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젤라 김 교육칼럼] 전공 프로그램 우수성, 졸업후 진로 등 우선 따져봐야

대학 진학을 앞둔12학년 학생들 중에는 조기지원으로 이미 진학할 학교가 결정난 학생도 있을 것입니다. 혹은 조금 발표가 이른 주립대학에서 합격편지를 받고 그 학교로 입학을 이미 결정한 학생도 있을 것입니다. 그 외의 학생들은 주립대학에서 합격 편지를 받았지만 다른 사립대학에 원서를 넣어놓고 합격 여부에 따라 진학해야할 학교를 결정해야 하는 학생도 있을 것입니다. 혹은 아무데도 결정이 나지 않은 가운데 3월말에 나올 결과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학생들도 많이 있겠지요.

한 학교 이상으로 부터 합격 편지를 받은 학생들은 어느 학교로 진학해야할 지 중요한 결정을 해야할 것인데, 무슨 기준으로 어떻게 결정을 내려야할까요?

지원할 때 이미 고려한 사항이겠지만 전공을 미리 정하고 가는 학생들이라면 그 전공의 프로그램이 얼마나 우수한 지를 학교별로 다시한 번 비교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교수진은 훌륭한지, 학교를 다니면서 접할 수 있는 인턴쉽의 기회는 많은지, 졸업후 진로에 대한 후원과 도움은 얼마나 되며 실질적인 취업률및 졸업생 향후 진로는 어떠한지를 합격 통지를 받은 학교별로 꼼꼼히 비교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학교의 위치와 분위기도 매우 중요합니다. 많이들 간과하기 쉬운 것은 학교와 집과의 거리입니다. 별거 아닌 것 같지만 학생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문제가 많이 됩니다.

아는 누구가, 어느 학교가 어떻다라고 해주는 말 하나로 결정하면 안됩니다. 취향은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왕이면 학교에 연락해서 하루 밤 기숙사에 묵어보고 수업도 들어가 볼 수 있도록 약속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하십시오. 그럼으로써 4년 이상 자고 먹을 기숙사와 식당은 어떤지, 학교가 속해 있는 동네는 어떤 분위기인지, 그런 분위기가 학생이 좋아할 분위기인지, 같은 학교를 다닐 학생들은 어떤 학생들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자주 하는 말이지만 차를 타보지 않고 사는 사람이 없고, 집을 들어가보지 않고 사는 사람이 없듯이 4년간 생활할 학교를 직접 가보지 않고 결정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일이지요.

요즘과 같은 경기에는 학비 문제도 학교 결정의 가장 큰 요소중에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재정보조패키지(Financial Aid package)라고 하는, 학교에서 학생에게 입학을 허가하면서 학비의 어느 부분 만큼을 재정적으로 보조해줄지 카테고리별로 정리해서 보내주는 편지가 있습니다. 학교별로 받은 이 패키지를 비교해볼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우선 학교를 다닐 때 드는 총 비용 (Cost of Attendance)를 다 적어보십시오. 이 비용은 기본 학비뿐 아니라 기숙사비, 학교 식당비, 책값, 용돈및 교통비를 포함한 비용입니다.

그리고 학교에서 보조해주는 보조의 형태는 크게 “공짜돈”(Gift Aid)과 “갚을 돈”(Self-help Aid)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공짜돈은 말 그대로 그냥 주는 돈입니다.

우수한 성적이나 어떤 특기를 인정해서 학교에서 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주는 장학금(Scholarship)의 형태와 연방 정부나 학교에서 주는 무상보조(Grant)의 형태가 갚지 않아도 되는 돈입니다.

그리고 스탭포드론(Stafford Loan), 퍼킨스론(Perkins Loan)등 졸업후 일정 이자와 더불어 상환해야 하는 학생 융자금과 학교에서 허락하는 일을 하면서 일한 대가로 받는 보조금(근로 장학금-Work Study)은 학생이 나중에 벌어서 갚던, 학교를 다니면서 벌어서 갚던 학생이 갚아야 하는 돈입니다.

혹시 회사나 어떤 조직 등 학교 이외의 다른 소스로 부터 받은 외부 장학금이 있다면 그것을 반드시 학교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학교의 방침에 따라 그 장학금의 액수 만큼 융자 액수를 삭감하든지 학생이 원하면 근로 장학금 액수를 줄이든지 그런 방법으로 외부 장학금이 사용됩니다.

이 모든 보조금 등을 학교 별로 정리해 보면 어느 정도 가정에서 부담해야 하는 지가 계산이 나올 것입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학교들을 잘 비교해 보아서 학생이 가서 행복하게 대학생활을 할 한 학교를 잘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마감일(대부분 5월 1일이지요)을 잘 지켜서 선금을 내시고 학교에 등록할 의사를 밝히십시오. 진학하지 않기로 결정한 다른 학교들에도 등록 의사가 없음을 이멜로나 혹은 온라인으로 알리는 일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엔젤라 유학/교육 컨설팅, angelagroup@gmail.com
  • |
  1. angela.jpg (File Size:7.9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797 캐나다 휘발유 가격 연일 상승…퀘벡주 사상 최고치 기록 file Hancatimes 22.03.10.
7796 캐나다 퀘벡주, 4월부터 의무 마스크 착용 요건 완화 및 백신 여권 시스템 단계적으로 해제 file Hancatimes 22.03.10.
7795 캐나다 캐나다 국경 조치 완화 file Hancatimes 22.03.10.
7794 캐나다 퀘벡주, SAQ에 러시아산 주류 제품 진열하지 않도록 지시 file Hancatimes 22.03.10.
7793 캐나다 주캐나다한국문화원, 공유와 박보검의 특별한 동행 <서복> 상영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9.
7792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집값 비싸면 이제 프레이저밸리로 이사 갈 때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9.
7791 캐나다 BC 사회적 거리두기 명령 해제 청신호 계속 들어오고 있어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9.
7790 캐나다 4일 기준 전국 5세 이상 인구 중 백신 완료자 84.84%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8.
7789 캐나다 BC 60세 이상 신속항원검사 테스트기 확대 배포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8.
7788 캐나다 대기업 본사 수나 직원 수에서 BC주나 밴쿠버는 만년 4위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8.
7787 캐나다 BC주 성폭행 피해자 위해 안정적인 재정 지원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8.
7786 미국 "문재인 정권 심판하러 왔다" vs. "엉뚱한 후보, 나라 망칠라!"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7.
7785 캐나다 다음주 BC주 마스크·백신카드 관련 조치 완화될까?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5.
7784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주유비 2달러시대---어느 주유소가 쌀까?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5.
7783 캐나다 BC한인실업인협회 22일 정기총회 예정...신임 회장 선출 등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4.
7782 캐나다 2월 메트로밴쿠버 연속 성추행 사건 버나비에서도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4.
7781 캐나다 20대 대통령 선거, 밴쿠버총영사관 관할 지역 투표율 76.3%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4.
7780 미국 이젠 부자들만의 별천지 디즈니 월드... 그래도 몰려드는 이유는?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3.
7779 미국 플로리다 주 의회 하원, '15주 낙태 제한' 법안 통과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3.
7778 미국 올랜도 지역 렌트비, 어느 지역이 가장 크게 올랐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