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 김 의원 등 아시안정치인 목소리 낼 듯

 

뉴스로=민병옥기자 nychrisnj@yahoo.com

 

 

뉴욕주 의회에 아시안 코커스가 첫 결성(結成)됐다.

 

뉴욕의 유일한 한인 선출직 정치인 론 김(김태석) 주하원의원이 중심이 된 아시아 태평양계 지역구 의원들이 결집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론 김 의원(민주 40선거구)과 율린 니우(민주 65선거구) 등 아시아계 의원들과 에드워드 브라운스틴 등 아시계 주민들이 다수 거주하는 지역구를 둔 뉴욕주의 하원의원들이 아시아태평양입법코커스(APALC) 발족을 선언하는 기념행사를 18일 플러싱 타운홀 앞에서 열었다. 이날 기념행사엔 칼 헤이스티 하원의장과 시민참여센터, 뉴욕가정상담소 등 한인단체 관계자들이 함께 했다.

 

 

아시안태평양코커스.jpg

 

 

아시아태평양코커스는 관련 의원들이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아시아계 주민들의 현안(懸案)과 관련한 법안 발의 등 권익 증진을 위한 활동을 본격적으로 펼치게 된다. 코커스 임시 의장은 론 김 의원이 맡았다.

 

APALC는 뉴욕주에서 아시안 인구가 11% 이상인 관할 지역구를 맡고 있는 주하원이라면 누구나 회원으로 가입될 수 있다. 현재 17명의 창설 멤버들이 모인 APALC는 우선 아시안 태평양계 주민들과 관련된 지역구 의원들을 중심으로 회원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론 김 의원은 "뉴욕시 인구의 11%, 뉴욕주 인구의 9%가 아시안임에도 불구, 이들의 정치적인 입장을 대변해 줄 코커스가 없었다."면서 "이번 코커스 결성으로 아시안 커뮤니티를 위한 입법 활동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칼 헤이스티 하원의장은 "인종과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뉴욕주에서 다른 소수 인종들은 모두 각자의 코커스가 있는데 아시안 커뮤니티를 위한 코커스는 없었다"며 "이번 아시안 코커스를 통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아시안 인구와 이민자 커뮤니티를 위한 다양한 제도들이 논의되고 제정되길 기대한다"고 격려했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 |
  1. 아시안태평양코커스.jpg (File Size:149.6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57 캐나다 정요셉장학금, 179명에게 43만 달러 전달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9.
1856 미국 바이든 취임 1주년 기자회견 "기대 뛰어넘은 진전" 자평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1.
1855 캐나다 주캐나다한국문화원, 2022년 SNS 명예기자단 모집 밴쿠버중앙일.. 22.02.01.
1854 캐나다 국제투명성기구 국가청렴도, 한국 32위 그럼 캐나다는?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1.
1853 캐나다 27일 기준 전국 일일 확진자 수는 1만 8497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1.
1852 캐나다 존 호건 BC주수상의 설날 E-연하장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2.
1851 캐나다 주밴쿠버총영사관 행정직원 채용 공고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2.
1850 캐나다 BC 주말 3일간 사망자 19명·확진자 4075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2.
1849 캐나다 BC 오미크론 절정기 지났으나 치명률은 여전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3.
1848 캐나다 밴쿠버테니스협회 서용석 코치이사 대한체육회로부터 공로패 수상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3.
1847 캐나다 송 총영사와 스티브 코퀴틀람 시의원과 화상면담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3.
1846 캐나다 62%의 국민 "이미 코로나19 최악의 상황 지나갔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5.
1845 캐나다 밴쿠버 이스트헤이스팅 통과 대중교통 버스 유리창 26개 파손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5.
1844 캐나다 BC주 장관들 입모아 '한인 중요성 인식한다'고 밝혀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5.
1843 미국 올랜도 주택가격 지난해 17% 올라, 중위 가격 31만달러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1842 미국 파우치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 확산 2월이 피크" 예측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1841 미국 "연준, 인플레이션으로 네 차례 이상 기준금리 인상"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1840 미국 미국 비이민 비자 신청 수수료 대폭 오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1839 미국 플로리다 상어 공격 28건, '수도' 자리 재탈환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1838 미국 지난해 미국 경제성장률 5.7%, 37년 만에 가장 큰 폭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