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첨제 폐지, 비자 제도 개편 등 의회 움직임에 불안
 
visa.jpg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2017~2018회계연도 전문직취업(H-1B) 비자 추첨 경쟁률이 사상 최고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민서비스국(USCIS)은 다음 달 3일부터 7일까지 5일간 신청서를 접수해 무작위 추첨으로 심사대상을 선정한다.

현재 연간 H-1B 비자 배정분은 학사용 6만5000개와 석사 이상 고학력자에 2만 개 등 총 8만5000개이나 해마다 신청자가 폭증하면서 이민국은 추첨을 통해 심사대상을 가리고 있다.

실제로 2013~2014회계연도 신청자는 12만4000명이었으나, 이듬해에는 17만2500명으로 늘었고, 2015~2016회계연도에는 23만3000명으로 폭증했다. 지난해 역시 23만6000명이 비자를 신청했다.

그러나 이민 변호사들은 올해 또다시 신청자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는 무엇보다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정책과 자국민 우선주의에 맞물려 앞으로 H-1B 비자를 받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탓이다.

H1-B 비자의 기본 취지는 첨단기술 분야 전문 인력이 미국 내에 부족할 경우 외국인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미국 기업이 H-1B 비자를 이용해 저임금 외국인을 미국으로 불러들여 훈련시킨 뒤 다시 외국으로 내보내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는 등 문제점이 드러나 의회는 이를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H-1B 비자 경쟁률이 급증한 것도 이들 기업의 영향이 크다.

의회가 추진하는 법안에는 추첨제를 폐지하고 고학력자와 고임금 외국인에게 H-1B 비자를 우선 발급하도록 하는 내용이 들어있다.

한편 이민서비스국은 H1-B 비자의 급행 서비스 접수를 오는 4월3일부터 6개월 동안 중단할 것이라고 지난 3일 발표한 바 있다. 이 서비스는 일정 수속비를 지불할 경우 비자 처리 결과를 15일 내에 알려주는 제도이다.

H1-B 비자 소지자는 3년간 미국에 체류할 수 있으며 한 차례 연장할 수 있다. 비자 소지자는 대체로 체류기간에 취업 이민 수속에 들어가 영주권을 취득하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77 미국 메트로올랜도 '렌트 대란', 선벨트서 임대료 가장 빠르게 상승 file 코리아위클리.. 22.02.24.
1776 캐나다 약국, 70세 이상 시니어 무료로 신속검사 키트 배포 시작 file 밴쿠버중앙일.. 22.02.25.
1775 캐나다 우크라이나 사태, 메트로밴쿠버 주유비 리터 당 2달러 선 곧 돌파 file 밴쿠버중앙일.. 22.02.25.
1774 캐나다 제1 회 JM 퀴즈 헌터, 오는 3월 12일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2.02.25.
1773 미국 플로리다 주택 대란... 집 없는 사람에게 희망은 있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02.26.
1772 캐나다 작년 한 해 한인 새 영주권자는 8235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2.26.
1771 캐나다 비영리단체 AMMC, 고 최원철 대표 추모 1주기 기념 음악회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2.02.26.
1770 캐나다 2022년 BC주 예산 기후변화와 전쟁에 집중 file 밴쿠버중앙일.. 22.02.26.
1769 미국 바이든 대통령, 코로나 감소세 불구 '국가비상사태' 연장 file 코리아위클리.. 22.02.28.
1768 미국 플로리다주, '소셜 미디어 괴롭힘' 수준 전국 6위 file 코리아위클리.. 22.02.28.
1767 미국 미국 부동산 임대료 1년간 20% 상승... 플로리다 도시들 '꼭대기' 순위 file 코리아위클리.. 22.02.28.
1766 캐나다 53% 캐나다인 "고물가에 생활비 따라 잡기 힘들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1.
1765 캐나다 노스밴쿠버 공원서 청소년 성추행 사건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1.
1764 캐나다 올해 밴쿠버 3.1절 행사는 한인회관에서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1.
1763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 새 감염자 3분의 2로 급감... 하루 6천 명 수준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1.
1762 캐나다 트뤼도 총리, 트럭 시위 “멈춰야 한다”고 언급 file Hancatimes 22.03.02.
1761 캐나다 퀘벡주, 3월 중순까지 순차적으로 재개 계획 발표 file Hancatimes 22.03.02.
1760 캐나다 퀘벡주 법무부 장관 “판사가 이중 언어 구사할 필요 없다” file Hancatimes 22.03.02.
1759 캐나다 퀘벡주, “오미크론발 5차 대유행”… COVID-19 확진 200만 명 돌파 file Hancatimes 22.03.02.
1758 캐나다 STM, COVID-19 셔틀버스 운영 file Hancatimes 22.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