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쿠버 항구(Port of Vancouver)의 모습 (사진= flickr) 

 

정부보다 더 공격적으로 자본 유치

사기업 투자 위험 자체적으로 판단

 

자유당 연방 정부 출범이후 논의되고 있는 항구 민영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한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캐나다에는 18곳의 주요 항구를 포함해 총 68곳의 항구가 있으며, 현재 이들은 모두 연방 정부나 주정부, 또는 지자체의 관할 아래 있다. 주요 항구 18곳 중 두 곳이 BC주에 있다. 그리고 지난 해 11월, 저스틴 트뤼도 총리와 연방 자유당이 항구 민영화의 재정적 가능성에 대한 조사를 외부에 의뢰하면서 그 가능성이 떠올랐다.

 

보고서를 발표한 곳은 C.D. 호우 연구소(C.D. Howe Institute)로, 보고서 저자 스티븐 로빈스(Steven Robins)는 '항구가 민영화되면 소유 기업은 정부에 비해 융통성있는 대규모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장래성이 불분명한 분야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정부 관리와 차별되는 점'이라고 적었다.

 

로빈스가 예상한 캐나다 항구들이 민영화를 통해 유치할 수 있는 자본 규모는 26억달러에서 최대 34억달러이다. BC주의 2개 항구 중 한 곳인 밴쿠버 항구(Port of Vancouver)는 현재 20억 달러 규모의 시설 확장이 논의 중이다. 로빈스는 이에 대해 "정부로서는 그 장래성과 수익성이 분명해야만 시행할 수 있는 투자 규모다. 그러나 사유 기업의 경우 같은 경우 훨씬 빠르게 결단을 내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이지연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77 캐나다 BC 일일 확진자 수 3000명 돌파 코 앞으로 file 밴쿠버중앙일.. 21.12.31.
1976 캐나다 신임 주한 캐나다대사에 마크 플레처 지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12.31.
1975 캐나다 퀘벡주, 총기 관련 범죄 예방을 위해 5,200만불 기금 도입 file Hancatimes 21.12.31.
1974 캐나다 퀘벡주, 연휴 맞아 실내 모임 인원 완화…”최대 20명까지 허용” file Hancatimes 21.12.31.
1973 캐나다 퀘벡주, 연말 맞아 푸드뱅크에 300만 달러 투자 file Hancatimes 21.12.31.
1972 캐나다 퀘벡주, 초등학생을 위한 자가 신속진단키트 배부 예정 file Hancatimes 21.12.31.
1971 캐나다 “히잡 착용 이유로 해고”…하원의원 및 장관들, 퀘벡주 행보 비난 file Hancatimes 21.12.31.
1970 캐나다 르고 주총리, 교육청이 “히잡을 착용한 교사를 고용한 것은 잘못”이라고 언급 file Hancatimes 21.12.31.
1969 캐나다 퀘벡주, 다시 재택근무 권고 및 무료 진단키트 배포 file Hancatimes 21.12.31.
1968 캐나다 캐나다 일부 주, 오미크론 확산을 늦추기 위한 새로운 지침 도입 file Hancatimes 21.12.31.
1967 캐나다 교사와 학생들, 몬트리올에서 퀘벡주 “법안 21” 반대 시위 file Hancatimes 21.12.31.
1966 캐나다 몬트리올 보건당국 95건의 오미크론 확진 사례 발표…”앞으로 더 많은 사례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 file Hancatimes 21.12.31.
1965 캐나다 연방정부, 캐나다인들에게 “비필수 해외여행” 자제 권고 file Hancatimes 21.12.31.
1964 캐나다 퀘벡주, 고위험 활동 금지 및 상점 수용인원 다시 감축 file Hancatimes 21.12.31.
1963 캐나다 퀘벡 주민들 COVID-19 진단 장비를 위해 약국에서 장시간 대기 file Hancatimes 21.12.31.
1962 캐나다 퀘벡주, 오미크론 확산에 병원 수술 연기 file Hancatimes 21.12.31.
1961 캐나다 퀘벡주, 학교, 술집, 체육관 및 영화관 폐쇄 결정 file Hancatimes 21.12.31.
1960 캐나다 몬트리올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다시 비상사태 선포 file Hancatimes 21.12.31.
1959 캐나다 몬트리올 2022년 예산안 발표…”노숙자 문제 해결 및 경찰 인력 증가에 투자” file Hancatimes 21.12.31.
1958 캐나다 몬트리올 일부 병원 직원들 사이에 COVID-19 사례 급증 file Hancatimes 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