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범죄율 1).jpg

NSW 주 경찰청 ‘범죄조사통계국’(Bureau of Crime Statistics and Research)의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한 해 동안 강도와 사기는 급격히 감소했으나 살인과 가정폭력은 이전 수준 그대로인 것으로 드러났다.

 

수퍼마켓 절도범은 증가, 살인 및 가정폭력 그대로

 

NSW 주의 범죄발생 비율이 40년 만에 최저로 감소했다

금주 월요일(3일) ABC 방송은 NSW 주 경찰청 ‘범죄조사통계국’(Bureau of Crime Statistics and Research)이 발표한 연례 보고서를 인용, 2016년 한 해 동안 발생한 대부분의 주요 범죄 유형에서 범죄발생이 감소되거나 일부 유형에서는 예전 수준으로 유지됐다고 보도했다.

범죄조사통계국의 돈 웨더번(Don Weatherburn) 박사는 “NSW 주의 강도사건은 1970년대 수준으로 줄었으며, 자동차 절도범은 1970년대 초기 이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언급한 뒤 “현재 재산 및 폭력범죄 관련 주요 부문만 보면 어느 때보다 안전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통계국 집계에 따르면 유형별로 강도, 침입절도, 자동차 절도, 사기 부문의 범죄발생은 크게 줄어들었으며 살인, 가정폭력, 성범죄의 경우 이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슈퍼마켓 절도범 증가...

식료품 외에 여러 품목 훔쳐

 

가게에서 물건을 훔치는 사건은 지난해 6.1%가 증가했다. 이중 수퍼마켓과 백화점의 절도행위가 각각 59%, 24%를 차지했다. 가장 많이 도난당하는 품목에는 술, 옷, 화장품, 면도기 등이 있었다.

웨더번 박사는 “도난 대상 물품은 상당수가 고가품”이라며 “이런 제품들만을 위한 시장이 있고, 이 시장이 형성되면 이 상품들을 훔쳐오는 사람에 대한 인센티브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종합(범죄율 2).jpg

2016년 한 해 동안 NSW 주의 전반적인 범죄율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수퍼마켓의 절도 범죄는 더욱 증가했다. 특히 화장품, 술, 의류 등의 절도가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NSW 경찰, 현재 상태에

만족해서는 안 된다” 경고

 

NSW 주의 전반적인 범죄율은 감소했지만 센트럴 코스트(Central Coast)를 포함한 일부 지역에서의 특정 유형 범죄 행위는 늘어났다.

센트럴 코스트 지역의 가정범죄는 21.5%, 성추행 21.6%, 침입절도 12.6%, 절도 및 자동차 도난은 18.1%가 증가했다.

더보(Dubbo) 지역의 경우 침입절도 22.4%. 자동차 절도 34.8%, 가게절도 28.3% 강도범죄 발생이 13.7% 높아졌다.

이와 관련, NSW 주 경찰부의 트로이 그란트(Troy Grant) 장관은 “가정폭력과 같은 범죄는 한 지역에 한 사건만 있어도 많은 것”이라며 “이번 결과만을 놓고 안심해서는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범죄율 1).jpg (File Size:45.1KB/Download:24)
  2. 종합(범죄율 2).jpg (File Size:69.3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01 호주 세계보건기구, 또 하나의 변이 ‘Mu’ 바이러스 모니터링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300 호주 ‘COVID zero’ 불가능... 바이러스와 함께 사는 단계 진입?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99 호주 집단면역 가능한 COVID-19 백신접종률, 달성 시기는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98 뉴질랜드 재외국민 우편투표 허용을 위한 관련 선거법 개정 요청 일요시사 21.09.13.
129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아발론비치 주택, 잠정가격에서 72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6 호주 전염병 사태 따른 ‘록다운’, 도시 거주자들의 지방 이주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5 호주 ANZ 은행, “올해 호주 주택가격 20% 이상 상승할 것”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4 호주 광역 멜번 3분의 1 지역, 주택가격 상승이 가계소득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3 호주 NSW-Queensland 주 정부, 필부 업무 대상 ‘Border Bubble’ 합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2 호주 호주의 ‘mRNA’ 백신 생산 계획,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1 호주 호주 사회상식- 고립된 이들에 대한 관심, ‘R U OK Day’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0 호주 NSW 주 공공보건 명령의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9 호주 NSW 주, 백신접종 받은 이들 제한 완화… 증명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8 호주 9.11 테러 공격 20년… 2001년 9월 11일 사건이 세상을 바꾼 세 가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7 뉴질랜드 뉴질랜드 생물학적 남녀 성별 사라진다? 일요시사 21.09.18.
1286 뉴질랜드 오클랜드 카운실 주최 예정 이벤트들 취소 일요시사 21.09.18.
1285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올 여름부터 새 캠핑 법규 적용 추진 일요시사 21.09.18.
128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하버필드 주택, 잠정가격에서 무려 202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3 호주 로즈의 새 주거 프로젝트, ‘햇볕 나눔’ 위한 ‘힐리어스탯’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2 호주 호주 주택시장 붐… 가격 상승 속도,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1 호주 8월 호주 실업률, 4.5%로 다시 하락하기는 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0 호주 백신접종 마친 호주인, 프랑스 ‘COVID-19 health pass’ 신청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9 호주 “추석은 다문화 국가인 우리가 가진 다채로움의 일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8 호주 경제 전문가들, 부동산 부문에 치중된 지나친 자금 투입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7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 향후 수년간 우리의 삶은 어떻게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6 호주 캔버라-시드니-멜번, 세 도시 록다운 조치의 차이점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5 호주 NSW 주 총리, “COVID 핫스폿 대상 더 엄격한 제한은 최악의 옵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4 호주 호주 12~15세 아동-청소년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배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어스킨빌의 4개 침실 테라스 주택, 324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72 호주 시드니 지역 해변 5km 이내 주택가격, 도시 평균의 최대 4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71 호주 호주 주거용 부동산 총 가치, 올해 말 9조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70 호주 NSW 주 정부, ‘Service NSW 앱 활용한 ‘백신 여권’ 시범 실시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9 호주 팬데믹 상황 길어지자 가정폭력 사례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8 호주 팬데믹으로 호주 고용시장 크게 변화… 7명 중 1명, 보건 분야 종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7 호주 연방정부 백신자문그룹 ATAGI, ‘부스터샷’ 배제 안 해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6 호주 COVID-19 예방접종, 감염위험 차단 정도와 그 지속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5 호주 호주 대학졸업자들, 전공 분야 직업 얻기까지 시간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4 호주 NSW 주 정부, 공공보건 명령 완화 ‘3단계 로드맵’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3 호주 NSW 주의 제한 완화 로드맵… 꼭 알아야 할 것들(This is what you need to know)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2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근로 패턴, 어떻게 바뀔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960년대 지어진 주택, 잠정가격에서 50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60 호주 호주 인구성장률 감소 불구, 지속적인 주택가격 상승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9 호주 연방정부, 전 세계 일부 국가 시행 중인 ‘빠른 항원검사’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8 호주 NSW 주, ‘제한 완화’ 대비… COVID-19 격리 규정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7 호주 디지털 ‘COVID-19 백신접종 증명서 활용’ 계획 속, ‘위조 가능성’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6 호주 모리슨 총리, 국경 제한 변경… 11월부터 해외여행 재개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5 호주 연방정부의 국경 재개 계획...국제 여행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4 호주 NSW 주 총리 이어 부총리까지… 집권 여당 의원들, 사임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3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재무장관, 제46대 주 총리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뱅시아 주택, 잠정가격에서 5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