런 현상은 이 지역 사람들이 ‘아이스’ 복용으로 인해 치료를 받게 될 경우 눈에 띠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조사 과정에서 시골이나 지방 지역을 포함시키지 못했다”며 “이 지역들에서 ‘아이스’ 사용과 관련돼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에 대해 알아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NDARC의 연구결과는 금주 수요일(14일) ‘전국 마약 동향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83 호주 호주의 감성을 담은 ‘업텐션 포토 에디션’ 화제… 한인 작가 ‘사진방송국’ 촬영 노하우 공개! 톱뉴스 17.10.22.
1282 호주 [사진뉴스]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평창올림픽 알려요” 톱뉴스 17.10.22.
1281 호주 한인 언론인 국제심포지엄…25개국 60명 참가 톱뉴스 17.10.22.
1280 호주 [현장스케치] 신명나는 2017 한국의날 행사, 얼쑤~ 톱뉴스 17.10.22.
1279 호주 북한, 호주연방의회에 공개서한 발송…PM “트럼프 비방 서한” 톱뉴스 17.10.22.
1278 호주 채스우드 고층 아파트 ‘데이트 폭력’ 소동 한국인, 사망 여성 살인죄 추가 톱뉴스 17.10.22.
1277 호주 ‘2017 K-Move 해외진출 성공스토리’ 공모 ‘연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1276 호주 호주-한국 두 가정의 특별한 인연... 캔버라서도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1275 호주 NSW 주 여야 의원들, 30대 임원 초청 간담회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1274 호주 ‘평창’ 참가 호주 선수들, 한국어 및 문화 체험 시간 가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1273 뉴질랜드 장애우와 함께하는 작품 전시회 오픈 행사 열려 NZ코리아포.. 17.10.27.
1272 뉴질랜드 안전하고 보람찬 워홀러 생활,웰링턴 간담회 열어 NZ코리아포.. 17.10.29.
1271 뉴질랜드 용인 일가족 살인사건 피의자, 뉴질랜드에서 검거돼 NZ코리아포.. 17.10.30.
1270 뉴질랜드 장문영씨, 뉴질랜드 아리아 2위 NZ코리아포.. 17.11.01.
1269 호주 ‘AK LINKS’ 사, 부동산 세미나서 창립 10주년 기념...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1268 호주 호주 한식협회 김영길 회장, ‘한식총연합회’ 맡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1267 호주 시드니대학교 박덕수 교수, 한국 정부 ‘국민포장’ 수훈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1266 호주 호주 현지에서의 ‘독도 알리기’, 일반인 참여로 더욱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1265 호주 동포 연극단 ‘이유’, 어린이 대상 인형극 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1264 호주 “새로운 ‘차 문화’ 체험, 추천할 만한 프로그램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