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9-6.jpg





1886년 6월 4일 조선시대 고종의 왕권 아래, 한국과 프랑스의 우호 통상조약이 맺어진다. 이후 지금까지 한국과 프랑스는 꾸준한 외교 관계가 이어지고 있다. 2013년 박근혜 대통령의 방불 시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과 합의 하에 양국간 새로운 우정의 다짐과 더욱 활발한 상업, 문화 교류를 위하여 “한-불 상호교류의 해”를 재정하기로 결정하였다. 프랑스에서는 2015년, 한국에서는 2016년을 한 해간 “한-불 수교 130주년”으로 지정하였다. 올 해 9월부터 2016년 8월까지 한 해간 프랑스에서는 한국을 특별히 빛내고 문화, 교육, 과학 활동 분야에서 한국이 특별 초청 될 것이다.






지난 18일 금요일 저녁, 에펠탑을 마주하고 있는 샤이오 극장에서는 한국의 전통 음악이 울려 퍼지며 한불수교 130주년을 기념하는 ‘한불 상호교류의 해’ 행사의 화려한 막이 올랐다. 황교안 국무총리를 비롯한 양국 장관들과 외교계, 문화계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한국 국립국악원의 종묘제례악 공연이 선보여졌다. 1250석의 가득찬 공연장에서는 한 시간 동안 엄숙한 침묵이 흘렀고 관객들은 경이롭고 호기심 가득한 표정으로 동양에서 온 음악과 춤 속으로 빠져 들었다.




초대 공연에 앞서 샤이오 극장 대표인 디디에 대샹의 축하 인사말로 개막식의 순서가 열렸다. 이어 한국 입양아 출신 플뢰르 펠르랭 프랑스 문화장관이 “1년간 260개의 행사들을 통해 한국과 프랑스 문화 교류의 새 지평을 열 수 있게 되었다” 며 “문화 외에도 과학, 연구, 교육 분야에서도 서로의 협력 아래 공동의 발전을 이뤄 나갈 수 있을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로랑 파비우스 외무장관은 “프랑스에 젊은 유학생과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꾸준히 이어져 나가기를 바라며, 한국에도 프랑스의 문화, 대표적으로 음식에 관한 행사들을 통해 프랑스를 알릴 수 있어 기쁘다”고 밝혔다. 


이어 황교안 국무총리는 한국과 프랑스가 같이 공유해 온 역사에 대한 뜻 깊은 과거를 바탕으로 양국의 협력 관계가 깊어지기를 바란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축하 공연으로 특별히 한국국립국악원에서 종묘제례악이 선보여졌다. 연주자와 무용수 그리고 제작진을 포함하면 120명이 투입된 종묘제례악의 해외 첫 대규모 공연이었다. 역대 제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신 사당 “종묘”에서 조상 영혼들을 기리고 국가의 번영과 전쟁의 승리를 위해 보내는 제사인 종묘제례악은 15세기 말부터 1910년까지의 조선시대 궁중음악으로 지금까지 보존된 자랑스런 대한민국 유네스코 무형문화재이다. 제사상에 올라가는 음식, 순서, 그 안에 담긴 염원들에 대한 부연 설명이 불어 자막으로 들어가 관객들의 이해를 도왔다. 프랑스 관객들은 느림의 미학과 우아함 그리고 정교함을 극찬하기도 했다. 




피날레는 종묘제례악 초대 공연 후 에펠탑 조명쇼로 마무리되었다. 귀빈들은 에펠탑과 마주한 큰 접견실에 초대되어 한국의 해에 맞춘 조명쇼를 감상했다. 싸이의 “강남 스타일”의 반주에 맞추어 에펠탑의 조명이 화려하게 반짝이며 리듬과 비트를 묘사했다. 이어서 나윤선의 “아리랑”과 신문희의 “아름다운 나라”의 고운 선율에 맞추어 태극 문양 색깔인 붉은색. 흰색. 파란색의 조명이 비추어졌다. 이로써 양국의 두 상징이 한 데 어우러져 파리의 화려한 밤을 비추며 앞으로의 깊은 우호와 우정을 다짐했다.








【한위클리 / 계예훈 artechrist@gmail.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58 독일 독일, 2030년에도 전문인력 부족할 것 유로저널 14.03.20.
1257 영국 영국 정부,스코틀랜드 독립시 국경 봉쇄 유로저널 14.03.20.
1256 프랑스 프랑스 정년퇴직 75세 ?, 노령화 사회를 대비하는 대기업들의 자세 유로저널 14.03.20.
1255 영국 체코, 유로화 도입위한 재정적자와 물가 부분에서 충족 못시켜 유로저널 14.03.20.
1254 독일 폴란드, 우크라이나 사태로 정치와 경제 모두 불안 유로저널 14.03.20.
1253 기타 스페인 영화, 테러리즘을 마주하다 유로저널 14.03.20.
1252 독일 오스트리아, 투자 증대로 중국 위상 높아져 유로저널 14.03.21.
1251 독일 OECD, 유로존 사회 분열 경고 file 유로저널 14.03.24.
1250 독일 난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국가, 독일 file 유로저널 14.03.25.
1249 영국 G7 정상,러시아 고립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file 유로저널 14.03.26.
1248 프랑스 시테국제기숙사촌 한국관 건립 약정 서명식 file 프랑스존 14.03.26.
1247 영국 스코틀랜드 독립하면 영국 대학생들 학비 내야 file 유로저널 14.03.27.
1246 스페인 스페인 천주교신자들,낙태와 동성결혼에 찬성 file 유로저널 14.03.28.
1245 영국 영국 육류 제품중에 다른 고기 뒤섞여 판매 심각해 file 유로저널 14.03.30.
1244 영국 유럽 젊은이들,자립어려워 부모와 함께 살아 file 유로저널 14.03.31.
1243 프랑스 프랑스 성인 4명 중 1명,이명 증상 시달려 file 유로저널 14.03.31.
1242 독일 독일 이주가정 자녀, 앞으로 이중국적 허용 file 유로저널 14.04.05.
1241 영국 영국, 앞으로 자식에 대한 애정 표현 결여는 범죄 file 유로저널 14.04.05.
1240 베네룩스 유럽 경제 위기, 갈수록 악화되어 file 유로저널 14.04.06.
1239 영국 세계 웨어러블 컴퓨터 시장, 향후 5 년이내 302억 달러 전망 file 유로저널 14.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