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영현 1492그린클럼 회장 등 기념

 

뉴스로=노창현특파원 newsroh@gmail.com

 

 

20170412_104428.jpg

 

 

고향을 떠난 애달픈 사연의 한국나무들이 9.11 영령(英靈)들을 위로한다.

 

뉴저지의 9.11 추모공원에 미스김 라일락 12그루를 심는 기념행사가 열리게 돼 관심을 모은다. 환경인권단체 1492그린클럽(회장 백영현)은 1일 팰리세이즈팍 9.11추모공원에서 미스김라일락 12그루 식수(植樹) 행사를 갖는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11시 팰리세이즈팍 타운 주관으로 열리는 행사엔 제임스 로툰도 시장과 공원국 관계자, 한인사회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백영현 회장은 “팰팍 타운과 함께 그동안 메모리얼 파크를 기릴 수 있는 조경(造景)을 협의해왔다”면서 “우리 한인들이 미국사회의 일원으로 아픔을 함께 하고 적극적인 참여의식을 불러 일으키는 뜻에서 여러 언론사와 뜻있는 이들이 참여하게 됐다”고 밝혔다.

 

12그루의 미스김라일락은 백영현 회장과 ‘글로벌웹진’ 뉴스로 등 언론사들과 한인단체들, 한국의 1492그린클럽 회원 4명이 한그루씩 기증(寄贈) 했다. 9.11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의미로 9년생 한그루와 어린 묘목 11그루를 심게 됐다.

 

 

20170412_110845.jpg

 

 

9.11 참사이후 그라운드 제로의 철골 잔해(殘骸)들은 미 전역의 타운에 추모공원이 조성되도록 조금씩 제공됐다. 팰팍 버겐 블러바드와 12스트릿이 만나는 구간에 있는 메모리얼 파크는 지난 2014년 조형물이 세워졌고 이번 기념식수를 계기로 더욱 아름다운 조경이 이뤄질 전망이다.

 

잘 알려진대로 미스김 라일락은 지난 1948년 럿거스대 식물학자 매더가 북한산에서 채취한 흰정향나무 열매를 미국에 갖고 들어와 품종을 개량해 오늘날 ‘라일락의 여왕’으로 불릴만큼 세계 많은 지역에서 사랑받고 있다.

 

백영현 회장은 우리의 굴곡진 역사와 닮은 미스김 라일락을 그간 팰팍 위안부기림비 주변에 심고 뉴욕 뉴저지의 초‧중학교에 기증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역사와 환경을 교육하는 일을 해왔다.

 

백영현 회장은 “앞으로 미스김 라일락과 함께 주변에 사철나무를 심고 뒤쪽에 야생장미들을 조성해 아름다운 공원으로 만들 생각이다. 그동안 추모공원을 잘 모르는 한인들이 많았는데 앞으로 많은 발걸음이 이어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DSC_0912.jpg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미스김라일락’ 70년만의 귀향 프로젝트 (2016.5.26.)

美 환경운동가 백영현회장'라일락공원' 등 특별전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5151

 

  • |
  1. 20170412_104428.jpg (File Size:145.3KB/Download:18)
  2. 20170412_110845.jpg (File Size:185.7KB/Download:21)
  3. DSC_0912.jpg (File Size:159.2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717 캐나다 2월 15일은 캐나다 국기의 날 file 밴쿠버중앙일.. 22.02.16.
7716 캐나다 버나비 우버 운전자 폭행범 26세 남성 검거 file 밴쿠버중앙일.. 22.02.15.
7715 캐나다 BC 코로나19 사망자 널뛰기로 증감...11일 17명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2.02.15.
7714 캐나다 트럭 운전자 백신 의무화 시위에 국민 냉담 file 밴쿠버중앙일.. 22.02.15.
7713 미국 유니버설 올랜도 야심작 '에픽 유니버스', 윤곽 드러났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2.14.
7712 미국 미국 고용치 크게 늘었다... 1월 고용, 예상보다 3배 높아 file 코리아위클리.. 22.02.14.
7711 미국 플로리다 유력 주 의원, "디즈니, 직원들에 인종주의 교육" 주장 file 코리아위클리.. 22.02.14.
7710 캐나다 송해영 총영사, 최병하 BIA 회장 면담 6.25참전유공자회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22.02.12.
7709 캐나다 코로나 확진자 전국적 감소 불구 치명률 위험 여전 file 밴쿠버중앙일.. 22.02.12.
7708 캐나다 코퀴틀람서 66세 남성 칼에 찔려 생명 위독 file 밴쿠버중앙일.. 22.02.12.
7707 캐나다 밴쿠버 한 복판에 울려퍼진 '아름다운 금강산' file 밴쿠버중앙일.. 22.02.11.
7706 캐나다 밴쿠버총영사관, 3월 1일부터 비자 접수 확대 공증 접수 축소 file 밴쿠버중앙일.. 22.02.11.
7705 캐나다 BC 코로나19 사망자 수 널뛰기...9일 18명 나와 file 밴쿠버중앙일.. 22.02.11.
7704 캐나다 트럭 기사 백신 의무 반대 시위 지지 겨우 32%...62%가 반대 밴쿠버중앙일.. 22.02.10.
7703 캐나다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문화강좌에 참여하세요 밴쿠버중앙일.. 22.02.10.
7702 캐나다 8일 BC 확진자 1117명, 사망자 0 file 밴쿠버중앙일.. 22.02.10.
7701 미국 "인종주의는 공공의 적"... 신나치 시위에 들끓는 플로리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9.
7700 미국 플로리다 대학들, 온라인 학사프로그램 전국 '최고'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9.
7699 미국 남부플로리다 웨스트 보카, 신규 개발 '핫 스팟'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9.
7698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 신규 감염 대폭 줄고 사망자는 '여전'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