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학교기금).jpg

NSW 주 공립 학교 시설수리 정부 지원금이 연체되 금액이 계속해서 불어나는 가운데, 최근 노동당이 주정부가 배정한 학교기금 액수가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라며 베레지클리안(Berejiklian) 주정부의 무책임한 학교기금 처리실태를 비난했다.

 

루크 폴리 대표, “학교기금 지급 연체로 시설 노후화” 지적

 

NSW 주 정부가 지급해야 할 공립학교 시설 수리 지원금을 제때 지급하지 않아 공립학교들의 운영관리 예산 부족이 계속 불어나는 가운데, 최근 주 정부가 배정한 학교 지원기금이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라며 노동당이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정부의 무책임한 학교기금 처리실태를 비난했다.

금주 화요일(2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현재 연체되어있는 NSW 주 공립학교 시설 수리비 지원금은 7억7,500만 달러에 달한다. 최근 주 정부는 이 중 3억9천만 달러를 한꺼번에 지급하겠다고 밝힌 상태이다.

아울러 NSW 주 베레지클리안 주 수상은 6천만 달러의 ‘특별 예산’을 추가 배정해 여태껏 가장 간과됐던 학교에 지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학교들은 실과 하수처리 시설 개선, 지붕누수 공사, 창문 수리, 카펫 교체 등에 필요한 200만 달러를 각각 지원받게 된다.

롭 스톡스(Rob Stokes) 주 교육부 장관은 “그동안 미뤄왔던 학교 운영관리를 한 번에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상당히 높아진 학교기금의 20%에 달하는 금액”이라며 이번에 책정된 예산액이 높은 금액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NSW 노동당 루크 폴리(Luke Foley) 대표는 성명을 통해 “이 금액은 밀린 학교 시설 수리 및 공사비로 턱없이 부족하다”며 주 정부를 비난했다.

미지급 금액이 가장 큰 학교는 포스터(Forster) 소재 그렛 레이크스 칼리지(Great Lakes College)이다. 가장 노후 정도가 심한 학교로 2015-16년도에만 300만 달러 이상이 필요한 상황이었으나 주 정부 보조금은 195만 달러에 그쳤다.

이어 마스덴 하이스쿨(Marsden High School) $2,882,626, 헐스톤 하이스쿨(Hurlstone Agricultural High School) $2,693,879, 노스미드 창작 및 공연 예술 고등학교(Northmead Creative and Performing Arts High School) $2,170,645 순으로 지원금을 수령하지 못한 학교는 상당히 많았다.

한편 폴리 대표는 긴급 위기상황 지원금도 요청했다. 그는 “학생 수가 늘어남에 따 라 이를 수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학교들이 있는가 하면 한여름, 선풍기도 없는 교실에서 공부하거나 히터가 망가져 한겨울 추위에 떨어야 하는 학교들도 있다”며 “이것이 NSW 주 공교육의 실태”라고 비난했다.

스톡스 장관은 “학교 관리비는 정부가 새로 마련한 기관인 ‘Education Infrastructure NSW’에서 다뤄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장관은 이어 “앞으로 15년 동안 21%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입학생수 급증 대응계획 예산(50억 달러) 문제도 이 기관이 책임을 맡아 해결해야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스톡스 장관실 대변인은 “‘Education Infrastructure NSW’는 각 학교의 한해 보조금을 책정하는 ‘새 생명 사이클 비용 시스템’, 가장 시급한 학교 및 프로젝트에 먼저 보조금을 지급하는 ‘우선순위 분류’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라면서“새 접근법으로 각 학교의 현재 수리비용 금액을 확인하고 미래에 필요한 지원 금액을 예측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레지클리안 주 수상은 “잘 관리된 학교는 보다 나은 교육적 성과를 낸다. 따라서 학교들이 가능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기를 바란다”는 원론적 입장을 언급했다.

그러나 지하드 딥(Jihad Dib) 야당 교육담당 의원도 “시설이 노후된 환경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원하는 교육적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 또한 어렵다”고 반박했다.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는 현재 재정금액 수준에서 필요한 학교 수리비를 해결하려면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스톡스 장관실 대변인은 각 학교에 배정되는 보조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달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학교기금).jpg (File Size:23.0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551 호주 6월 분기 부동산 판매 수익성, 10년 만에 최고 수준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555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뱅시아 주택, 잠정가격에서 5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5549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재무장관, 제46대 주 총리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5548 호주 NSW 주 총리 이어 부총리까지… 집권 여당 의원들, 사임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5547 호주 연방정부의 국경 재개 계획...국제 여행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5546 호주 모리슨 총리, 국경 제한 변경… 11월부터 해외여행 재개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5545 호주 디지털 ‘COVID-19 백신접종 증명서 활용’ 계획 속, ‘위조 가능성’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5544 호주 NSW 주, ‘제한 완화’ 대비… COVID-19 격리 규정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5543 호주 연방정부, 전 세계 일부 국가 시행 중인 ‘빠른 항원검사’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5542 호주 호주 인구성장률 감소 불구, 지속적인 주택가격 상승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554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960년대 지어진 주택, 잠정가격에서 50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5540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근로 패턴, 어떻게 바뀔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39 호주 NSW 주의 제한 완화 로드맵… 꼭 알아야 할 것들(This is what you need to know)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38 호주 NSW 주 정부, 공공보건 명령 완화 ‘3단계 로드맵’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37 호주 호주 대학졸업자들, 전공 분야 직업 얻기까지 시간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36 호주 COVID-19 예방접종, 감염위험 차단 정도와 그 지속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35 호주 연방정부 백신자문그룹 ATAGI, ‘부스터샷’ 배제 안 해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34 호주 팬데믹으로 호주 고용시장 크게 변화… 7명 중 1명, 보건 분야 종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33 호주 팬데믹 상황 길어지자 가정폭력 사례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32 호주 NSW 주 정부, ‘Service NSW 앱 활용한 ‘백신 여권’ 시범 실시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31 호주 호주 주거용 부동산 총 가치, 올해 말 9조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30 호주 시드니 지역 해변 5km 이내 주택가격, 도시 평균의 최대 4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2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어스킨빌의 4개 침실 테라스 주택, 324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5528 호주 호주 12~15세 아동-청소년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배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5527 호주 NSW 주 총리, “COVID 핫스폿 대상 더 엄격한 제한은 최악의 옵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5526 호주 캔버라-시드니-멜번, 세 도시 록다운 조치의 차이점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552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 향후 수년간 우리의 삶은 어떻게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5524 호주 경제 전문가들, 부동산 부문에 치중된 지나친 자금 투입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5523 호주 “추석은 다문화 국가인 우리가 가진 다채로움의 일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5522 호주 백신접종 마친 호주인, 프랑스 ‘COVID-19 health pass’ 신청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5521 호주 8월 호주 실업률, 4.5%로 다시 하락하기는 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5520 호주 호주 주택시장 붐… 가격 상승 속도,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5519 호주 로즈의 새 주거 프로젝트, ‘햇볕 나눔’ 위한 ‘힐리어스탯’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551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하버필드 주택, 잠정가격에서 무려 202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5517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올 여름부터 새 캠핑 법규 적용 추진 일요시사 21.09.18.
5516 뉴질랜드 오클랜드 카운실 주최 예정 이벤트들 취소 일요시사 21.09.18.
5515 뉴질랜드 뉴질랜드 생물학적 남녀 성별 사라진다? 일요시사 21.09.18.
5514 호주 9.11 테러 공격 20년… 2001년 9월 11일 사건이 세상을 바꾼 세 가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5513 호주 NSW 주, 백신접종 받은 이들 제한 완화… 증명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5512 호주 NSW 주 공공보건 명령의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5511 호주 호주 사회상식- 고립된 이들에 대한 관심, ‘R U OK Day’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5510 호주 호주의 ‘mRNA’ 백신 생산 계획,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5509 호주 NSW-Queensland 주 정부, 필부 업무 대상 ‘Border Bubble’ 합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5508 호주 광역 멜번 3분의 1 지역, 주택가격 상승이 가계소득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5507 호주 ANZ 은행, “올해 호주 주택가격 20% 이상 상승할 것”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5506 호주 전염병 사태 따른 ‘록다운’, 도시 거주자들의 지방 이주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550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아발론비치 주택, 잠정가격에서 72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5504 뉴질랜드 재외국민 우편투표 허용을 위한 관련 선거법 개정 요청 일요시사 21.09.13.
5503 호주 집단면역 가능한 COVID-19 백신접종률, 달성 시기는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5502 호주 ‘COVID zero’ 불가능... 바이러스와 함께 사는 단계 진입?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