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그란트 장관 1).jpg

트로이 그란트(Troy Grant) NSW 주 경찰부 장관. 하이웨이 상에서 앞 차량 뒷좌석에 있는 양 한 마리를 발견한 그는 불법 행위로 간주, 자신의 휴대전화로 사진을 찍어 경찰에 신고했으나 운전석에서 전화기를 사용한 자체도 불법에 해당, 벌금을 부과받았다.

 

NSW 주 트로이 그란트 장관 ‘잘못 인정’, $325 벌금+4점 벌점 부과

 

트로이 그랜트(Troy Grant) NSW 주 경찰부 장관(전 NSW 국민당 대표)이 차량 운전석에서 휴대폰을 사용하다 범칙금 325불과 벌점 4점을 받게 됐다.

그랜트 장관은 지난 주말(18일) NSW 서부 내륙 뉴웰(Newell)의 공사 중이던 고속도로에서 앞 차량의 뒷좌석에 있는 양이 있는 것을 보고는 이 사진을 찍어 경찰에 신고하고 자신의 트위터에 개재했다. 이것이 화근이 되어 처벌을 받게 됐다고 금주 화요일(21일) ABC 방송이 보도했다.

NSW 주 경찰은 비록 불법 행위를 신고하기 위해 도로상의 운전석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한 것이기는 하지만 이 자체도 불법이라 판단하고 경찰부 최구 수장인 경찰 장관에게 일반 운전자와 동일하게 벌금과 벌점을 부과한 것이다.

그란트 장관은 “운전석에 있는 동안 휴대폰을 손에 들고 있기만 해도 불법이라는 것을 몰랐다”며, “당시에 운행을 하고 있지 않았고, 다른 데에 신경 쓰느라 집중력을 잃은 것도 아니었는데 처벌이 너무 컸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이어 “모두 중요치 않다. 주행 중이든 아니든 운전석에서 휴대전화 사용은 금지되어 있다”며, “법 앞에 누구나 다 평등하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 경험 이었다”고 말하고 이번 사건으로 큰 교훈을 얻었다고 밝혔다.

이 사건을 놓고 야당 의원들은 운전 사고유발 요인과 관련된 안전수칙이 잘 지켜지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종합(그란트 장관 2).jpg

그란트 장관이 휴대전화로 촬영해 자신의 트위터에 게재한 사진. 승용차 뒷좌석에 양 한 마리가 있는 것을 신고한 것이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그란트 장관 1).jpg (File Size:36.3KB/Download:28)
  2. 종합(그란트 장관 2).jpg (File Size:50.5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60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맨리의 휴가용 유닛, 735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0 뉴질랜드 Covid-19 11월 3일 새 감염자 100명 일요시사 21.11.08.
5599 뉴질랜드 Covid-19 11월 2일 새 감염자 126명, 오클랜드 1차 접종률 90% 일요시사 21.11.08.
5598 뉴질랜드 오클랜드 11월 9일 밤 11시 59분부터 경보 3단계 스탭 2 일요시사 21.11.08.
5597 뉴질랜드 새 코로나19 보호 체제 나왔다... 녹색, 황색, 적색 3단계 일요시사 21.11.08.
5596 뉴질랜드 8월11일 오후 4시 정부 브리핑-일주일 연장 일요시사 21.11.08.
5595 뉴질랜드 '시설 대신 집에서 자가격리' 10월말부터 시범, $1,000의 요금 지불 일요시사 21.11.08.
5594 뉴질랜드 오클랜드 10월 5일까지 경보 3단계 일요시사 21.11.08.
5593 호주 NSW 주 COVID-19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 변경, 주요 내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92 호주 NSW 주 정부, COVID-19 공공보건명령 완화 로드맵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91 호주 ‘풍토병’ 되어가는 코로나 바이러스... ‘리빙 위드 코비드’ 의미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90 호주 호주 백신자문그룹, 2차 접종 6개월 지난 성인 대상으로 추가접종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89 호주 COVID-19 빠른 항원검사 허용... 11월 1일부터 자가 테스트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88 호주 연방정부, COVID-19 방역 위한 국민들의 ‘해외 출국 제한’ 공식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87 호주 파라마타 지역구 줄리 오웬 의원, 다음 연방선거 ‘불출마’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86 호주 호주 원주민 암각화, 최대 4만3천 년 전 만들어진 것일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85 호주 10대 어린이-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가입, 부모 동의 필요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84 호주 Sydney Water, “이런 물품은 반드시 휴지통에 버려주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83 호주 NSW 주 지방 지역 임대료 지속 상승, 현지 지역민들 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8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그린위치 주택, 잠정가격에서 9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5581 호주 불법 마약구매, COVID 이전보다 쉽다?... 팬데믹 기간 중 코카인 사용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5580 호주 호주 부스터샷 승인... 알려진 추가접종 관련 내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5579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화이자 COVID-19 백신 추가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5578 호주 호주 국제여행 허용... '콴타스‘ 및 ’넷스타‘의 운항 노선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5577 호주 NSW 주 관광부, 호주 국경 개방 맞춰 대대적 관광 캠페인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5576 호주 NSW 주 정부, 학령기 자녀 가정에 ‘레저 활동’ 지원 바우처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5575 호주 델타 변이 바이러스 발병 이후 NSW 사망자 500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5574 호주 정부가 주문한 노바백스 백신, 11월 제공 예정... “추가접종 위해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5573 호주 광역시드니 주택 임대료, 사상 최고치 기록... 유닛 임대료 다시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557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폐허 수준의 윌로비 소재 주택, 370만 달러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5571 호주 NSW 주의 국제여행자 검역 폐지... 꼭 알아야 알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5570 호주 NSW 주, 해외 입국자 대상 코로나19 검역 절차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5569 호주 연방정부, 해외여행자 위한 백신 접종 증명서 발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5568 호주 연방정부, ‘비자 취소’ 권한 강화를 위한 ‘인성검사’ 법안, 재도입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5567 호주 호주 국경 다시 열린다지만... 유학생들 “호주로 돌아갈 매력 잃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5566 호주 연방정부의 디지털 백신접종 증명서, ‘Service NSW'에 통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5565 호주 스트라스필드 지역구 조디 맥케이 NSW 주 의원, 사임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5564 호주 농업부 장관, "NSW 주의 입국자 검역 폐지, 농장 인력 확보 기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5563 호주 봉쇄 조치 기간 중 일자리 찾기 포기 늘어나... 실업률, 소폭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5562 호주 주택가격 상승 속도, 다소 둔화… 연간 성장률은 30년 만에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556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헌터스 힐의 낡은 주택, 잠정가격에서 33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5560 호주 NSW 공공보건 명령 1단계 완화 조치, 이번 주부터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5559 호주 ‘판도라 페이퍼즈’... 해외 불법 자금에 잠식당한 주요 호주 부동산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5558 호주 NSW 주 제한 완화 1단계, “지방 지역 여행은 아직 불허...”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5557 호주 “면역력 심각하게 저하된 이들, 세 번째 COVID-19 백신접종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5556 호주 NSW 주 ‘캠프 드래프트-로데오’ 이벤트, 11월부터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5555 호주 호주 국경 제한 완화 발표, 11월 이후 해외여행 가능해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5554 호주 부스터샷은 언제 맞아야 하? 또한 백신접종 면제 대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5553 호주 ‘바이러스’ 록다운 상황 속, 소규모 ‘북클럽’ 활동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5552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정부의 새 내각, ‘안전과 회복’에 초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