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지하디스트 1).jpg

말콤 턴불 수상 집권 이후 첫 국가안보 관련 연설을 가진 연방 법무부 조지 브랜디스(George Brandis) 장관. 그는 호주 정부의 강력한 테러 정책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브랜디스 법무 장관, 턴불 수상 이후 첫 안보 관련 연설서 밝혀

 


중동 일부 지역의 극단 이슬람 테러 조직인 IS(Islamic State)에 합류하는 호주인들로 인해 호주 내 테러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정부 당국의 대테러 정책이 강화된 가운데 IS의 활동 기반인 시리아 및 이라크 일부 지역의 테러 조직에 가담해 활동하는 호주인 테러리스트의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 금요일(6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연방 법무부 조지 브랜디스(George Brandis) 장관의 언급을 인용, 보도한 바에 따르면 호주 정부당국은 현재 중동지역의 극단 테러조직에 합류해 활동하는 호주인 수는 100명 선이다. 이 같은 수치는 직전 정보당국이 밝힌 120명 선보다 낮아진 것이다.

 

이는 IS 테러조직이 자살폭탄 테러 등 잔혹한 전술을 펼치며 서구 국가들로부터 용병을 끌어들이는 등 충격을 준 이래, 이들 조직에 합류한 호주인 테러리스트 수가 처음으로 감소했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14개월 전 호주 정보국인 ASIO(Australian Security Intelligence Organisation)는 호주 내에서의 테러 위험 수준을 ‘높음’(high)으로 상향 발령하면서 70여명의 호주인이 테러그룹에 가담, 시리아와 이라크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 수치는 꾸준히 늘어 올해 중반에는 120명 선에 달한 것으로 ASIO는 보고 있다.

 

이와 관련, 브랜디스 장관은 지난해 9월 이후 15명이 늘어나는 등 테러 조직에서 활동하다 숨진 호주인은 최소 41명에 달한다고 말했다.

 

테러 조직에 가담하는 호주인 수의 감소는 극단주의자로 의심되는 이들에 대해 여권을 취소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대테러 정책에서 기인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전까지만 해도 호주인 사망자 수만큼 새로운 호주인 테러조직 가담자가 채워지거나 늘어났지만 이제 테러 조직에 가담하려는 호주인들의 출국이 가로막히고 있는 것이다.

 

브랜디스 장관은 또한 토니 애보트(Tony Abbott)의 뒤를 이어 집권당 수장이 된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역시 애보트 정부 당시에 이어 호주의 강력한 대테러 정책을 이어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턴불 정부 이후 연방 법무부의 국가안보 관련 첫 연설에서 브랜디스 장관은 애보트 정부와 같이 턴불 수상 또한 대테러 정책에 대해서는 단호한 의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6일) 브랜디스 장관은 ‘Centre for Independent Studies in Sydney’에서의 연설에서 “지난 2013년 연방 총선 이후 자유-국민 연립 정부는 호주 내 테러 및 공포를 조장하는 위협에 강력한 정책으로 대처하고 있으며, 시리아 및 북부 이라크 기반의 테러 조직에 가담하고자 출국하거나 이들의 출국을 지원하는 이들에 대한 단호한 정책 또한 한치의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브랜디스 장관의 발언과 관련, 호주 정보국의 한 인사는, 연방경찰을 중심으로 한 경찰 대테러팀 및 정보국의 요청에 따라 턴불 수상이 국가안보법 개혁 작업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브랜디스 장관은 이어 조만간 국가안보와 관련된 5개 안의 개혁안을 의회에 상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개혁안에는 테러 용의자에 대한 ‘통제명령’(control orders. 행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 종족학살이라는 새 범죄에 대한 대책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63 호주 NSW 주 산업부, 수출무역 세미나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1362 호주 진우회, 16일 ‘클린 업 더 월드’ 행사 톱뉴스 17.09.08.
1361 호주 한국의날 축제, 본격 준비 돌입 톱뉴스 17.09.08.
1360 호주 9월 호주개봉 하는 볼만한 한국영화 2편 톱뉴스 17.09.08.
1359 호주 김홍준 교수, 올해 아시아태평양스크린어워즈 국제선정위원회 이끌어 톱뉴스 17.09.08.
1358 호주 호주 언론, 북한 간판 아나운서 ‘리춘히’ 집중 조명 톱뉴스 17.09.08.
1357 호주 미국, 안보리에 북한 제재결의안 초안 회람 톱뉴스 17.09.08.
1356 호주 한인 건축가 에릭김, 시드니 디자인 어워드 은상 수상 ‘화제’ 톱뉴스 17.09.08.
1355 뉴질랜드 질랜드한인회총연합회 워크샵 및 웰링턴 K- Culture Festival 참여 NZ코리아포.. 17.09.11.
1354 뉴질랜드 리디아 고 준우승, 상금 800만 달러 돌파 NZ코리아포.. 17.09.11.
1353 뉴질랜드 강혜지 선수, MCKYSON NZ Women’s Open에 참가.. NZ코리아포.. 17.09.12.
1352 뉴질랜드 뉴질랜드 한민족 한글 학교 20주년 예술제 성료 NZ코리아포.. 17.09.12.
1351 뉴질랜드 카메라타 코러스, 합동공연으로 화합 NZ코리아포.. 17.09.13.
1350 뉴질랜드 이세진, 조아연 우승, 뉴질랜드 청소년 골프대회 NZ코리아포.. 17.09.13.
1349 호주 총영사관, ‘한국 워킹홀리데이’ 설명회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348 호주 “우리 학교 이벤트 중 단연 최고 인기였습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347 호주 초-중등 학생들, ‘한국’ 주제의 미술-문화공연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346 호주 호주 작가들 작품 속에 녹아든 ‘한국적 미’ 엿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345 호주 2017 NSW 지방의회 선거... 한인 후보 중 1명 당선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1344 호주 ‘2017 KCON’ 대장정, 다음 주말 시드니 공연으로 마무리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