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기부 1).png

캔버라 의사당에서의 자선기금 발표 현장에서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수상(가운데), 영화배우 러셀 크로(Russell Crowe. 오른쪽)과 함께 한 철광산 기업 억만장자 앤드류 포레스트(Andrew Forrest. 왼쪽) 전 회장. 그는 부인 니콜라씨와 함께 일찌감치 자선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광산재벌 앤드류 포레스트, 단일 기부로는 사상 최대 금액

 

호주 광산 거물 중 하나로 ‘트위기’(Twiggy)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앤드류 포레스트(Andrew Forrest)와 아내 니콜라(Nicola)씨가 4억 달러의 사회기금을 쾌척, 화제가 되고 있다.

금주 월요일(22일) ABC 방송 등 호주언론 보도에 따르면 트위기 부부는 이날 캔버라 국회의사당에서 △암 연구, △현대판 노예 근절 △호주 평등기회 구현 등 6개 부문에 4억 달러를 기부한다고 밝혔다.

이날 그의 기부 발표 자리에는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수상, 노동당 빌 쇼튼(Bill Shorten) 대표, 유명 영화배우 러셀 크로(Russell Crowe) 등이 자리를 함께 했다.

철광석기업 ‘포테스큐 메탈그룹’ 전 회장인 포레스트씨는 “운이 좋아 철강석 경기 활황으로 아내 니콜라와 함께 큰 자금을 축적했고, 사회적 기부를 시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턴불 수상은 “호주 역사상 최고의 ‘박애주의 선물’이자 호주의 최대 규모 기부”라고 묘사했다.

수상은 이어 “호주인들의 자선 활동에 큰 변화를 가져올 만한 일”이라며 “그의 기부로 호주는 물론 전 세계 수천 명의 삶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평가했다.

포레스트 전 회장의 이번 기부로 인해 7천500만 달러의 기금 혜택을 받게 되는 서부호주대학교(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의 다운 프레시워터(Dawn Freshwater) 부총장은 “우리 대학에 최고의 인재를 끌어들이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이 기금은 우리 지역, 지역사회, 호주는 물론 국제사회를 진정으로 변화시키고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기 위한 보다 역동적인 활동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레스트 전 회장은 호주 원주민의 삶의 격차 해소, 현대판 노예제 근절을 위한 활동을 펼쳐온 점이 인정돼 지난해에는 ‘2017 Australian of the Year’(매년 1월26일 ‘Australian Day’에 시상) 서부 호주(WA) 주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포레스트 전 회장의 기부는 현재 호주 사상 가장 많은 자선 금액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2011년 최고경영자 직에서 사임, 현재 비상임 회장으로 있는 포레스트 전 회장은 2013년 그 동안 모은 자산의 상당 부분을 사회에 기부했다. 그런 한편 호주 의료(Ramsay Health Care) 및 미디어(PRIME7 Television) 기업인 폴 람세이(Paul Ramsay)씨는 지난 2014년 사망하면서 자신의 개인 재단에 30억 달러를 기부한 바 있다.

 

앤드류 포레스트는 누구?

 

포르세트 전 회장은 서부 호주 출신으로 그의 집안은 1878년 서부 호주 필바라 지역(Pilbara region)의 민데루(Minderoo)에서 ‘Minderoo Station’이라는 이름의 목장을 시작했다.

그의 증조부(David), 조부(Mervyn) 모두 서부 호주 주 의원으로 봉사했으며, 증조부의 형(John)은 서부 호주 주 수상을 역임했다.

서부호주 대학교에서 경제학과 정치학을 공부한 그는 한때 주식중개인으로 일했다. 이후 30대 초반, 니켈 광산인 ‘Anaconda Nickel’(현 ‘Minara Resources’)를 설립했으며 2003년 철광석 광산 ‘Fortescue Metals Group’를 세웠다. 이 회사는 호주 ‘BHP Billiton’, ‘Rio Tinto’와 함께 3대 철광석 회사로 성장했으며 전 세계 4대 청광석 기업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지난 2011년 최고경영자 직에서 사임, 현재 비상임 회장으로 있는 포레스트 전 회장은 2013년 그 동안 모은 자산의 상당 부분을 사회에 기부했다. 그가 ‘포테스큐 메탈그룹’ 회장직을 내놓은 것도 자선활동을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레스트 전 회장과 부인 나콜라씨는 호주 원주민 교육에 주목해 왔으며 현재 그의 딸(Grace)이 맡고 있는 'Walk Free Foundation'을 통해 현대판 노예 근절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2014년, 이들 부부는 장학재단인 'Mineraloo Foundation'을 통해 향후 10년 동안 6천500만달러를 기부하겠다고 약속했으며 또 다른 장학재단인 F‘orrest Research Foundation’에서는 서부호주 대학교 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연구비를 제공하고 있다.

호주 경제전문지인 BRW(Business Review Weekly)의 연례 조사인 ‘호주 부자 리스트’에서 포레스트 전 회장은 지난해 333억 달러의 순자산(net worth)으로 호주 상이 10대 부자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 포레스트 전 회장의

4억 달러 기부 부문

-차세대를 위한 치명적 암 연구 : 7,500만 달러

-현대판 노예제 근절 : 7,500만 달러

-보다 견고한 커뮤니티 구축 : 5천만 달러

-호주사회의 기회평등 구축 : 5천만 달러

-아동을 위한 최교의 교육기회 제공 : 7,500만 달러

-대학교육 및 연구 : 7,500만 달러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기부 1).png (File Size:291.6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51 호주 광역시드니의 장기화되는 봉쇄 조치, 여성-젊은 근로자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50 호주 바이러스 백신접종 비율 높은 국가들의 입국자 관리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49 호주 호주 TGA, mRNA 유형의 모더나 백신 ‘조만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48 호주 전염병 사태 이후 50명 이상 호주 시민, 해외에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47 호주 모리슨 총리, “모든 직장의 ‘no-jab no-job’ 허용하지 않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46 호주 크라운 그룹, ‘HIA Australian Apartment Complex’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45 호주 NSW 노스 코스트 지역 중간 임대료, 각 주 도시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44 호주 선샤인코스트 주택가격 상승, 퀸즐랜드 주요 도시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43 호주 호주통계청, 올해 ‘인구주택총조사’ 참여 독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42 호주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41 호주 “감정 장애를 가진 이들, COVID-19로 인한 위험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40 호주 호주인 질병 부담의 3분의 1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39 호주 호주 소비자 심리 최저 수준으로 하락... “백신이 희망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38 호주 델타 변이, 젊은층에 심각한 심장 합병증 유발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37 호주 연방 의회위원회, “숙련기술자 영주권 취득 절차 완화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3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뉴포트의 ‘entry-level’ 주택, 215만5천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35 호주 호바트(TAS) 주택가격, 지난 12개월 사이 28.4% 급등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34 호주 예비 주택구매자들, 가격 치솟은 단독주택 대신 아파트로 눈 돌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33 호주 바이러스로 인한 봉쇄 상황 불구, 부동산 가격 상승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32 호주 전염병 사태 이후의 ‘sea-tree change’, 수치가 말해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31 호주 “모든 타스마니아 방문자에게 백신접종 요구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30 호주 “장기적으로, COVID-19 ‘백신여권’ 불기피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29 호주 코로나19 록다운, 광역시드니 지역별 경제적 격차 더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28 호주 “봉쇄 조치 해제는 낮은 수치의 감염자 발생에 달려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27 호주 QLD 및 NSW 주의 주요 아웃백 이벤트, 연기 또는 취소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26 호주 ‘No jab no joy & no job’... 각 국가별 백신접종 관련 정책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25 호주 코로나19 백신 관련, 호주인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24 호주 스트라스필드 등 우려 대상 LGA 근무자, ‘인가 근로증’ 받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1323 뉴질랜드 8월 27일 NZ NEWS,전문가들,오클랜드는 레벨 4 록다운 계속될 것... 일요시사 21.08.30.
1322 뉴질랜드 8월 30일 NZ NEWS, 뉴질랜드 노인 연금, 65세 되면 수혜 자격 일요시사 21.08.30.
132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잠정가 230만 달러 주택, 268만3천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320 호주 호주 전역 주택가격 상승... 70만 달러 대 구입 가능한 곳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319 호주 호주에서 주택가격 가장 높은 지역 중위가격은 얼마?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318 호주 시드니 절반 이상 지역, 주택가격 상승이 가계소득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317 호주 NSW 주 ‘Women of the Year Awards’ 추천 마감 2주 앞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316 호주 감염자 증가 속 예방접종 촉구... 다른 국가 사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315 호주 아프가니스탄 카불 공항 폭탄테러 배후 지목 ‘ISIS-K’ 조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314 호주 부에 대한 적절한 세금 부과, 고령자 의료 서비스 향상 기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313 호주 호주인의 자부심 와틀, ‘Acacia’ 학명을 갖기까지의 식물 논쟁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312 호주 광역시드니 봉쇄 조치 10주, 높은 감염자수 계속되는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311 호주 NSW 주 총리, “백신접종 마친 이들에게 제한 규정 더 완화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310 뉴질랜드 코로나19 경보 4단계 연장, 오클랜드는 8월 31일 까지 일요시사 21.09.03.
1309 뉴질랜드 오클랜드 4단계 유지, 노스랜드 3단계 하향 조정 일요시사 21.09.03.
130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허물어져가는 주택, 가격은 14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307 호주 ‘그랜드 이스트레이크 쇼핑센터’ 내 ‘울워스 기차역’ 개통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306 호주 멜번 단독주택 가격 상승에 유닛 시장도 가파른 성장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305 호주 호주 통계청, 2021 인구주택총조사 마지막 참여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304 호주 자녀 학업 성취도 높이려면 ‘칭찬’ 아끼지 말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303 호주 ‘COVID-19 록다운’ 속에서 번창하는 사업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302 호주 바이러스 대유행, 호주의 심각한 ‘보건 불평등 고착화’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