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1545a5d6010ce7786aaa2f54154371_1497988670_6823.jpg 

노스밴쿠버의 쉽빌더스 나잇마켓을 찾은 사람들 (사진= vancouversnorthshore 홈페이지)

 

매주 금요일 오후5-10시까지

 

주말이 시작되는 금요일 퇴근 길, 워터프론트역에서 시버스를 타고 15분만 이동하면 론즈데일 쿼리에서 특별한 주말 맞이를 할 수 있다.

 

매주 금요일 오후 5시부터 10시까지  론즈데일 쿼리 시버스 정거장 근처에 있는 조선소(The Shipyard, 15 Wallace Mews Rd, North Vancouver)에서 쉽빌더스 나잇마켓(Shipbuilders' Night Market)이 열리고 있다.

 

이곳에는 지역별 각 특색을 살린 맛있는 음식들이 가득한 35개 이상의 푸드트럭이 반기고 있다. 특히 단짠의 대명사인 케틀콘(팝콘), 이탈리아 디저트인 카놀리와 젤라또, 크레페 등 맛있는 음식들이 마련 돼 있다. 이외에도 농장에서 직접 키운 다양한 식료품과, 제빵, 젤리, 옷, 비누, 초콜릿, 식물 등 다양한 수제 제품들로 불거리가 가득하다. 

다양한 재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라이브 음악 공연도 오후 10시까지 이루어진다.

 

또 성인들을 위한 비어가든도 따로 마련 돼 있어, 딥코브 쉽야드 라거, 딥코브 위트와 페어 에일, 인도의 블랙 케틀 을 포함한 지역 수제 맥주들과 보드카, 아이스티를 맛볼 수 있다. 비어 가든은 19세 이상 성인들만 입장이 가능하다. 

길거리 주차도 가능한데, 론스데일 쿼리 마켓 인근에 있는 ICBC 주차장은 매주 금요일 오후 6시 이후 무료이다. 

쉽빌더스 나잇마켓은 9월 29일까지 계속된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을 해당 웹사이트(http://vancouversnorthshore.com/events-festivals/shipyards-night-market/)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77 캐나다 BC 일일 확진자 수 3000명 돌파 코 앞으로 file 밴쿠버중앙일.. 21.12.31.
1976 캐나다 신임 주한 캐나다대사에 마크 플레처 지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12.31.
1975 캐나다 퀘벡주, 총기 관련 범죄 예방을 위해 5,200만불 기금 도입 file Hancatimes 21.12.31.
1974 캐나다 퀘벡주, 연휴 맞아 실내 모임 인원 완화…”최대 20명까지 허용” file Hancatimes 21.12.31.
1973 캐나다 퀘벡주, 연말 맞아 푸드뱅크에 300만 달러 투자 file Hancatimes 21.12.31.
1972 캐나다 퀘벡주, 초등학생을 위한 자가 신속진단키트 배부 예정 file Hancatimes 21.12.31.
1971 캐나다 “히잡 착용 이유로 해고”…하원의원 및 장관들, 퀘벡주 행보 비난 file Hancatimes 21.12.31.
1970 캐나다 르고 주총리, 교육청이 “히잡을 착용한 교사를 고용한 것은 잘못”이라고 언급 file Hancatimes 21.12.31.
1969 캐나다 퀘벡주, 다시 재택근무 권고 및 무료 진단키트 배포 file Hancatimes 21.12.31.
1968 캐나다 캐나다 일부 주, 오미크론 확산을 늦추기 위한 새로운 지침 도입 file Hancatimes 21.12.31.
1967 캐나다 교사와 학생들, 몬트리올에서 퀘벡주 “법안 21” 반대 시위 file Hancatimes 21.12.31.
1966 캐나다 몬트리올 보건당국 95건의 오미크론 확진 사례 발표…”앞으로 더 많은 사례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 file Hancatimes 21.12.31.
1965 캐나다 연방정부, 캐나다인들에게 “비필수 해외여행” 자제 권고 file Hancatimes 21.12.31.
1964 캐나다 퀘벡주, 고위험 활동 금지 및 상점 수용인원 다시 감축 file Hancatimes 21.12.31.
1963 캐나다 퀘벡 주민들 COVID-19 진단 장비를 위해 약국에서 장시간 대기 file Hancatimes 21.12.31.
1962 캐나다 퀘벡주, 오미크론 확산에 병원 수술 연기 file Hancatimes 21.12.31.
1961 캐나다 퀘벡주, 학교, 술집, 체육관 및 영화관 폐쇄 결정 file Hancatimes 21.12.31.
1960 캐나다 몬트리올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다시 비상사태 선포 file Hancatimes 21.12.31.
1959 캐나다 몬트리올 2022년 예산안 발표…”노숙자 문제 해결 및 경찰 인력 증가에 투자” file Hancatimes 21.12.31.
1958 캐나다 몬트리올 일부 병원 직원들 사이에 COVID-19 사례 급증 file Hancatimes 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