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 프라이데이'를 위협하는 '광군제'(光棍節)의 시대가 왔다.

중국의 '광군제'(독신자의 날·11월11일)가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의 날로 떠오르고 있다.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는 이른바 광군제가 시작된 11일 0시부터 시작된 할인행사에서 2분 만에 거래액이 10억위안(약 1800억원)을 돌파하고, 38분 만에 100억위안(약 1조8000억원)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시간에 올린 50억위안의 거래액보다 2배나 빠른 속도다. 이처럼 광군제 초기 거래액이 폭증세를 보이면서 이날 자정까지 총거래액은 지난해 350억위안보다 크게 늘어난 571억1218만 위안(약 10조2천억 원)으로 최종 집계됐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알리바바가 지난해 11월11일에 거둔 350억위안(약 58억달러)이라는 거래액은 미국의 대표적인 쇼핑 시즌인 블랙 프라이데이(11월 마지막 목요일 추수감사절 다음날인 금요일)와 사이버 먼데이(블랙 프라이데이 다음 월요일)의 온라인 매출액을 합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이라고 전했다. 영국의 은행 바클레이스도 광군제가 끼어 있는 주간인 11~16일 사이에 중국에서 5억건이 넘는 택배 물건이 배송될 것으로 전망했다.

광군제에선 중국산 제품의 선전이 두드러졌다. 대표적인 상품들의 판매량 최종 집계에서 휴대전화는 중국의 '샤오미'와 '화웨이'가 1위와 2위를 차지했으며 애플은 4위, 삼성은 5위를 각각 기록했다.

중국 본토 외에도 세계적으로 170여개 국가나 지역의 고객들이 이번 할인행사에서 물건을 구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홍콩, 러시아, 미국이 1~3위를 차지했고 대만, 호주, 싱가포르, 캐나다, 마카오, 브라질, 스페인 등이 차례로 4~10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초반에 10위권에 들었다가 뒤로 밀렸다.

광군제는 정부가 공식적으로 정한 날은 아니다. 1993년 중국 난징 지역 대학생들이 독신자처럼 외롭게 서 있는 '1'이 4개나 겹친 11월11일을 '독신자의 날'로 부르면서 점차 널리 퍼졌다. '광군'은 결혼하지 않고 홀로 사는 사람을 뜻한다. 이날이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자 상인들이 '홀로 빈방을 지키지 말고 나와서 물건을 사면서 외로움을 달래야 한다'고 부추기며 할인 판매를 하기 시작한 것이 연례행사로 굳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이 과정에서 알리바바의 온라인 쇼핑업체 '타오바오'와 '톈마오'가 주도적인 구실을 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11일 "알리바바가 이날을 위해 최대 4주 전부터 예약금을 받고 큰 할인 혜택이 있는 수많은 거래가 이날 하루에 집중되도록 준비를 했다"고 전했다. 지난해 11월11일에도 알리바바는 항저우 본사 빌딩에 거대한 스크린을 세우고 총거래액 수치를 보여주었다. 거래액의 증가는 알리바바가 경쟁 업체들보다 얼마나 빨리 성장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알리바바는 지난 9월 뉴욕 증시에서 250억달러의 기록적인 기업공개를 한 바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4 중국 광저우 월수구 확진자 5명으로 197명 밀접 접촉자 발생 라이프매거진 20.04.08.
133 중국 광저우 제127회 캔톤페어, 6월 중하순 온라인에서 진행하기로 file 라이프매거진 20.04.08.
132 중국 무한 봉쇄령 해제후 하루만에 2만 여명, 앞으로 10만명이 주삼각지로 이동할 것 file 라이프매거진 20.04.09.
131 중국 광동성 교육청, 학교 등교일 드디어 확정지어 라이프매거진 20.04.09.
130 중국 송혜교-서경덕 중경 임정청사 한글안내서 기증 file 뉴스로_USA 20.04.11.
129 중국 광동성 상주 외국인 현황, 광저우 한국인 4600명, 해외 유입 병례중 한국인 없어 라이프매거진 20.04.13.
128 중국 중국 코로나19, 치료비 2.15만위안에서 100만위안까지 나와 file 라이프매거진 20.04.14.
127 홍콩 “홍콩한인 70년사 기념책자” 편찬위원회 인터뷰 : 배기재 편찬위원장 / 한승희 편찬부위원장 file 위클리홍콩 20.04.27.
126 홍콩 홍콩한인회 <홍콩한인70년사> 홍콩한인의 역사를 담은 책자 발간 file 위클리홍콩 20.05.05.
125 홍콩 홍콩한인회, “제 51대 이사회 총회” & “제 72회 정기총회” 개최 file 위클리홍콩 20.06.02.
124 홍콩 World OKTA 현판식 및 한인상공회 비즈니스 센터(이하 KBC) 개소식 file 위클리홍콩 20.06.02.
123 홍콩 홍콩한인회, 65세 이상 회원에게 진천쌀 무료 증정 file 위클리홍콩 20.07.14.
122 홍콩 8월 은행 예금, 3개월 연속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0.10.06.
121 홍콩 정부 ‘공공 사업 추진해 경기 활력 불어넣어’ file 위클리홍콩 20.10.06.
120 홍콩 외국인 가사도우미, 내년 최저임금 동결 file 위클리홍콩 20.10.06.
119 홍콩 中 거주 홍콩인, 최우선으로 의무 격리 면제 논의 file 위클리홍콩 20.10.06.
118 홍콩 Covid-19 방역 감시 강화, 공중 보건 vs 사생활 침해? file 위클리홍콩 20.10.06.
117 홍콩 Covid-19 확산에 해외 유학 포기하는 中 유학생 file 위클리홍콩 20.10.06.
116 홍콩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2020 국경일" 행사 개최 file 위클리홍콩 20.10.13.
115 홍콩 김운영 홍콩한인회 고문, 국민훈장 목련장 수상 file 위클리홍콩 2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