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러슨 국무장관,각 공관 SNS점검 지시

韓유학생·방문비자 신청자등 미 입국 영향 우려

 

뉴욕=임지환기자 newsroh@gmail.com

 

 

미 정부가 전 세계 미국 공관에 비자발급을 강화하고 있어 유학생 등 방문비자 신청자들이 긴장하고 있다.

 

렉스 틸러슨 미국무장관은 최근 세계 각국의 미 대사관 등 재외공관에 3차례 전문을 보내 비자발급 심사를 강화해야 할 대상을 식별(識別)하는 기준을 개발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틸러슨 장관은 “비자발급 결정은 국가안보와 직결되는만큼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비자발급을 거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x_Tillerson_confirmation_hearing - Copy.jpg

틸러슨 미국무장관 www.en.wikipedia.org

 

 

강화내용 중 신원확인의 경우, 신청자들의 외국 방문기록과 15년간의 근로 기록, 모든 전화번호와 이메일, 소셜미디어 정보 의무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영사 1명당 하루 인터뷰 대상자도 120명으로 제한했다.

 

이에 앞서 국토안보부는 미국 입국자 중 안보에 위협이 될 만한 소지(所持)를 제거하기 위한 심사의 일환으로 미국 비자 신청자들에게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 비밀번호 제출을 요구하는 정책을 검토한 바 있다.

 

미 정부의 이같은 정책은 반이민 행정명령 대상인 무슬림 6개국에 주안점을 둔 것이지만 전반적인 심사강화로 한국을 포함, 여타 국가의 유학생과 방문, 상용비자 신청자들의 비자발급이 지연되거나 미국 입국 조건이 까다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지난해 1천만 건 이상의 방문비자를 발급했다.​

 

다른 사안이긴 하지만 국내에서 음주운전 삼진아웃으로 실형(징역 8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메이저리거 강정호가 미국대사관에서 비자발급은 물론, 단기간체류 할 수 있는 ‘ESTA(전자 여행 허가)’도 거부되는 등 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것도 주목된다.

 

강정호가 시즌 개막전에 합류할 수 있도록 소속구단 피츠버그 파이어리츠가 변호사 고용 등 총력전을 전개했음에도 무위(無爲)로 돌아갔기 때문이다.

 

이민전문 변호사들은 “유학생과 취업 비자 발급과 연장 심사가 계속 까다로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정부의 반이민 행정명령까지 겹쳐 비자 문턱이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비자 신청시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점이 있다면 거절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서류 준비를 더욱 철저하게 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 |
  1. Rex_Tillerson_confirmation_hearing - Copy.jpg (File Size:17.9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777 캐나다 밴쿠버의 103주년 3.1절 행사 한인회관에서 거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3.
7776 캐나다 캐나다 기준 금리 0.5%로 이전보다 두 배...집값 하락 전조등?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3.
7775 미국 올랜도 'I-4 익스프레스', 26일 새벽 역사적 개통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2.
7774 캐나다 연아 마틴 상원의원 삼일절 메시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2.
7773 캐나다 버나비RCMP, 탈의실 도촬범 공개 수배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2.
7772 캐나다 몬트리올총영사관 로고 공모전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2.
7771 캐나다 르고 주총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규탄 file Hancatimes 22.03.02.
7770 캐나다 퀘벡주, 봄방학 이후 교실에서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 file Hancatimes 22.03.02.
7769 캐나다 퀘벡주, 5~11세 백신 접종 계속 장려하며 백신 접종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혀 file Hancatimes 22.03.02.
7768 캐나다 퀘벡주, 경찰력 강화를 위한 310만 달러 지원 발표 file Hancatimes 22.03.02.
7767 캐나다 에어캐나다, 연방정부에 여행 관련 규제 완화 요청 file Hancatimes 22.03.02.
7766 캐나다 퀘벡주, 12~17세 청소년들에게 3차 COVID-19 백신 제공 file Hancatimes 22.03.02.
7765 캐나다 몬트리올, 새로운 임대주 등기부 프로그램 공개 file Hancatimes 22.03.02.
7764 캐나다 퀘벡주, 노인 거주지 관련 COVID-19 자가격리 규정 변경 file Hancatimes 22.03.02.
7763 캐나다 퀘벡주, COVID-19 백신 여권 시스템 중단 file Hancatimes 22.03.02.
7762 캐나다 퀘벡주, 지난해 1,400명의 환자가 병실 부족으로 응급실에서 사망 file Hancatimes 22.03.02.
7761 캐나다 르고 주총리, 연방정부의 “긴급조치 발동” 반대 file Hancatimes 22.03.02.
7760 캐나다 STM, COVID-19 셔틀버스 운영 file Hancatimes 22.03.02.
7759 캐나다 퀘벡주, “오미크론발 5차 대유행”… COVID-19 확진 200만 명 돌파 file Hancatimes 22.03.02.
7758 캐나다 퀘벡주 법무부 장관 “판사가 이중 언어 구사할 필요 없다” file Hancatimes 22.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