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이코노미스트>, 한국 정부의 '블랙리스트' 작성 비웃어
 

economist.jpg
▲ 영국의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가 한국 문체부의 블랙리스트 작성 혐의를 보도하며 비웃는 어조의 기사를 내놓았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영국의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28일 “한국 문체부 장관 9500명의 예술인 블랙리스트 작성 혐의로 피소(South Korea’s ministry of culture is accused of blacklisting 9,500 artists)”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문체부의 블랙리스트 작성 혐의를 보도하고 "이것이 자유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한국이다(This is supposed to be the liberal, democratic Korea)"라고 부제를 달아 비웃었다.

신문은 리스트에 오른 사람들이 최근 몇 년 동안 국가의 지원을 받지 못했다고 실토했다며 배제된 작가들의 작품을 상영하고 있는 광화문 광장에 세워진 시민 극장 “블랙텐트”를 소개했다.

이어 '블랙리스트'의 존재는 박근혜 대통령의 권력 남용 스캔들을 또 다른 국면으로 몰아넣은 가운데 이를 사주한 김기춘과 박 대통령 모두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대통령 보좌관의 업무일지에 김기춘 씨가 “예술계 좌파들의 책동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지시가 적혀있었으며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 블랙리스트가 지난 어두운 시절을 환기시키며 역동적인 한국의 민주주의 대한 “용납할 수 없는” 도발이라고 비난했다고 적었다.

신문은 블랙리스트에 대한 소문은 한동안 떠돌고 있었으며 부산국제영화제의 예산도 2014년 논란이 된 세월호 다큐멘터리 개봉 이후 절반으로 삭감됐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는 예술가 집단인 문화연대가 정부를 고소할 계획이라고 전하며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오르지 않은 문화예술인들은 자신들이 배제당한 기분이라고 씁쓸한 농담을 하고 있다는 전언으로 기사를 마무리했다.

한편 '펄스트리모(pearlstimo)'라는 이름의 네티즌은 30일 한국의 이같은 상황에 대해 "1950년대의 냄세(맹목적 반공주의로 수많은 희생자를 낸 미국의 메카시 광풍. 기자 주)를 풍긴다"며 분노를 표하는 댓글을 올렸다.

"한국에서 블랙리스트의 존재는 1950년대의 냄세를 풍긴다. 내가 만약 그 리스트에 올라 있어서 지금 위협을 받고 있다면 어떤 희생을 치르고라도 투쟁하거나 온 가족을 (타국으로) 이주시켜 버릴 것이다. 누군들 (한국의) 역사적인 박씨 가족의 한 사람이 이같은 정부를 꾸릴 것이라고 상상이나 했겠는가?" (Being on a list of leftists in the ROK has a 1950 flavor to it. Given the current level of threat if I was on that list I would either decide -no matter what it might cost me-to struggle against this regime or move my family out.
Who could have guessed a member of the historic Park family could preside over a government like this?)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17 캐나다 <세자매>, 가족이란 이유로 묵인했던 상처들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8.
1616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2022 재외동포 청소년·대학생 모국연수(오프라인) 참가자 모집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8.
1615 미국 바이든 "6개월간 하루 100만 배럴 비축유 방출" 발표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8.
1614 미국 드샌티스 "디즈니에 특혜 주던 시대는 끝났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8.
1613 캐나다 BC주도 코로나19 일일 브리핑 대신 주간 자료 발표로 대체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9.
1612 캐나다 연방, 주택가격 잡기 위해 강력한 정책 도입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9.
1611 미국 "풋볼 경기 전 기도 부적절" 항소한 플로리다 기독 학교 패소 file 코리아위클리.. 22.04.10.
1610 미국 미 국무부, 4월부터 여권에 제3의 성 'X' 표시 허용 file 코리아위클리.. 22.04.11.
1609 미국 올랜도 프리폴 놀이기구 회사, 주정부 '안전법 개정' 환영 file 코리아위클리.. 22.04.11.
1608 캐나다 노스로드 BIA, 버나비 상공회의소와 발전방안 모색 file 밴쿠버중앙일.. 22.04.12.
1607 캐나다 최종건 외교부 차관, 11일 캐나다 의원 대표단 면담 file 밴쿠버중앙일.. 22.04.12.
1606 미국 플로리다 주택 소유자들, 모기지 상환에 '허덕허덕' file 코리아위클리.. 22.04.12.
1605 캐나다 북미 최초 밴쿠버 지하철 터널 스크린 광고 시작 file 밴쿠버중앙일.. 22.04.13.
1604 캐나다 BC 2월 마약 오남용으로 인한 죽음 174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4.13.
1603 캐나다 곰들이 내려오는 봄철... 음식물 쓰레기 잘 관리해야 비극 막는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4.13.
1602 미국 플로리다 의회, '저가 주택기금 1억 달러' 전용 file 코리아위클리.. 22.04.13.
1601 미국 플로리다 주지사 vs 월트 디즈니 '기싸움', 누가 이길까? file 코리아위클리.. 22.04.14.
1600 캐나다 북미 최초 최첨단 지하철 터널 스크린 광고-한국 기업의 힘 file 밴쿠버중앙일.. 22.04.15.
1599 캐나다 캐나다 기준금리 1%로 다시 상향 조정 file 밴쿠버중앙일.. 22.04.15.
1598 캐나다 엔데믹 맞아, 밴쿠버에서 열리는 YG 글로벌 오디션 file 밴쿠버중앙일.. 22.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