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575_870943.jpg

땅거미가 내려앉자 화려한 네온싸인이 하나둘 불을 밝힌다. 골목에 책가방을 메고 집으로 돌아가는 학생과 하루일을 마친 사람들이 오가며 활기가 넘치기 시작한다…. 크고작은 식당들에서도 손님 맞을 준비가 한창이다 . 아직 개발중에 있는 도시라 대도시의 아우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스모그의 “습격”도 어느 정도 받는다지만 상상했던만큼의 최악의 공기질은 아니였다.

  이곳을 “작은 읍”이라 부르는이도 있고 “베드타운“(睡城)이라 부르는이도 있고 첨단기술개발단지라고 하는이도 있다. 전통과 현대, 시골과 도시가 공존하는곳, 그곳이 바로 하북성 연교 국가급 첨단과학기술개발구이다.


  취재차 3박 4일의 일정으로 연교를 다녀왔다. 북경시의 외곽에 자리잡고있는 이 도시는 공항에서 경평(북경-평곡)고속도로를 타고 30분도 채 안걸리는 북경시 동쪽 외곽에 자리잡고있다. 북경시 천안문까지 불과 30킬로메터, 공항까지 25킬로케터, 천진항과는 120킬로메터 거리를 둔 북경시에 속하지는 않지만 수많은 다른 북경시 외곽도시보다도 북경시와 가까운 천혜의 지리적 위치를 자랑하고있다.


  최근 몇년래 지리적 우세와 교통이 편리한 강점으로 이곳 연교가 들썩이고있다. 연교가 북경시의 회룡관, 통주, 하북성의 랑방 등 수많은 “베드타운”중 가장 대표적인 곳으로 떠올랐다. 연교의 상대적으로 저렴한 집값으로 이곳에 정착하는 사람이 점점 늘고있다. 그러다보니 롯데마트, 월마트와 같은 대형쇼핑몰들도 얼마전에 연교에 진출했다. 또 거리를 걷다보면 한국 현대자동차 협력업체인 삼하세원자동차과학기술유한회사와 같은 외국 기업들도 눈에 띄였다.


  연교의 한 호텔에 며칠동안 묵으면서 살펴보니 이곳의 승용차 번호판도 현지 번호판보다 북경시 번호판을 달고있는 차가 더 많다는걸 어렵지 않게 보아낼수 있었다. 신화통신의 “연교 거주인구의 50%가 북경으로 출근하는 사람들이다. 매일 북경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이 30만명에 달하는데 출퇴근 고봉기에는 교통혼잡이 이뤄지면서 최소 2시간에서 최대 4시간이 걸린다”는 기사를 인터넷으로 본적이 있었다. 문득 이른 새벽의 그 북적거림이 궁금해 졌다. 그래서 28일 새벽 5시 30분에 찾은 연교의 한 대형 주택단지인 상상성(上上城) 앞은 북경으로 출근하려는 직장인들로 붐볐다. 그야말로 “전쟁”이였다. 자녀와 함게 북경으로 가야하는 직장인의 경우에는 새벽에 미리 나와 줄서있다가 뻐스가 올때쯤 되면 전화해서 아이를 불러내기도 한다.


  북경 왕징의 한 서점에서 근무하는 상민화(38살)씨는 “평소 40분이면 갈수 있는 거리를 출근시간에는 2시간도 더 넘게 걸려 간다. 오전 8시까지 출근해야 하는데 상황이 이렇다보니 거의 매일 지각한다”고 푸념을 늘여놓는다. 또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저녁 10시가 다 되니 아이는 이미 잠들어 있다. 평일에는 아이의 얼굴을 보기가 힘들다”고 덧붙였다.


  최근 연교에 거주하고있는 조선족들도 급증했다. 현재 연교에 진출한 조선족만 4만명, 연교조선족발전촉진회 김진남 회장은 “현재 한창 건설되고있는 종합주택단지인 “서울성” 과 같은 여러 주택공사가 마무리되면 앞으로 몇년사이에 조선족인구는 10만명을 훌쩍 넘길것”이라고 추정하고있다. 조선족들의 주요집거지였던 북경시 왕징의 집값이 천정부지로 올리뛰면서 조선족들의 “새로운 이민”이 이뤄지고있는것이다.


  이들중에는 제조업, 음식업, 물류 등 다양한 분야의 회사를 운영하고있는 조선족기업인들도 적지않다. 특히 연교에는 어림짐작으로도 100여개에 달하는 조선족 음식점이 있단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다행이 이곳 많은 현지 사람들과 향수를 달래려는 조선족들이 가게를 찾아오니 운영이 힘들지는 않다고 한다.


  연교에서 보내게 된 마지막 날인 30일 저녁 무렵, 연변의 명태로 승부를 건 식당 “한미각” 을 찾았다. 이 식당 사장 김천(41살)씨가 북경에 온지 벌써 10년도 넘었다. 연교에 연변음식점을 차린지는 4년이 돼 가고 살림집도 장만했다. “왜 연교에 사느냐”는 질문에 김천씨는 “북경은 집값이 너무 비쌌다. 친구가 이곳을 소개해줘서 한번 보고 바로 이리로 옮겼다. 이곳에서 할일이 없을가 고민하다가 음식점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실제 거주가 목적이 아닌 “투기”를 목적으로 주택을 구입하는 사람들도 많을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있지만 복잡한 북경 도심을 떠나 새로운 곳에 정착하려는 사람들의 요구가 날로 높아져가고있는것은 분명해 보였다.


  출처: 연변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4 홍콩 홍콩 한국문화원, “오래 프로젝트” 개최 file 위클리홍콩 20.10.13.
113 홍콩 주홍콩 총영사관·홍콩 한인상공회, 홍콩 현지 학교에 국산 마스크 기부 file 위클리홍콩 20.10.27.
112 홍콩 수협중앙회 홍콩무역지원센터, K-Seafood 축제 “2020 Premium Korean Seafood Festival" file 위클리홍콩 20.11.03.
111 홍콩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 “제19기 해외지역회의 개최” file 위클리홍콩 20.11.03.
110 홍콩 민주평통 홍콩지회 ‘아무거나 챌린지’ 시상 발표 file 위클리홍콩 20.11.10.
109 홍콩 민주평통 홍콩지회 통일 강연회 개최 file 위클리홍콩 20.12.01.
108 홍콩 홍콩 한국국제학교에 20만 홍콩달러 장학금 기탁 file 위클리홍콩 20.12.01.
107 홍콩 주홍콩한국총영사관 백용천 총영사 부임 file 위클리홍콩 20.12.15.
106 홍콩 홍콩한인여성회, 홍콩 글렌이글스 병원 업무 제휴 체결 file 위클리홍콩 20.12.15.
105 홍콩 주홍콩대한민국총영사관 백용천 신임 총영사, 홍콩한인상공회 방문 file 위클리홍콩 20.12.22.
104 홍콩 백용천 주홍콩 신임 총영사, 홍콩 한국국제학교 방문 file 위클리홍콩 20.12.22.
103 홍콩 「서울에서 살으렵니다」 사진전 개최 file 위클리홍콩 21.01.12.
102 홍콩 ‘3.1절 독립운동’ 의미를 되새기는 뜻깊은 기념식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01 홍콩 홍콩 한인상공회 회장 이·취임식 개최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00 홍콩 제 73회 홍콩한인회 정기총회 개최 file 위클리홍콩 21.03.02.
99 홍콩 홍콩한인상공회, 홍콩중화총상회와 MOU 체결 협의 file 위클리홍콩 21.03.09.
98 홍콩 홍콩한국국제학교, 함영실 장학금 수여식 거행 file 위클리홍콩 21.03.09.
97 홍콩 코윈 홍콩 지역본부, 김치담그기 시연 file 위클리홍콩 21.03.16.
96 홍콩 《제로베이스 X 홍콩》 - 주홍콩한국문화원, 서울 옥션 협력 전시 개최 file 위클리홍콩 21.03.23.
95 홍콩 KWA 홍콩한인여성회, 제20회 정기총회 개최 file 위클리홍콩 21.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