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그룹, 23일 LA 윌셔 그랜드 센터 개관…LA 중심가 대표 마천루
70층 로비, 객실 개폐식 창문 등 색다른 경험…LA시 25년간 숙박세 면제


 

한국기업이 미국 서부 중심지 LA 한복판에 스카이라인을 확 바꿀 최고층 건물을 세웠다.

 

한진그룹(회장 조양호)이 LA 중심가에 세운 총 73층, 높이 1099피트(약 335미터)에 이르는 마천루 ‘윌셔 그랜드 센터’(맨 아래 사진)가 바로 그 것.

 

지난 23일(금) 오후 로스앤젤레스시 다운타운 윌셔(Wilshire)가와 피겨로아(Figueroa)가 사이에 위치한 윌셔 그랜드 센터(The Wilshire Grand Center)에서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 크리스 마틴(Chris Martin) A.C.마틴사(社) 최고경영자(CEO), 엘리 마루프(Elie Maalouf) 미주 인터콘티넨탈 호텔 그룹 최고경영자(CEO), 호세 후이자(Jose Huizar) L.A. 시의원 등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윌셔 그랜드 센터 개관(Grand Opening) 행사를 열고, 본격적인 운영을 위한 첫 발을 디뎠다.

 

이 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윌셔 그랜드 센터의 개관은 개인적인 꿈의 정점이자 L.A.와의 약속을 완성시킨 것”이라며 “윌셔 그랜드 센터는 LA 다운타운의 스카이라인을 혁신적으로 바꾸는 동시에 LA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강조하는 해외 투자 유치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LA의 새로운 랜드마크…최첨단 공법 대거 적용

 

한진그룹은 지난 1989년 미국 현지 법인인 한진인터내셔널코퍼레이션(HIC, Hanjin International Corporation)을 통해 LA의 유서 깊은 호텔 중 하나인 지상 15층, 지하 3층의 윌셔 그랜드 호텔을 인수한 바 있다.

 

한진그룹은 지난 2009년 4월 LA 윌셔 그랜드 호텔을 최첨단 호텔∙오피스 건물로 변모시키는 ‘윌셔 그랜드 프로젝트(The Wilshire Grand Project)’를 발표하고, 8년간 총 10억달러 이상을 투입해 상층부 호텔 및 저층부 오피스 공간으로 이뤄진 새로운 LA의 랜드마크로 재 탄생시켰다.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요세미티 계곡을 형상화한 디자인의 윌셔 그랜드 센터는 최첨단 건축 공법이 동원된 친환경 건물이다. 특히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한 지역적 특성상 내진설계가 필수인데, 윌셔 그랜드 센터는 ‘좌굴방지가새(BRB, Buckling Restrained Braces)’ 공법을 적용해 진도 8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캘리포니아 정부가 추진중인 ‘그린 정책’에 부합하도록 환경 친화적 빌딩으로 설계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민간환경단체인 미국그린빌딩위원회가 주관하는 친환경 건물인증 ‘리드’(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도 취득했으며, 또한 로비를 비롯한 건물 내벽에 나무로 포인트를 준 환경 친화적 디자인을 통해 환경을 생각하는 호텔의 철학을 담았다.

 

아울러 다른 호텔과 차별화된, 색다른 경험도 가능하다. 로비는 70층에 위치해 투숙객들은 L.A.시 금융 중심가의 스카이라인과 아름다운 야경을 만끽하면서 체크인을 하게 되는 독특한 경험을 할 수 있게 한 것. 또한 연회장에는 정원이 내려다보이는 유리문을 장착해 다른 호텔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특별함을 더한다. 또한 객실에는 개폐식 창문을 장착해 투숙객들이 LA시의 환상적인 날씨를 만끽할 수 있다.

 

아울러 최상층과 오피스 공간 사이에는 900 객실의 럭셔리 호텔이 자리잡았다. 저층부에는 7층 규모의 상업공간 및 컨벤션 시설, 그리고 최첨단 시설을 갖춘 3만7000㎡ 규모의 오피스로 이뤄졌다.

 

한진그룹은 윌셔 그랜드 센터가 LA의 새로운 랜드마크로서 현지 교민들에게 자긍심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 곳을 찾는 전세계 여행객들에게 제공할 경제·문화적 파급효과를 통해 한진그룹과 대한항공의 위상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5년간 숙박세 면제로 화답한 LA…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10억 달러 이상이 투입된 대형 프로젝트인 윌셔 그랜드 센터는, 공사 기간에는 1만1000여개 일자리 및 8천만 달러의 세수 효과를 얻은 바 있다. 윌셔 그랜드 센터가 오픈한 이후에는 1700여개의 일자리 및 LA시에 매년 1600만 달러 이상의 세수 증대 효과를 발생시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같은 한진그룹의 기여를 높이 평가한 LA시는 윌셔 그랜드 센터 완공 후 25년간 숙박료의 14% 상당을 부과하는 숙박세(TOT, Transient Occupancy Tax)를 면제해주기로 하는 등 한진그룹의 투자에 화답했다. 이에 따라 향후 6000만 달러의 세금이 면제될 예정이다.

 

또한 인근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한진그룹의 적극적인 투자에 따른 윌셔 그랜드 센터의 일련의 건축 과정과 LA시에서 제시한 과감한 지원을 토대로, LA 지역의 관광 산업이 다시금 활성화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같은 투자가 현지 관광업계를 자극해 고스란히 추가 숙박시설을 위한 건축으로 이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롭게 창출된 LA 관광 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숙박 문제의 해결 단초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한진측 설명이다.

 

△트럼프 기조에 부응…한-미간 새로운 민간 외교 촉매 기대

 

윌셔 그랜드 센터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확산되고 있는 외국 기업의 미국 내 투자 확대 및 일자리 창출 기조에 부응하고 있다.

 

아울러 이번 윌셔 그랜드 센터의 개관은 2024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위해 뛰고 있는 LA에도 큰 힘이 될 전망이다. 특히 숙박시설은 올림픽 개최의 핵심적 요소로, 이번 윌셔 그랜드 센터의 개관 및 이에 따른 호텔 증축 붐을 통해 경쟁 도시와의 차별화에서 큰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같은 윌셔 그랜드 센터의 LA 지역 기여를 토대로 한-미 간 새로운 민간 외교의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한 향후 미국 내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확신 하에 과감하게 앞을 내다보고 투자했다는 측면에서, 국내 기업의 성공적인 글로벌 투자 사례로도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진그룹은 윌셔 그랜드 센터 개관에 만족하지 않고 향후 대한항공을 비롯한 항공 부문 사업과 연계해 새로운 관광 수요를 창출하는 한편 한층 더 나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윌셔 그랜드 센터가 LA를 넘어 미국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클릭시 이미지 새창.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개관식 환영 인사말을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크리스 마틴 A.C.마틴社 CEO, 호세 후이자 LA 시의원,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 케빈 드레온 캘리포니아주 상원의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엘리 마루프 미주 인터콘티넨탈 호텔 그룹 CEO, 이기철 총영사.

클릭시 이미지 새창.

▲23일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초석(Corner Stone)에 친필 사인을 하고 있다. 

 

클릭시 이미지 새창.

▲조양호 회장과 관계자들이 리본 커팅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기철 주 LA 총영사, 허브 웨슨 LA 시의장, 엘리 마루프 미주 인터콘티넨탈 호텔 그룹 CEO, 조양호 회장, 케빈 드레온 주상원의원.

클릭시 이미지 새창.

  • |
  1. wilshir_grand.jpg (File Size:224.8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97 미국 미국 6개주 휩쓴 토네이도...사망 100명 넘을 듯 file 코리아위클리.. 21.12.22.
1996 미국 올랜도 북부 알타몬트 스프링스 폐수에서 오미크론 발견 코리아위클리.. 21.12.22.
1995 미국 드샌티스 주지사, 무장 '주방위군' 재창설 의도 밝혀 file 코리아위클리.. 21.12.22.
1994 미국 겨울방학 오미크론이 몰려온다… "위험 감수할 부모 있을까" file 코리아위클리.. 21.12.22.
1993 미국 탬파베이 물가 상승률 8%로 '전국 1위'… 이유는? file 코리아위클리.. 21.12.22.
1992 미국 코로나 양성률 21%로 급등…오미크론 확산 때문인 듯 file 코리아위클리.. 21.12.23.
1991 미국 플로리다 주간 코로나 감염자 1만3530명... 10월 이후 최고치 file 코리아위클리.. 21.12.23.
1990 캐나다 BC주정부, 코로나19 행정명령 임시휴업 업체 1만 달러 지원 밴쿠버중앙일.. 21.12.24.
1989 캐나다 올해 화이트크리스마스...그러나 영하 10도 강추위 동반 file 밴쿠버중앙일.. 21.12.24.
1988 캐나다 연말연시 음주운전 집중 단속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12.24.
1987 미국 플로리다 대도시서 집 사려면 '웃돈'은 필수? file 코리아위클리.. 21.12.24.
1986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 폭증… 하루 감염자 2만6811명 file 코리아위클리.. 21.12.24.
1985 캐나다 23일 BC 확진자 수 2046명 사상 최다 기록 3일째 file 밴쿠버중앙일.. 21.12.25.
1984 캐나다 재외 유권자등록 밴쿠버여성회관에서 가능 file 밴쿠버중앙일.. 21.12.25.
1983 캐나다 새해에도 BC 주민 가계지출 감소 혜택 이어진다는데... file 밴쿠버중앙일.. 21.12.30.
1982 캐나다 BC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5일 연속 최다 신기록 수립 file 밴쿠버중앙일.. 21.12.30.
1981 미국 오미크론 변종, 크리스마스 하늘길 바닷길 막았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12.30.
1980 미국 코로나 팬데믹, 미국인 기대수명 77세로 줄였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12.30.
1979 미국 지난 40년 간 '가장 일 잘한 대통령'은 오바마... 꼴찌는? file 코리아위클리.. 21.12.30.
1978 캐나다 BC주 내년부터 5일간 유급 병가 시행 file 밴쿠버중앙일.. 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