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발치로 이어질 수도, 40대 이후 인구 70% 이상에 발생

(서울=코리아위클리) 이준수 치과의 = 간혹 고등학생 중에 치과가 편해보여서 치과대학에 가고 싶다는 학생들도 있는데 그것은 정말 아닙니다.

사랑니를 뽑거나 입안에 임플란트 등의 수술을 할 때는 시간도 오래 걸리고 힘듭니다. 특히 여학생들 중에 힘들어하는 사람도 있지요. 오늘은 치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중의 하나인 잇몸질환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40대 이상 대부분 잇몸에 이상

충치가 주로 어린 나이에서부터 시작해 청년기까지 많이 발생한다면, 잇몸질환은 젊을 때도 생기지만 주로 40대 이후에서 많이 생기고 40대 이상 인구의 대부분인 70% 이상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증상이 있을 때 잇몸이 안 좋다고 해야 할까요? 주로 이가 시리거나, 이가 흔들린다거나, 이가 솟구친 느낌, 잇몸이 부었을 때, 잇몸 색이 빨갛게 되었을 때, 잇몸에서 피가 많이 날 때, 그리고 음식물을 잘 씹기 어려울 정도로 이가 힘을 못 받을 때 등 여러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잇몸이 욱신거린다는 표현도 많이 쓰지요. 표현할 수 있는 거의 대부분의 증상인가요?

이런 잇몸 질환을 잘 관리하고 병이 더 진행되지 않게 하는 것이 충치일 때보다 더 중요한데, 그 이유는 치아를 살리느냐 마느냐가 걸려있기 때문입니다. 전에 충치 치료도 말씀드렸지만, 충치는 많이 진행되어 신경치료 할 지경이 되더라도 잇몸 뼈 만 튼튼하면 신경치료 후 이를 해 넣을 수 (Crown)있습니다.

그러나 잇몸질환은 만성 질환입니다. 서서히 병의 정도가 심해져서 “아 이제는 못 참겠고 병원 한 번 가 봐야지.” 하고 오시는 분들은 검사를 해보면 이를 살릴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하나도 안 썩었는데 이를 빼야 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집니다.

충치는 신경치료 후 한 번 더 쓸 수 있는 기회가 있지만, 잇몸질환은 병이 진행되면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가 없고 병의 진행속도를 늦추게 하거나 치아를 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기에 더 잘 알고 관리하셔야 합니다.

잇몸질환의 첫단계, 플라그
 

health.jpg

 

너무 겁을 드렸나요? 무엇이든지 알고 나면 별거 아니고 이길 수 있습니다. 잇몸 병에 관한 모든 것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시면 정상적인 잇몸과 병이 생긴 잇몸을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은 정상이고 우측은 병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잇몸 뼈가 내려가고 있습니다. 이런 잇몸질환은 어떻게 생기게 될까요?

충치는 음식물이 치아의 씹는 면에서 잘생기나 잇몸질환은 치아와 잇몸이 만나는 부위에서 대부분 시작됩니다.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미세한 가루들이 음식에서 나오게 되고, 그것들이 침과 만나게 되면 입안에 얇은 막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것은 식사 후 칫솔질을 구석구석 하게 되면 다 사라집니다. 그러나 시간이 오래 경과되도록 잇솔질을 하지 않으면 그 막이 한 겹, 두 겹 식사할 때마다 쌓여서 두꺼운 막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것을 보통 플라그(Plaque)라고 합니다(1단계).

이쯤 되면 일반 적인 잇솔질로는 잘 제거가 안됩니다. 4~5배쯤 열심히 닦으면 없어질까요?

두번째 단계, 치석

이 상태가 또 지속이 되면 음식물 찌꺼기, 침, 그리고 입안의 나쁜 세균까지 뭉쳐진 한 겹의 단단한 층이 형성됩니다. 이제부터는 침 속의 칼슘(calcium)성분과 합해져서 단단한 돌(치석, calculus, tartar)로 변해갑니다. 그 단단한 돌이 치아와 잇몸 사이에서 점점 시간이 지날수록 크기를 키워갑니다. 석회 동굴 아시지요? 세월이 오래되어 종유석이 점점 길어지고 또 아래에서 돌이 솟아올라 돌이 점점 커지는 모습.

치아에서 처음 생긴 얇은 막의 돌은 조금씩 조금씩 이와 잇몸 사이로 파고 들어가며 커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를 둘러싸고 있는 잇몸뼈에 물리적 자극을 주게 되고 거기에 더해 세균이 독소를 뿜어내어 주변 잇몸뼈를 녹이게 됩니다.

초기에는 잇몸이 약간 붓고 피가 나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소염진통제(Brufen,Ibuprofen 등)를 먹게 되면 일시적으로 가라앉고 통증도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나 병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이 단계까지도 치료의 여지는 충분히 있습니다(2단계).

이 상태에서 치과에 오시게 되면 간단한 입안 청소(cleaning,scaling)로 치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조금 심한 경우는 잇몸소파술(curettage)이라는 치료도 받게 되지요. 더 진행된 잇몸병과 치료에 대해서는 다음에 더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전 일산 치과 원장>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70 미국 “2018년 새해 비전, 신임 단체장들에게 듣는다” 뉴스코리아 18.01.07.
1369 미국 UTA 1월 13일(토) 한인 대학 교수들 위한 워크숍 뉴스코리아 18.01.07.
1368 미국 선천적 복수국적자 구제 청원 캠페인 뉴스로_USA 18.01.09.
1367 캐나다 캘거리 서정진 신임 한인회장 신년사 CN드림 18.01.10.
1366 미국 “우리 함께 동행합시다” file 뉴스앤포스트 18.01.10.
1365 미국 알재단 2018봄학기 미술강의 11일 개강 file 뉴스로_USA 18.01.10.
1364 미국 포트워스 한인회 신년 하례식 “실천하는 한인회” 천명 KoreaTimesTexas 18.01.10.
1363 미국 달라스 한인회, 정창수 이사장 재임 “힘찬 재도약” KoreaTimesTexas 18.01.10.
1362 미국 한국 간호대학생 13명, 미국 간호체계 탐방 KoreaTimesTexas 18.01.10.
1361 미국 달라스 한국 여성회, 이송영 신임회장 ‘사임’ KoreaTimesTexas 18.01.11.
1360 미국 대한항공,18일부터 제2터미널에 내린다! KoreaTimesTexas 18.01.11.
1359 미국 플러싱타운홀 韓공연..2018년 프로그램 file 뉴스로_USA 18.01.12.
1358 미국 美로이스연방의원, 韓정치인 후계구도 file 뉴스로_USA 18.01.12.
1357 캐나다 노인회 회장단, 회관 매각에 부정적 밴쿠버중앙일.. 18.01.12.
1356 캐나다 한인회관 매각 "노인회 뜻 절대로 따르겠다" 밴쿠버중앙일.. 18.01.12.
1355 캐나다 한인회관 매각 공청회 취소 밴쿠버중앙일.. 18.01.12.
1354 캐나다 로버슨 밴쿠버시장 "4선 불출마" 밴쿠버중앙일.. 18.01.12.
1353 캐나다 아직 빈 일자리 넘치는 캐나다 밴쿠버중앙일.. 18.01.12.
1352 캐나다 G7 국가 중 캐나다 GDP 최하점...왜? 밴쿠버중앙일.. 18.01.12.
1351 미국 13일(토) 한인타운 퍼레이드 연다! KoreaTimesTexas 18.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