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구조사들, 부담 질환 상위에 당뇨 꼽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지난해 말 한국과 미국에서 당뇨가 질병 부담을 안겨주는 대표적 질환으로 나란히 떠올랐다.

우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한국인에게 가장 큰 부담이 되는 질병은 요통과 당뇨병이라고 지난 26일 밝혔다. 이는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윤석준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내놓은 것을 토대로 한 것이다.

이번 연구는 건보 빅데이터를 통해 질병을 313개로 구분한 뒤 장애보정생존년수(DALY) 개념을 활용해 질병 부담을 측정했다.

질병 부담이란 실제 건강 수준과 이상적인 건강 수준 간의 차이를 말하며 DALY 수치가 높을수록 특정 질병의 심각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DALY 수치가 가장 높은 질환은 당뇨병이었으며 요통, 만성폐쇄성 폐 질환(COPD), 허혈성 심장질환, 허혈성 뇌졸중 순으로 수치가 높았다.

구체적으로 남성은 요통, 간 경변,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부담이 컸고 여성은 요통, 당뇨, 만성폐쇄성 폐 질환에 대한 부담이 컸다.

또 사망 관점에서는 자해, 폐암, 간암의 부담이 컸고 질병•부상 관점에서는 당뇨, 요통, 만성폐쇄성 폐 질환, 허혈성 뇌졸중, 간 경변 순으로 부담이 높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당뇨와 더불어 요통이 질병 부담이 큰 질환에 속한 점도 특기할 만한 것이다.

당뇨는 미국인 살림살이 위협하는 최악 질병

한편 지난 27일 미국의학협회저널(JAMA)에 게재된 '개인•공중보건에 대한 지출 현황 조사' 논문도 당뇨가 여전히 미국인들이 병원비를 가장 많이 쓰게 만드는 질병이라 지적했다.

2013년 기준으로 미국에서 당뇨의 진단과 치료에 들어간 돈은 1천14억 달러(약 122조4천억 원)이다. 이는 논문 조사 대상 155개 질병 중 가장 큰 금액이다.

같은 해 기준으로 허혈성 심장질환 때문에 미국인들이 쓴 돈은 881억 달러로 2위였고 요추 또는 경추질환(876억 달러), 고혈압(839억 달러), 낙상(763억 달러) 등이 3∼5위에 올랐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미국인들도 허리 통증인 요통을 야기하는 요추 관련 질환의 부담이 상당히 큰 점도 눈여겨 볼 만 하다. 참고로 요추는 엉덩이뼈와 가까운 허리뼈이며, 경추는 목뼈를 말한다.

이 논문의 교신저자인 미국 보건연구기관 IHME의 조지프 딜러먼 박사는 미국 정부의 의료비 지출 설문조사 내용과 1억6천300만 건의 병원 진료기록 등을 토대로 이 논문에 쓰인 통계를 작성했다.

당뇨는 소리없이 다가오는 병

인체는 활동 및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데, 이 에너지를 만드는 가장 중요한 물질이 포도당이다.

음식물이 분해하여 포도당을 만들면, 이 포도당은 혈액 속에 녹아들었다가 세포 속으로 들어가 분해를 하여 에너지를 만든다.

이때 혈액 속의 포도당을 세포 속으로 밀어넣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 인슐린 부족을 포함해 인체가 어떤 이유로 인해 세포 속으로 밀어넣지 못하여 혈액 속에 필요 이상의 포도당이 녹아있는 상태를 고혈당이라고 한다. 또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어 포도당을 신장에서 걸러내지 못하고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을 당뇨라고 부르고, 이러한 증상 또는 지속적 고혈당 상태에 있는 것을 당뇨병이라고 부른다.

당뇨병은 천천히 진행되고, 증상이 미미하거나 없을 수 있다. 치료받지 않은 전형적인 당뇨병의 증상은 체중 감소, 다뇨증, 다음다갈증, 다식증이다.

당뇨병에만 특정되지 않지만 여러 다른 징후와 증상으로 당뇨병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도 있다. 위의 증상에 더하여, 흐린 시각, 두통, 피로, 베인 상처의 늦은 치유, 피부 가려움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연합 뉴스, 위키 백과 정보 등 참조)

ada.jpg
▲ 당뇨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선 정기적으로 혈당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미국당뇨협회 웹사이트>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57 캐나다 캐나다, 저소득 가정과 노년층에 저렴한 인터넷 요금제 제공 file Hancatimes 22.04.30.
1556 캐나다 르고 주총리, 법안 96호 수정 연기 고려 file Hancatimes 22.04.30.
1555 캐나다 여전히 많은 학생들이 교실에서 마스크 착용 중 file Hancatimes 22.04.30.
1554 캐나다 부알로 공중보건국장, 코로나 비상사태 관련 법안 옹호 file Hancatimes 22.04.30.
1553 캐나다 퀘벡주, 버스 전기화를 위해 버스 제조업체에 2,260만 달러 지원 file Hancatimes 22.04.30.
1552 캐나다 퀘벡주, 마스크 착용 의무화 연장 및 4차 백신 접종 개시 file Hancatimes 22.04.30.
1551 캐나다 공중보건국장, “퀘벡주 6차 확산에 직면하면서 여전히 취약한 상황” file Hancatimes 22.04.30.
1550 캐나다 몬트리올, 이동식 백신 접종소 다시 운영 file Hancatimes 22.04.30.
1549 캐나다 공중보건국장, 부활절을 앞두고 주민들에게 주의 촉구 file Hancatimes 22.04.30.
1548 캐나다 몬트리올 대여 자전거 BIXI 13일부터 운영 재개 file Hancatimes 22.04.30.
1547 캐나다 퀘벡주 국회, 법안 96호에 대한 새로운 절충안 즉각 거부 file Hancatimes 22.04.30.
1546 캐나다 2년간의 주제는 “환경: 회복성과 지속성” 제9회 캐나다 한국 영화제 5월 개막 file Hancatimes 22.04.30.
1545 캐나다 르고 주총리, "6차 확산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 file Hancatimes 22.04.30.
1544 캐나다 한국의 금산인삼, Sial Canada 식품박람회참가 file Hancatimes 22.04.30.
1543 캐나다 퀘벡주, 관광 장려를 위해 지역 왕복 항공권 가격 제한 file Hancatimes 22.04.30.
1542 캐나다 우버 캐나다, 퀘벡주를 제외한 전 지역에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file Hancatimes 22.04.30.
1541 캐나다 전문가들, "더 강력한 COVID-19 감지 시스템 필요" 강조 file Hancatimes 22.04.30.
1540 캐나다 퀘벡주, 전력 사용량 증가에 대비해 풍력 및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시작 file Hancatimes 22.04.30.
1539 캐나다 퀘벡주 5월 중순까지 마스크 착용 의무화 연장 file Hancatimes 22.04.30.
1538 캐나다 2022 캐나다 몬트리올 국제식품박람회(SIAL Canada) file Hancatimes 22.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