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ke-louise-environment-20150616.jpg

원주민계 악역 묘사로 인해 불허

 

한국과 미국 등 여러 나라들과 비교해 갈등이 적은 캐나다 사회이지만, 한 가지 무척 민감한 문제를 안고 있다. 바로 원주민과 관련된 문제다. 그런데 얼마전 BC 주에서 촬영을 시작한 리암 니슨 주연 영화를 두고 '앨버타에서 촬영하기를 희망했으나 원주민계 폭력 조직 보스가 나오는 줄거리 때문에 거절당했다'는 사실이 보도되었다.

 

영화 제목은 '하드 파우더(Hard Powder)'로, 주인공인 리암 니슨은 아들이 폭력 조직의 약물 거래에 희생된 아버지로 출연한다. 그리고 그의 대척점에 있는 악역은 원주민계 폭력 조직 보스로, 캐나다 배우 톰 잭슨(Tom Jackson)이 분한다.

 

지난 주 중 BC주에서 촬영을 시작한 영화 제작팀은 "본래 앨버타 주의 밴프(Banff)와 루이스 호수(Lake Louise) 등지에서 촬영할 계획이었으나, 캐나다 국립공원 관리청(Parks Canada)에서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고 밝혔다.

 

공원청 측은 "원주민이 폭력 조직 보스로 등장하는 점에 대한 우려가 깊었던 것이 촬영 불허의 주요 요인 중 하나"라고 인정하며 "최근 영상물 촬영 허가가 밀려들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도 덧붙였다.

 

한 가지 공교로운 점은 문제가 된 조직 보스를 연기하는 배우 톰 잭슨이 원주민계 캐나다인이라는 점이다. 잭슨은 관리청에 '대본을 읽어보았는데 원주민을 경멸하는 시각은 담고 있지 않았다'는 내용의 서한을 공원 관리청에 전달하기도 했다. 그러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영화 제작자인 마이클 솀버그(Michael Shamberg)는 "촬영 기간 동안 앨버타에서 지출될 예정이었던 비용이 모두 5백만 달러"라며 관리청 결정을 비꼬는 한편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소식을 전해들은 앨버타 영상산업계 연합(Alberta Media Production Industries Association)은 "그와 같은 일이 있었던 것을 전혀 몰랐다"며 "같은 경우가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전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이지연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57 캐나다 르고 주총리, 연방정부의 “긴급조치 발동” 반대 file Hancatimes 22.03.02.
1756 캐나다 퀘벡주, 지난해 1,400명의 환자가 병실 부족으로 응급실에서 사망 file Hancatimes 22.03.02.
1755 캐나다 퀘벡주, COVID-19 백신 여권 시스템 중단 file Hancatimes 22.03.02.
1754 캐나다 퀘벡주, 노인 거주지 관련 COVID-19 자가격리 규정 변경 file Hancatimes 22.03.02.
1753 캐나다 몬트리올, 새로운 임대주 등기부 프로그램 공개 file Hancatimes 22.03.02.
1752 캐나다 퀘벡주, 12~17세 청소년들에게 3차 COVID-19 백신 제공 file Hancatimes 22.03.02.
1751 캐나다 에어캐나다, 연방정부에 여행 관련 규제 완화 요청 file Hancatimes 22.03.02.
1750 캐나다 퀘벡주, 경찰력 강화를 위한 310만 달러 지원 발표 file Hancatimes 22.03.02.
1749 캐나다 퀘벡주, 5~11세 백신 접종 계속 장려하며 백신 접종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혀 file Hancatimes 22.03.02.
1748 캐나다 퀘벡주, 봄방학 이후 교실에서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 file Hancatimes 22.03.02.
1747 캐나다 르고 주총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규탄 file Hancatimes 22.03.02.
1746 캐나다 몬트리올총영사관 로고 공모전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2.
1745 캐나다 버나비RCMP, 탈의실 도촬범 공개 수배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2.
1744 캐나다 연아 마틴 상원의원 삼일절 메시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2.
1743 미국 올랜도 'I-4 익스프레스', 26일 새벽 역사적 개통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2.
1742 캐나다 캐나다 기준 금리 0.5%로 이전보다 두 배...집값 하락 전조등?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3.
1741 캐나다 밴쿠버의 103주년 3.1절 행사 한인회관에서 거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3.
1740 미국 올랜도 지역 렌트비, 어느 지역이 가장 크게 올랐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3.
1739 미국 플로리다 주 의회 하원, '15주 낙태 제한' 법안 통과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3.
1738 미국 이젠 부자들만의 별천지 디즈니 월드... 그래도 몰려드는 이유는?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