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 이상 노동인구비율은 점차 감소

 

캐나다가 초고령화 사회로 이행하면서 전체 노동자 3명 중 한 명이 55세 이상 고령 노동자로 나타났다.

연방통계청은 14일 "고령화가 노동 시장 참여율에 미치는 영향(The impact of aging on labour market participation rates)" 보고서가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캐나다의 55세 이상 고령층 노동 참여 인구 비율은 38%이다. 이는 1996년과 비교해 24%가 상승한 수치다. 또 1976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로 가장 높은 고령층의 노동 참여 비율을 기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76년부터 2016년까지 55세 이상 여성 노동 참여 인구 비율은 17%에서 32%로 약 2배 가까이 상승했다. 반면 남성의 경우 32%에서 44%로 상승했다. 

 

이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포함한 모든 고령층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처럼 고령층의 참여율이 높은 현상은 교육 수준과도 상관이 없었다. 

 

예로 65세 이상인 노동 참여 인구 비율은 1996년에 6%에서 2016년에는 14%로, 2배 이상 늘어났다.

이렇게 고령층의 노동참여 비중이 늘어나는 반면 15세 이상의 노동 참여 인구 비율은 오히려 10년 간 감소했다.  

2016년 55세 이상 인구는 전체 노동 인구의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 증가 전망치에 2026년에는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이렇게 고령인구가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요인은 개인의 자산 가치가 줄어들었거나 부채가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그 근거로 모기지를 안고 있는 고령층의 노동참여율이 모기지가 없는 고령층에 비해 높았다.

1999년에서 2012년까지 연령별 모기지 대출에 대한 통계를 보면 55-64세의 경우 9만 6,000달러에서 15만 5,900달러로 늘어났으며, 65세 이상도 7만 7,100달러에서 12만 5,100달러로 높아졌다.

 

결국 모기지 빚때문에 은퇴를 하지 못하고 계속 노동시장에 남아 있게 된다는 의미다.

베이비 붐 세대가 일시적으로 노동시장에서 빠져 나가는 것보다 이들이 일정 부분 노동력으로 남아 있는 것이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또 이들이 부모세대보다 건강도 좋고 수명도 연장이 됐으며, 고령층에 맞는 근로환경과 높은 임금 등으로 더 오래 노동시장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밴쿠버 중앙일보 안슬기 수습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37 미국 미국 내 여행지 1순위 플로리다의 비극 file 코리아위클리.. 22.01.09.
1936 미국 미국 12세이상 부스터샷 허용... 일일환자 50만 명 '폭증'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0.
1935 미국 올랜도 올해 임대료 6~8% 상승 전망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0.
1934 미국 올랜도 테마파크들 ‘테마파크 인사이더상’ 휩쓸어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0.
1933 캐나다 폭우 예보에 또 홍수 범람 우려 높아져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1.
1932 캐나다 상처로 가득 찬 그 시절을 위로하는 영화로 코로나19 극복 기원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1.
1931 캐나다 밴쿠버 평통 신년 정기회의 및 신년하례회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1.
1930 미국 올랜도 기독교 테마공원 홀리랜드, 의료단지로 변모한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1.
1929 미국 플로리다에 눈 오셨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1.
1928 캐나다 BC 주말 3일간 코로나 확진자 6966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2.
1927 캐나다 새해벽두부터 이어지는 메트로밴쿠버의 강력 사건들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2.
1926 캐나다 BC주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저렴한 주택 공급 주체는?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2.
1925 미국 플로리다의 전설적 인디언 전사 '오시올라', 사라지지 않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2.
1924 미국 I-4 익스프레스 7년 공사 마무리 단계… 올해초 개통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2.
1923 캐나다 코로나19로 임시휴업 명령 사업체 구제지원금 신청 시작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3.
1922 캐나다 밴쿠버 2명의 여성들, 낯선 남성들에 추격 당해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3.
1921 캐나다 12일 출근시간 포트만 대교 코퀴틀람 지역 대형 교통사고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3.
1920 캐나다 퀘벡주, 통금 및 개학 연기 등 새로운 COVID-19 규제 시행 file Hancatimes 22.01.13.
1919 캐나다 퀘벡주 낮은 어린이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고민 file Hancatimes 22.01.13.
1918 캐나다 퀘벡주, COVID-19 격리 기간 감축 및 고위험군에게 우선 PCR 검사 진행 file Hancatimes 2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