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connectivity’ 주제... 한-호 미술교류 차원

 


호주 미술계에 한국 현대미술을 소개하고 양국 미술계의 교류를 되짚어 보는 의미 있는 시간이 마련된다.

 

주시드니한국문화원(원장 안신영, 이하 ‘한국문화원’)은 다음 주 수요일(18일) 한국문화원 아리랑홀에서 ‘Superconnectivity’라는 주제로 한국 현대미술 세미나(오후 6시~8시)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호주의 미술전문지인 ‘아트링크’(Artlink)의 한국미술 특집호 발간과 연계해 기획됐다.

 

발제자로는 윤진섭 평론가(시드니 미술대학 명예교수), 유진상 교수(독립 큐레이터, 계원대 미술대학 교수), 애나 데이비스(호주 현대미술관 큐레이터), 데이비드 플레저(작가, 문화 기획자)가 참여하며 한국 현대미술의 양상과 특징 및 한호 미술 교류 등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 현대미술에 대해 한호 예술 전문가들이 모여 소통하는 드문 기회로 호주 내 한국 현대미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세미나 참석은 무료이며, 단 예약(02 8267 3422, art@koreanculture.org.au)을 해야 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03 호주 어번 카운슬, ‘Festival of All Abilities’ 공동 주관 호주한국신문 15.11.05.
1902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낙찰률, 올 들어 최저 호주한국신문 15.11.05.
1901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1840년대 코티지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05.
1900 호주 시드니 주말시장의 상징, ‘로젤 마켓’ 종료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9 호주 시드니 도심 초등학교, 교실 부족 사태 직면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8 호주 네드 켈리 수감됐던 빅토리아 주 감옥, 매물로 나와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7 호주 올해 멜번컵, 예상치 못한 ‘Prince Of Penzance’ 우승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6 호주 NSW 주 정부, 강화된 대테러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5 호주 노틀담 대학 시드니 캠퍼스, IB 교수 과정 도입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4 호주 50세 이상 호주 고령층,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3 호주 카운슬 합병, “확고한 계획 없다는 게 이상하다”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2 호주 턴불 수상의 세제개혁안에 일부 자유당 의원들 ‘반발’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1 호주 투자의 귀재, 호주판 ‘워렌 버핏’은 누구일까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0 뉴질랜드 2015 대양주 차세대 옥타 포럼, 끈끈한 친목 도모와 활성화 진일보 도모 해 굿데이뉴질랜.. 15.11.10.
1889 뉴질랜드 편안한 노후를 위해서는 키위세이버에 얼마를 예금해야 할까 굿데이뉴질랜.. 15.11.10.
1888 뉴질랜드 2015 Turn Toward Busan(부산을 향하여) 추모 묵념 오클랜드에서도 거행 돼 file 굿데이뉴질랜.. 15.11.12.
» 호주 한국문화원, 현대미술 세미나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1.12.
1886 호주 힘내라 청춘,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1885 호주 광복회, 국정교과서 ‘왜곡’ 부분 적극 대응 천명 호주한국신문 15.11.12.
1884 호주 “북한 인권 개선은 통일의 로드맵” 호주한국신문 15.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