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일 만족도 1).jpg

직장 내 젊은 사무직 종사자들. 호주 근로자들의 업무 만족도, 직장 내에서의 행복감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조사 결과, 70세 이상 고령의 직장인들은 젊은이들에 비해 3배 이상의 만족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부 호주 커틴대학교 조사... 적은 임금에도 불구, 행복감은 3배 이상

 

직장에서 자기 일에 만족하고 행복감을 느끼는 실질적인 동기는 무엇일까?

호주 전역 1만7천여 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나이 든 고령의 직장인들은 ‘임금’이 아니라 ‘사랑’으로 압축할 수 있는 직장 내 분위기가 만족감을 갖는 핵심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금주 수요일(5일) ABC 방송이 보도했다.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소재 커틴대학교(Curtin University) 연구팀은 호주인의 직장 만족도 조사를 위해 호주 전역 모든 연령층을 선정,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집계한 보고서에 따르면 70세 또는 그 이상의 고령의 직장인은 젊은이들에 비해 직장 내에서 행복감을 느낄 확률이 3배 이상 높았으며, 대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외딴 지역 직장인들의 경우 도시인들에 비해 10%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흥미로운 것은, 직장 내에서 자기 업무에 만족한다는 이들은 만족도가 낮은 직장인들에 비해 실질적인 임금이 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일에 대한 행복감이 반드시 임금과 직결되지는 않는다는 분석이다.

이번 조사 보고서를 작성한 레베카 카셀스(Rebecca Cassells) 교수는 70세를 넘긴 연령에도 직장을 갖고 있는 이들은 직장과 관련된 욕구나 불만에서 벗어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진단된다고 말했다.

베이비부머의 자녀들인 23-37세 사이의 Y세대의 경우 전체 조사 대상자 가운데 가장 낮은 업무 만족도를 보였으며, 이들 중 단지 24%만이 직장생활에 행복하다는 반응이었다.

 

종합(일 만족도 2).jpg

70세의 나이에도 부동산 에이전시 및 여행사를 운영하는 그레임 매카서(Graeme Macarthur)씨. 그는 올해부터 업무를 줄였지만 완전히 손을 놓기에는 자기 일이 너무 즐겁다고 말했다.

 

자기 사업을 하는 그레임 매카서(Graeme Macarthur)씨는 라이센스를 가진 부동산 중개인으로, 부동산업과 여행사업을 하며 아내와 함께 망고 과수원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 70세인 그는 서부 호주(WA) 북부 해안, 부룸(Broome)에 있는 부동산 중개회사 겸 여행사에서 주 6일 일을 하고 있다.

“만약 내가 내 일을 즐기지 않는다면 이 사업은 계속될 수 없을 것”이라는 그는 “20대 시절 나는 말을 타고 여러 목장에서 가축을 관리하는 일을 했고, 돈을 많이 벌지는 못했지만 중요한 점은 그 일 자체가 즐거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매카서씨는 지난해까지 이전과 같은 시간을 부동산 에이전트 및 여행사 일에 전념했고, 일흔이 된 올해부터는 업무 시간을 많이 줄였다. 하지만 그는 완전히 은퇴하기에는 자기 일이 너무 즐겁다고 했다.

아울러 그는 대도시가 아닌 작은 시골 타운에서 일을 한 것이 업무 만족감을 더 많이 느낄 수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번잡한 도시가 아닌 지역의 직장인들이 느낀 만족감은 이번 조사에서 더욱 높다는 것이 확연하게 드러났다. 타스마니아(Tasmania)의 경우 직장인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CT(Australian Capital Territory)와 북부 호주(Northern Territory)가 뒤를 이었다.

서부 호주 지역 직장인들의 경우 주 평균 근무는 46시간으로 조금 많은 편이었지만 업무 만족도는 빅토리아 주와 같은 수준이었다.

커틴대학교 카셀스 교수는 이번 조사 결과 사무직종보다는 야외에서 일하는 이들에게서 더 높은 업무 만족도가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 및 수산업 분야 종사자(직장인)들의 업무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호텔 등 고객 서비스 부문 종사자들의 일에 대한 행복감은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일 만족도 1).jpg (File Size:50.6KB/Download:30)
  2. 종합(일 만족도 2).jpg (File Size:57.1KB/Download:3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01 호주 세계보건기구, 또 하나의 변이 ‘Mu’ 바이러스 모니터링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300 호주 ‘COVID zero’ 불가능... 바이러스와 함께 사는 단계 진입?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99 호주 집단면역 가능한 COVID-19 백신접종률, 달성 시기는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98 뉴질랜드 재외국민 우편투표 허용을 위한 관련 선거법 개정 요청 일요시사 21.09.13.
129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아발론비치 주택, 잠정가격에서 72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6 호주 전염병 사태 따른 ‘록다운’, 도시 거주자들의 지방 이주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5 호주 ANZ 은행, “올해 호주 주택가격 20% 이상 상승할 것”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4 호주 광역 멜번 3분의 1 지역, 주택가격 상승이 가계소득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3 호주 NSW-Queensland 주 정부, 필부 업무 대상 ‘Border Bubble’ 합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2 호주 호주의 ‘mRNA’ 백신 생산 계획,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1 호주 호주 사회상식- 고립된 이들에 대한 관심, ‘R U OK Day’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0 호주 NSW 주 공공보건 명령의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9 호주 NSW 주, 백신접종 받은 이들 제한 완화… 증명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8 호주 9.11 테러 공격 20년… 2001년 9월 11일 사건이 세상을 바꾼 세 가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7 뉴질랜드 뉴질랜드 생물학적 남녀 성별 사라진다? 일요시사 21.09.18.
1286 뉴질랜드 오클랜드 카운실 주최 예정 이벤트들 취소 일요시사 21.09.18.
1285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올 여름부터 새 캠핑 법규 적용 추진 일요시사 21.09.18.
128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하버필드 주택, 잠정가격에서 무려 202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3 호주 로즈의 새 주거 프로젝트, ‘햇볕 나눔’ 위한 ‘힐리어스탯’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2 호주 호주 주택시장 붐… 가격 상승 속도,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1 호주 8월 호주 실업률, 4.5%로 다시 하락하기는 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0 호주 백신접종 마친 호주인, 프랑스 ‘COVID-19 health pass’ 신청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9 호주 “추석은 다문화 국가인 우리가 가진 다채로움의 일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8 호주 경제 전문가들, 부동산 부문에 치중된 지나친 자금 투입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7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 향후 수년간 우리의 삶은 어떻게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6 호주 캔버라-시드니-멜번, 세 도시 록다운 조치의 차이점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5 호주 NSW 주 총리, “COVID 핫스폿 대상 더 엄격한 제한은 최악의 옵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4 호주 호주 12~15세 아동-청소년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배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어스킨빌의 4개 침실 테라스 주택, 324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72 호주 시드니 지역 해변 5km 이내 주택가격, 도시 평균의 최대 4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71 호주 호주 주거용 부동산 총 가치, 올해 말 9조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70 호주 NSW 주 정부, ‘Service NSW 앱 활용한 ‘백신 여권’ 시범 실시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9 호주 팬데믹 상황 길어지자 가정폭력 사례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8 호주 팬데믹으로 호주 고용시장 크게 변화… 7명 중 1명, 보건 분야 종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7 호주 연방정부 백신자문그룹 ATAGI, ‘부스터샷’ 배제 안 해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6 호주 COVID-19 예방접종, 감염위험 차단 정도와 그 지속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5 호주 호주 대학졸업자들, 전공 분야 직업 얻기까지 시간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4 호주 NSW 주 정부, 공공보건 명령 완화 ‘3단계 로드맵’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3 호주 NSW 주의 제한 완화 로드맵… 꼭 알아야 할 것들(This is what you need to know)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2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근로 패턴, 어떻게 바뀔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960년대 지어진 주택, 잠정가격에서 50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60 호주 호주 인구성장률 감소 불구, 지속적인 주택가격 상승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9 호주 연방정부, 전 세계 일부 국가 시행 중인 ‘빠른 항원검사’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8 호주 NSW 주, ‘제한 완화’ 대비… COVID-19 격리 규정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7 호주 디지털 ‘COVID-19 백신접종 증명서 활용’ 계획 속, ‘위조 가능성’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6 호주 모리슨 총리, 국경 제한 변경… 11월부터 해외여행 재개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5 호주 연방정부의 국경 재개 계획...국제 여행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4 호주 NSW 주 총리 이어 부총리까지… 집권 여당 의원들, 사임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3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재무장관, 제46대 주 총리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뱅시아 주택, 잠정가격에서 5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