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테러대비 1).jpg

멜번 브라이튼(Brighton)에서 발생된 인질 사건이 ‘테러’로 규정되면서 NSW 주 정부가 대테러 활동에서 경찰의 총기사용 권한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은 미디어의 질문에 답하는 믹 풀러(Mick Fuller) NSW 경찰청장.

 

경찰 총기 사용권 확대, 무장 경찰 자동소총 소지 허용

 

멜번 브라이턴(Brighton)에서 발생한 아파트 인질 사건 이후 호주에서도 최근 테러 위협이 고조되면서, NSW 주가 경찰의 총기사용 권한을 강화시키고 무장 경찰관의 자동소총 소지를 허용하기로 했다.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NSW 주 수상과 조지 브랜디스(George Brandis) 연방 법무부 장관은 지난 주 목요일(8일) 성명을 통해, 경찰청장이 ‘테러’라고 선언한 사건에 대해 경찰의 법적 공권력을 강화시키기로 발표했다.

베리지클리안 주 수상은 성명을 통해 “NSW 주는 호주 전체 및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법을 가진 나라가 될 것”이라고 천명했다.

믹 퓰러(Mick Fuller) NSW 경찰청장도 “테러에 대처하는 경찰도 위협을 감지하기 어려운 애매한 상황에서 발생되는 갑작스러운 공격으로부터 신변을 보호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NSW 주는 지난 2014년 12월 마틴플레이스(Martin Place)의 린트(Lindt) 초콜릿 카페에서 발생한 인질극 사건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필요한 모든 테러 대응 방안을 받아들이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이번에 도입된 경찰의 추가 총기사용 권한은 선제공격의 일부로, 신속한 결정을 통해 긴급 상황을 통제하고 경찰청장의 지시 아래 꼭 필요시에만 허용해 공권력 남용을 방지하겠다는 계획이다.

NSW 주 경찰부 트로이 그란트(Troy Grant) 장관은 “길거리에서 장총을 든 경찰을 흔히 마주치게 될 것”이라며 “시민들은 이들을 통해 안전함을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NSW 주 정부는 또한 호주 정보당국인 ‘Australian Security Intelligence Organisation’(ASIO)과 정보를 공유하고 테러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가려낼 예정이며, 또한 테러범죄 관련 수감자의 보석 관련법을 강화하고 가석방 시스템을 변경하겠다고 발표했다.

한편 마이클 반스(Michael Barnes) 검시관은 이번 개정법과 관련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경찰의 총기 사용을 지나치게 좁은 시각에서 바라본 처사”라며 “공권력에 대한 올바른 정의에 기반해 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이클 달리(Michael Daley) 야당 기획담당 의원도 이번 개정안 발표에 대해 “국가 차원의 논의를 간과했다”면서 “범죄 이력 등의 정보 공유와 관련해 호주 각 주(State)와 테리토리(Territory) 정부 기관들과 논의를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테러대비 1).jpg (File Size:33.1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451 호주 광역시드니의 장기화되는 봉쇄 조치, 여성-젊은 근로자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50 호주 “COVID-19 백신접종, 바이러스 감염 위험 낮추는 유일한 방법...”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9 호주 RBA 총재, “경제적 피해 줄이려면 백신접종 서둘러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8 호주 ‘모더나’ 사, 6개월-12세 아동 백신시험으로 호주 포함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7 호주 주택가격, 가장 크게 치솟은 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6 호주 Waterfall by Crown Group, 도시설계 우수성 인정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5 호주 인구주택총조사 참여 관련 한국어 안내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4 호주 호주 고위 공무원, ‘카운터파트’ 국가들에 비해 연봉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43 호주 각국 1만5천여 부자들, 전염병 기간 중 호주 영주비자 취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42 호주 정부, 백신접종률 70% 도달시 접종자 혜택 방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41 호주 ‘델타’ 바이러스 이어 ‘람다’ 변이도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40 호주 “일관성 없는 호주 백신 정책, 인명손실 초래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9 호주 호주 와인 영국 수출, 10년 만에 최고 수준... 한국 시장도 11% ↑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8 호주 호주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안내문 우편 발송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7 호주 광역시드니 ‘독립형 주택’ 중위가격 140만 달러 돌파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6 호주 바이러스 봉쇄 조치로 주요 도시 소매공실률 크게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5 호주 크라운 그룹, 럭셔리 아파트의 ‘매매 전 객실 체험’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4 호주 부동산 개발회사 ‘지오콘’, 지난해 최대 성과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3 호주 시드니 주말경매, 이스트우드 주택 2019년 판매가의 두 배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2 호주 NSW 주 ‘골드 스탠다드’ 방역, 어떻게 ‘국가 비상사태’가 됐나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31 호주 연방정부, 재난지원-복지 수혜자에 주 150달러 추가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30 호주 광역시드니 록다운 연장에 따른 새 봉쇄 조치 규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9 호주 광역시드니-멜번 록다운, 호주의 마지막 봉쇄 조치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8 호주 12-15세 청소년에게 ‘화이자’ COVID 백신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7 호주 전염성 높은 ‘델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의 위험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6 호주 지역사회 역사 담아낸 소셜미디어, 높은 인기 구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5 호주 뉴질랜드, 호주와의 ‘트래블 버블’ 잠정 중단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4 호주 캔버라 국회의사당, 또 한 번 일반인 공개 잠정 중단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3 호주 WHO, COVID-19 기원조사에 ‘전 세계국가들 협력’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2 호주 “시드니 럭셔리 주택가격, 세계 최고 수준 이를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1 호주 멜번 외곽 임대료 상승... 임차인들, 더 먼 지역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0 호주 전기자동차 이용자, NSW 및 빅토리아 주에 집중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19 호주 주택가격 상승으로 임대료, 12년 만에 가장 큰 폭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18 호주 첫 주택 구입자들, 예산 낮추려 주차 공간 없는 아파트 눈독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17 호주 시드니 경매 화제- 뉴포트 주택, 3년 만에 2배 가격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16 호주 시드니 주말경매- 자선단체 기부 주택, 잠정가격에서 37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15 호주 40세 미만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접종을 고려한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14 호주 올해 ‘마일즈 프랭클린 문학상’, TAS 작가 아만다 로리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13 호주 “호주-한국간 우호, 더욱 강화해 나가길 기대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12 호주 아이슬란드의 시험적 주 4일 근무, ‘압도적 성공’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11 호주 광역시드니 ‘감염 상황’, 강화된 록다운 규정으로 ‘반전’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10 호주 [호주 노동시장 분석] 이민문호 개방 불구, 숙련 기술자 부족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09 호주 “시드니 록다운 상황에서 감염자 확산, 규정 준수 어겼기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08 호주 화제의 인물- ‘Outback Cleanups Australia’의 Langford-Baraiolo 커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07 호주 호주 경제 호황 속, 10년 만에 실업률 5% 이하로 하락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06 호주 NSW 주의 비즈니스-일자리 보호 위한 주요 지원 내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05 호주 전염병 사태로 인한 또 하나의 현상, 자동차 수요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04 호주 “수돗물 활용으로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 감소를...”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03 호주 광역시드니 부동산 투자로 수익-손실 본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5402 호주 호주 전 지역서 주택 거래에 소요되는 기간, 크게 짧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