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리나 첸 후보(가운데 빨간색 상의)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신재경 전의원(첸 후보 오른쪽 2번째)이 참석해 한인사회의 지지를 전달했다.

 

한인사회 주정부 대변할 주의원 부재

코목스 부재자 표차이 벌어지고

코퀴클람-버크마운틴은 표차 최소

 

지난 9일 BC주 총선이 치러져 박빙의 승부를 보인 가운데 BC주의 집권당이 누가 될 지는 부재자 표 개표를 마치는 24일부터 25일 사이에 결정이 날 듯 하다.

 

현재 BC주 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22일(월)부터 부재자(자신의 선거구 이외 지역에서 투표를 한 경우) 개표에 들어가 24일까지 3일간 진행한다.

 

그런 가운데 최초 개표에서 9표 차이를 보였던 코트니-코목스의 개표 결과가 반전에 반전을 보이고 있다.

9표 차이로 NDP 후보가 22일 자동 재검표에서 13표 차이로 벌어지며 자유당의 단독 정부 수립의 희망이 사라지는 듯 했다.

 

그러나 23일 오후 12시 선관위의 2,077명의 부재자 합산 투표 결과에서 자유당의 짐 비기너가 10,098표로 NDP의 로나 래 레오나르드 후보의 10,095표다 3표 더 많다는 결과가 나왔다.

 

현재 3표 밖에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재검표의 가능성도 열려 있어 아직 자유당이 환호를 할 상태는 아니지만 이대로 결과가 굳어진다면 자유당은 녹색당의 협력 없이 과반수 정부를 수립할 수 있다.

 

지난 9일 총선 이후 1차 개표 결과에서는 자유당이 43표, NDP(신민당)이 41표 그리고 녹색당이 3표로 과반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이 없었다.

 

한 개의 의석으로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한 자유당은 이번 부재자 투표 결과에 따라 단독 정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번에 부재자 투표 수는 18만 표에 달하기 때문에 10일 발표된 초기 투표 결과와 다른 결과가 나올 공산도 커 보인다.

 

87개의 각 선거구에서 평균적으로 약 2,000표의 부재자 표가 개표되기 때문이다.

코트니-코목스 이외에도 메이플릿지-미션도 120표 차이로 NDP 후보가 겨우 앞서 있기 때문에 최종 개표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 

 

코퀴틀람-버크마운틴도  23일 오후 12시 현재 215표 차이로 자유당이 앞서 있지만 부재자 투표에서 결과가 바뀔 경우 다시 자유당은 과반수 정부를 세우지 못하고 누가 녹색당과 연정을 하느냐에 따라 정부의 주인이 바뀔 수 있는 상황이다.

 

이번에 코트니-코목스 이외에 밴쿠버-폴스클릭도 재검표에 들어갔다. 

 

해당 선거구는 400표의 차이가 나지만 자유당도 NDP도 아닌 제3자에 의해 재검표 요청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번 주총선에서 신재경 의원이 불출마를 하고 또 자유당 후보로 나온 스티브 김이 초기 개표에서 부재자 투표로도 역전할 수 없는 큰 표 차이로 벌어져 있어 주정부에 한인 사회를 직접 대변할 주의원은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이외에도 한인사회에 우호적이고 스티브 김과 호형호제를 하던 앰리 버크 전 기술혁신시민부(Ministry of Technology, Innovation & Citizens' Services) 장관도 낙선을 해 한인 목소리를 내 줄 차선책도 사라진 셈이다.

 

현재 신재경 의원의 뒤를 이어 버나비-로히드 지역구에서 당선된 카트리나 첸 후보가 야당의원으로 당선이 확실하지만 한인사회의 대변자가 돼 줄지는 미지수이다.

 

대만계로 버나비 시에서 앤 캥과 같이 최초 주의원이 된 첸 후보는 선거기간 중 다른 선거구이지만 스티브 김 후보와 좋지 않은 공방을 펼친 바 있다.

 

또 최초로 대만계로 주의원이 확실시 되는 첸 후보가 신 의원처럼 소수민족을 다 어우르는 의정활동을 할 지 아닌지는 두고 봐야 할 상황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57 캐나다 정요셉장학금, 179명에게 43만 달러 전달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9.
1856 미국 바이든 취임 1주년 기자회견 "기대 뛰어넘은 진전" 자평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1.
1855 캐나다 주캐나다한국문화원, 2022년 SNS 명예기자단 모집 밴쿠버중앙일.. 22.02.01.
1854 캐나다 국제투명성기구 국가청렴도, 한국 32위 그럼 캐나다는?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1.
1853 캐나다 27일 기준 전국 일일 확진자 수는 1만 8497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1.
1852 캐나다 존 호건 BC주수상의 설날 E-연하장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2.
1851 캐나다 주밴쿠버총영사관 행정직원 채용 공고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2.
1850 캐나다 BC 주말 3일간 사망자 19명·확진자 4075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2.
1849 캐나다 BC 오미크론 절정기 지났으나 치명률은 여전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3.
1848 캐나다 밴쿠버테니스협회 서용석 코치이사 대한체육회로부터 공로패 수상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3.
1847 캐나다 송 총영사와 스티브 코퀴틀람 시의원과 화상면담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3.
1846 캐나다 62%의 국민 "이미 코로나19 최악의 상황 지나갔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5.
1845 캐나다 밴쿠버 이스트헤이스팅 통과 대중교통 버스 유리창 26개 파손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5.
1844 캐나다 BC주 장관들 입모아 '한인 중요성 인식한다'고 밝혀 file 밴쿠버중앙일.. 22.02.05.
1843 미국 올랜도 주택가격 지난해 17% 올라, 중위 가격 31만달러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1842 미국 파우치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 확산 2월이 피크" 예측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1841 미국 "연준, 인플레이션으로 네 차례 이상 기준금리 인상"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1840 미국 미국 비이민 비자 신청 수수료 대폭 오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1839 미국 플로리다 상어 공격 28건, '수도' 자리 재탈환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1838 미국 지난해 미국 경제성장률 5.7%, 37년 만에 가장 큰 폭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