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와 '임의로 시민의 책임 나눠 설명

캐나다에서 불법인 해외의 문화 다뤄 

 

 

이민자들의 시민권 취득 시험 가이드 '디스커버 캐나다(Discover Canada)'의 자유당 개정판 초안이 공개되었다. 디스커버 캐나다는 캐나다 시민이 되고자 하는 이민자들에게 캐나다의 역사와 사회적 가치, 캐나다 시민의 책임 등을 안내하는 가이드다. 현재는 전 보수당 정부가 감독하고 2011년에 발표된 것이 최신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 후 새롭게 편집되었으며 이번에 그 초안이 공개된 것이다. 초안은 캐나다 시민의 책임을 '의무적 책임(Mandatory)'과 '임의적 책임(Voluntary)'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의무적 책임에는 납세와 인구 조사 참여, 법 준수, 그리고 캐나다 정부와 원주민계 커뮤니티 사이에 이루어진 협약에 대한 존중 등이 포함되었다. 임의적 책임에는 투표 참여와 인권 존중, 그리고 캐나다의 두 공식 언어, 영어와 불어에 대한 존중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 '원주민 사회와의 협약 존중'은 특히 중요시 다루어졌다. 캐나다에서 원주민이 살아온 역사와 유럽계 이주민들과의 반목 및 평화의 역사, 현 상황 등을 자세히 다루었다. 또 '현재 캐나다인이 넓은 땅에 많은 주택을 짓고 내 집을 가질 수 있는 것은 협약을 통해 원주민계 소유였던 토지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강조되었다.

 

그 외 인도계와 중국계, 유대계 등이 겪은 소수 차별의 역사와 과거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행된 차별도 다루고 있다. 가장 최근에 일어난 사회 변화로는 성소수자 존중과 결혼 등에 대한 이들의 권리를 자세히 다루었다.

 

그리고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다룬 단락에서는 교육과 의료, 보건과 복지 등 사회 지원 분야를 다루었다. 이 단락은 캐나다 인이 중요시 하는 가정의 가치와 가족 중심적 여가 생활, 자연 보호, 그리고 예술 문화도 다루었다.

 

초안이 공개되며 가장 많은 관심을 끈 부분 중 하나는 '캐나다에서 불법인 해외의 문화'를 다룬 부분이다. 앞선 보수당 정부판이 '명예 살인과 할례와 같은 전통은 캐나다에서 불법'이라고 적었는데, '야만적 행위(Barbaric Cultural Practice)'라고 표현한 것이 일각에서 비난받은 바 있다. 이 부분은 초안에서는 완전히 삭제되었으며, 최종안 포함 여부와 그 정확한 작문은 아직 불분명하다.

 

현재 자유당 연방 정부는 이민법의 대대적 개정을 준비하고 있다. 가이드 개정도 그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자유당 장관이 이끄는 각 부처들이 모두 참여했다. 또 캐나다 전체에 통용되는 가치에 대해서는 저스틴 트루도 현 총리의 말이 많이 인용되었다. 곳곳에서 유머가 발견되는 것도 개정판의 특징인데, 개정판은 '캐나다인은 농담을 무척 좋아해 스스로에 대해 짓궂은 농담을 하기도 한다'며 '원주민계와 이민계와 다양한 사람들도 이러한 성향이 커지고 있다'고 적었다.

 

/밴쿠버 중앙일보 이지연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17 캐나다 산사태에 고립된 메트로밴쿠버-프레이저밸리 file 밴쿠버중앙일.. 21.11.16.
2116 캐나다 밴쿠버총영사관, 12월 10일 차세대 네트워킹의 밤 file 밴쿠버중앙일.. 21.11.16.
2115 캐나다 위니펙 군함 승무원 서울 인근 해군 기지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21.11.16.
2114 캐나다 플란테 몬트리올 시장 연임 성공 file Hancatimes 21.11.16.
2113 캐나다 캐나다 보건부, 모든 18세 이상 성인에게 추가 화이자 백신 접종 승인 file Hancatimes 21.11.16.
2112 캐나다 퀘벡주, COVID-19 부스터샷 접종 연령 70세까지 확장 file Hancatimes 21.11.16.
2111 캐나다 퀘벡주 항소법원, 영어교육청의 “법안 21의 적용 유예 요청” 기각 Hancatimes 21.11.16.
2110 캐나다 퀘벡주 고등법원, “COVID-19 여권 시스템 중단 요청” 기각 file Hancatimes 21.11.16.
2109 캐나다 퀘벡주, 주치의 업무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법안 발의 file Hancatimes 21.11.16.
2108 캐나다 현충일 위해 캐나다 여러 곳에서 추모 행사 열려 file Hancatimes 21.11.16.
2107 캐나다 한-캐 미술 전문가들, 양국의 근대미술에 대하여 논하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11.17.
2106 캐나다 한국 국세청, 밴쿠버에서 세무설명회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1.11.17.
2105 미국 20개월 코로나 팬데믹 빗장 푼 미국... 관광업계 '대환영' file 코리아위클리.. 21.11.17.
2104 미국 '1조 2천억 달러' 인프라 법안 결국 하원 최종 통과 file 코리아위클리.. 21.11.17.
2103 미국 "치킨 텐더 주문 보다 빠른 플로리다 자동차 태그 갱신" file 코리아위클리.. 21.11.17.
2102 미국 질로우 "주택가격 예측 어렵다" 구매-판매 모두 중단 file 코리아위클리.. 21.11.17.
2101 미국 플로리다 '온라인 스포츠 베팅' 길 열려 file 코리아위클리.. 21.11.17.
2100 미국 "하나님은 백신을 원하지 않으신다" 신앙 때문에 백신 거부하는 사람들 file 코리아위클리.. 21.11.17.
2099 캐나다 김성곤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민주평통 밴쿠버협의회 간담회 file 밴쿠버중앙일.. 21.11.18.
2098 캐나다 '오징어 게임’ 속 한국의 놀이, 캐나다를 달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