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해체, 서커스 상징인 코끼리쇼 중단으로 타격
 

ringling.jpg
▲ 링링 서커스단의 1898년 포스터. <공유 자료사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플로리다에 본거지를 두고 활동했던 미국 유명 서커스단 쇼인 ‘지상 최대의 쇼(Greatest Show)’가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진다.

15일 <올랜도센티널> 등 플로리다 매체들에 따르면 146년 전통을 가진 링링 브라더스 앤드 바넘 & 베일리 서커스의 모회사인 펠드 엔터테인먼트는 서커스의 관객 감소로 인한 경영난으로 올해 5월 서커스의 문을 닫는다고 밝혔다.

링링 서커스단 순회공연 2개 팀은 5월 7일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서, 그리고 같은 달 21일에는 뉴욕주 유니언데일에서 마지막 공연을 펼친다.

자동차와 비행기, 영화보다도 역사가 깊은 링링 서커스는 이동수단인 철도 운행비가 상승한데다, 동물보호단체와의 법정투쟁으로 서커스의 상징과 같았던 코끼리쇼를 중단함에 따라 극심한 경영난에 허덕였다. 관객이 코끼리가 등장하지 않는 쇼를 외면한 탓이다.

동물 학대 논란에 휘말린 링링 서커스는 결국 지난해에 코끼리 40마리를 중앙플로리다 포크 카운티 소재 코끼리 보호센터에 보내야만 했다.

그러나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현대인들의 오락거리가 갈수록 테크놀로지화 되고 있다는 점이다. 십수년 전만 해도 링링 서커스의 지역 순회공연은 여전히 많은이들의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현대인들에게 영화, 텔레비전 뿐만 아니라 포케몬고 같은 현실적인 온라인 게임과 유튜브 명사들이 흥미거리로 자리잡으면서 서커스는 점차 설 자리를 잃게 된 것이다.

1870년대 링링가 7형제중 5형제가 7대의 마차를 이끌며 1인당 1센트를 받고 시작한 링링 서커스단은 점점 인기를 끌며 창설 10년만에 당시 가장 규모가 큰 '바넘 & 베일리 서커스’를 사들였다.

이후 서커스단은 64개 기차칸을 이끌 정도로 발전했고 '링링 브라더스 서커스단의 지상 최대의 쇼'라는 이름으로 미 전국과 캐나다를 누비며 미 서커스 역사상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호황을 누렸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큰 코끼리인 점보의 유입은 서커스단의 명성을 드높혔다.

1967년 유흥산업가인 어빈 펠드는 링링 서커스를 사들였고, 1985년 어빈이 세상을 뜨자 그의 아들인 케네스 펠드가 펠드 엔터테인먼트의 소유주가 됐다. 이후 회사는 서커스 사업에 아이스 스케이팅쇼를 더하는 등 다각도로 사업 확장을 시도했으나 결국 서커스에 다시 집중하게 되었다.

한편 링링 형제들이 차례로 세상을 뜨자, 형제중 5번째였던 죤 링링(John Ringling 1866-1936)은 서커스단의 본부를 시카고에서 플로리다 사라소타로 옮기고 이 지역에 '링링'이라는 이름을 심었다. 현재 링링 박물관내 겨울 별장, 서커스 박물관, 예술관 등은 링링의 신화를 간직하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57 캐나다 캐나다, 저소득 가정과 노년층에 저렴한 인터넷 요금제 제공 file Hancatimes 22.04.30.
1556 캐나다 르고 주총리, 법안 96호 수정 연기 고려 file Hancatimes 22.04.30.
1555 캐나다 여전히 많은 학생들이 교실에서 마스크 착용 중 file Hancatimes 22.04.30.
1554 캐나다 부알로 공중보건국장, 코로나 비상사태 관련 법안 옹호 file Hancatimes 22.04.30.
1553 캐나다 퀘벡주, 버스 전기화를 위해 버스 제조업체에 2,260만 달러 지원 file Hancatimes 22.04.30.
1552 캐나다 퀘벡주, 마스크 착용 의무화 연장 및 4차 백신 접종 개시 file Hancatimes 22.04.30.
1551 캐나다 공중보건국장, “퀘벡주 6차 확산에 직면하면서 여전히 취약한 상황” file Hancatimes 22.04.30.
1550 캐나다 몬트리올, 이동식 백신 접종소 다시 운영 file Hancatimes 22.04.30.
1549 캐나다 공중보건국장, 부활절을 앞두고 주민들에게 주의 촉구 file Hancatimes 22.04.30.
1548 캐나다 몬트리올 대여 자전거 BIXI 13일부터 운영 재개 file Hancatimes 22.04.30.
1547 캐나다 퀘벡주 국회, 법안 96호에 대한 새로운 절충안 즉각 거부 file Hancatimes 22.04.30.
1546 캐나다 2년간의 주제는 “환경: 회복성과 지속성” 제9회 캐나다 한국 영화제 5월 개막 file Hancatimes 22.04.30.
1545 캐나다 르고 주총리, "6차 확산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 file Hancatimes 22.04.30.
1544 캐나다 한국의 금산인삼, Sial Canada 식품박람회참가 file Hancatimes 22.04.30.
1543 캐나다 퀘벡주, 관광 장려를 위해 지역 왕복 항공권 가격 제한 file Hancatimes 22.04.30.
1542 캐나다 우버 캐나다, 퀘벡주를 제외한 전 지역에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file Hancatimes 22.04.30.
1541 캐나다 전문가들, "더 강력한 COVID-19 감지 시스템 필요" 강조 file Hancatimes 22.04.30.
1540 캐나다 퀘벡주, 전력 사용량 증가에 대비해 풍력 및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시작 file Hancatimes 22.04.30.
1539 캐나다 퀘벡주 5월 중순까지 마스크 착용 의무화 연장 file Hancatimes 22.04.30.
1538 캐나다 2022 캐나다 몬트리올 국제식품박람회(SIAL Canada) file Hancatimes 22.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