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위험도시 메인.jpg

남미와 아프리카 일부 지역의 범죄 중 가장 압도적인 것은 마약 관련 범죄이다. 남미 국가 중 온두라스의 마약범죄는 가장 악명 높으며, 최악의 범죄 도시는 단연 산 페드로술라(San Pedro Sula)가 꼽힌다. 이 도시는 중남미 지역의 마약조직들이 미국으로 밀반입시키는 주요 거점이어서 폭력조직간 싸움은 가히 ‘전투 수준’이며, 이로 인해 살인 비율도 높다. 사진은 경찰에 체포된 이 도시 기반의 마약범죄 조직 ‘Barrio 18’ 갱단의 조직원들.

 

북미 도시들의 총기, 서유럽의 테러, 남미의 마약, 중동의 칼리페이트

호주도 ‘아이스’ 범죄 증가... 전 세계 10개 지역별, 가장 위험한 도시는

 

오늘날 ‘범죄와의 전쟁’, ‘마약’ 또는 ‘조직범죄와의 전쟁’이라는 용어는 더 이상 생소한 말이 아니다. 전 세계 각국은 매일매일 발생되는 갖가지 폭력과 살인, 총기, 심지어 불특정 다수를 겨냥한 테러로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수년 전 창궐한 극단 이슬람 조직인 IS(Islamic State)의 종교탄압과 납치, 여성에 대한 폭행은 도를 넘어 전 세계의 공분을 사고 있다.

조직적 폭력과 살인 등을 감안할 때, 중동지역 과격 무슬림들의 비이슬람계를 향한 증오, 남미와 아프리카 일부 지역의 마약범죄 등이 우선 떠올려지지만 서구 세계 또한 드러나지 않은 문제는 결코 적지 않다. 북미 지역의 총기 범죄, 점차 확산되는 호주의 불법 마약 또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영국의 유명 미디어 ‘The Sun’ 온라인 판은 강력범죄나 테러 빈도 등의 자료를 토대로 전 세계 10개 지역별 위험 도시를 언급, 눈길을 끌었다. 이 가운데 대양주 지역에서는 서부 호주 퍼스(Perth)가 ‘마약도시’로 꼽혔다.

 

 

■ USA and Canada-세인트루이스, 미주리 주(St. Louis, Missouri)

미 연방수사국(FBI)는 북미 지역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로 미시시피 강과 미주리 강의 합류 지점 인근에 자리한 세인트루이스(St. Louis)를 꼽았다. FBI 범죄조사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이 도시의 살인, 강도, 강간 발생은 북미 지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다.

세인트루이스의 살인 사건은 인구 10만 명당 59.3명으로 ‘살인 도시’(Murder City)라는 디트로이트(Detroit)보다 높으며, 총기강도 비율은 총기사건이 많다는 시카고(Chicago)에 비해 두 배가 높다.

전 세계인들에게 세인트루이스를 또 한 번 각인시켰던 사건은 지난 2014년 8월 비무장 흑인 청년을 백인 경찰이 총기로 사살한 것이었으며, 그럼에도 세인트루이스 카운티 대배심이 총기를 발사한 경찰 대런 윌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리자 세인트루이스 퍼거슨에서는 이에 항의하는 집회가 폭동 수준으로 치닫기도 했다.

 

종합(미국 1).jpg

미국 미주리 주(Missouri) 세인트루이스(St. Louis)는 북미 지역에서 살인, 강도, 강간 등 중범죄 발생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되어 있다. 지난 2014년 마이클 브라운(Michael Brown)이라는 비무장 흑인 청년이 백인 경찰이 총에 사살되고, 카운티 대배심이 총기를 발사한 경찰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리자 이에 반발하는 시민들의 항의(사진)가 폭동 수준으로 치닫기도 했다.

 

종합(미국 2).jpg

세인트루이스 퍼거슨(Ferguson) 지역에서 백인 경찰의 흑인청년 사살에 항의하는 사람들을 보여주는 그래픽 처리 사진.

 

 

■ Latin America- 카라카스, 베네주엘라 / 산 페드로술라, 온두라스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는 베네주엘라 수도 카라카스(Caracas, Venezuela)와 온두라스 제2의 도시 산 페드로술라(San Pedro Sula, Honduras)이다. 중미 및 남미 국가의 폭력 사건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지만 특히 이들 두 도시의 갖가지 범죄는 ‘일상적’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지난 2015년 베네주엘라 범죄 통계를 보면 카라카스의 경우 살인율은 인구 10만 명당 119.87명에 달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살인 비율이며 이 도시의 ‘악명’을 드러내는 수치이다. 마약조직간 폭력, 강도, 절도 등 갖가지 사건에서 무고하게 살해되는 이들이 수없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지난 2013년 우고 차베스(Hugo Chavez) 대통령 사망에 이어 석유가격 급락으로 베네주엘라 경제가 급격히 침체되면서 수도 카라카스는 살인을 부르는 폭력범죄 조직이 활개를 치고 있으며, 심지어 식량부족으로 혼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살인범죄 부문에서는 카라카스보다 온두라스의 산 페드로 술라가 더 위험하다. 푸에르토코르테스 항(港) 인근에 자리한 이 도시는 중앙 아메리카 마약조직이 헤로인, 코카인 등 강력 마약을 미국으로 밀반입시키는 주요 거처로 이용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마약범죄 조직간 마찰이 비일비재하며, 2015년 집계 결과 인구 10만 명당 173.6명의 살인 비율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최악의 도시’라는 오명을 안고 있다.

 

종합(라틴 아메리카 1).jpg

식량부족에서 시작된 베네주엘라 수도 카라카스 도시민들의 불만은 극에 달하고 있다.

 

종합(라틴 아메리카 2).jpg

베네주엘라 경기 침체의 직접적 요인은 유가 하락이었다. 이로 인해 국가 경제는 위기 상황으로 치닫고 있으며 먹거리마저 부족한 상황에서 살인, 강도 등의 강력 범죄는 더욱 극성을 부리고 있다.

 

종합(라틴 아메리카 3).jpg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살인율을 보이는 온두라스(Honduras)의 범죄는 대부분 마약조직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Western Europe- 나폴리, 이탈리아(Naples, Italy)

이탈리아 각 도시는 ‘마피아’(Mafia)라는 조직범죄와의 관련성으로 유명하다. 특히 항구도시 나폴리(Naples)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마피아 조직이자 가장 악랄한 것으로 알려진 ‘카모라’(The Camorra) 조직의 근거지이다.

카모라 마피아는 이탈리아 각 지역의 마피아, 즉 시칠리아(Sicily)를 기반으로 하는 ‘코사 노스트라’(Cosa Nostra), 남부 칼라브리아(Calabria) 주 기반의 ‘은그라게타’(Ndrangheta), 북동부 베네토(Veneto) 및 후리울리 베네지아 길리아(Friuli-Venezia Giulia)에서 활동하는 ‘말라 델 브렌타’(Mala del Brenta) 등 잘 알려진 마피아 조직과는 약간 다르게 조직간 구성이 조금은 느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마피아뿐 아니라 전 세계범죄 가운데서도 가장 은밀하고 악명 높은 조직이자 가장 규모가 크며 살인, 마약, 명품, 건설, 폐기물 처리 등 돈이 되는 모든 분야에 검은 손을 뻗치고 있는 집단이다. 이들의 근거지인 나폴리는 인구 절반이 ‘카모라’ 조직원, 나머지는 조직원의 가족, 친구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결국 나폴리 사람들 대부분이 이 조직과 연계되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한 셈이다. ‘카모라’ 조직의 가장 큰 사업(?)은 마약밀매로, 이를 위해 살인, 약탈, 방화, 배신자에 대한 극단적 처단도 서슴지 않으며 어린이, 여성, 노약자에 대해서도 인정이 없다.

서구 사회의 욕설 중 하나로 “지옥에나 가라”(go to hell)는 말이 있는데, 이탈리아에서는 이 욕설을 “나폴리나 가라”(go to Naples) 뜻으로 “va’ fa Napoli”라 할 만큼 범죄로 인한 오명을 얻고 있다.

 

종합(서유럽 1).jpg

마피아 조직에 의해 살해된 채 길거리에 유기된 시신을 놓고 경찰이 조사를 벌이고 있다(사진). '카모라‘(Camorra) 조직은 이탈리아 각 지역의 마피아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악명 높으며, 극악한 행각도 서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합(서유럽 2).jpg

백주 대낮, 길거리에서 발생된 살인 사건. 나폴리는 이탈리아 최대 마피아 조직인 ‘카모라’의 근거지로, 때와 장소는 물론 성인이나 아이를 가리지 않고 살인을 저지르는 것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 Eastern Europe- 키예프, 우크라이나(Kiev, Ukraine)

범죄조직만이 도시를 위험에 빠뜨리는 것은 아니다.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는 내전으로 국가가 갈라지는 사태로 이어지고 있다. 수도 키예프(Kiev)에서 시작된 대정부 항의 시위가 몰고 온 사태는 이 도시를 동유럽 최대 위험 지역으로 만들고 있다.

반정부 시위는 지난 2014년, 당시 빅토르 야누코비치(Viktor Fedorovych Yanukovych) 대통령이 유럽연합(EU) 가입과 경제적 지원을 제공받는 대가로 FTA 협상을 진행했지만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이에 반대하며 군사적 제재를 거론하자 러시아로부터 경제 지원을 받는 조건 하에 EU와의 협상을 중단해버리면서 친유럽연합 시민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왔고, 최악의 유혈사태를 초래하고 있다. 이런 반정부 항의와 시민-경찰간 싸움이 이어지는 동안 도시는 약탈과 강도 등 강력범죄가 연이어지기도 했다.

 

종합(동유럽 1).jpg

경찰과 시민이 뒤엉킨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의 반정부 시위 현장. 지난 2014년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러시아의 협박에 굴복하지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발했고, 이 와중에서 러시아는 크림반도(Crimea)를 집어삼켰다.

 

 

■ Russia and Central Asia- 그로즈니, 체첸(Grozny, Chechnya)

옛 소비에트연맹에서 독립한 체첸공화국(Chechnya)은 오랜 내전과 러시아 침공 등으로 불안한 사태가 이어져 왔으며, 이 과정에서 수도 그로즈니(Grozny)는 거의 폐허가 되다시피 했다. 그런 가운데 최근 그로즈니는 ‘게이 숙청’(gay purge)이라는 타이틀로 전 세계 미디어를 장식하고 있다. ‘purge’라는 단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 동성애자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코카서스(Caucasus) 산맥에 자리한 무슬림 국가이자 러시아 자치령인 체첸공화국은 극도의 보수적 성향으로 동성애에 대한 논의조차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고 있다.

 

종합(러시아 중앙아시아 2).jpg

체첸공화국의 람잔 카디로프(Ramzan Kadyrov) 대통령. 그는 그로즈니에서 벌어지고 있는 동성애자 납치 구금 등에 대해 부인으로 일관하고 있다.

 

 

■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라카, 시리아(Raqqa, Syria)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최고 위험 도시는 단연 시리아 라카(Raqqa)이다. 이슬람 수니파 과격주의자들이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반발해 결성한 IS(Islamic) 테러조직이 지난 2013년 시리아 북부 유프라테스 강변의 이 도시를 점령, 본거지로 삼음으로써 이 도시는 IS 조직은 물론 서방세계의 IS 타격에 노출, 거의 폐허가 되다시피 했다.

무수한 지역민이 살해되고 또한 수니파의 이슬람 율법(Sharia law)에 따라 비수니파 유적지들도 대부분 파괴됐다. 뿐 아니라 라카 인근에 거주하는 쿠르드족 등 수많은 소수민족 여성들이 납치돼 성노예로 전락하거나 노예시장에서 매매되는 일이 외신을 통해 전 세계로 퍼져나가 공분을 사고 있다.

 

종합(중동 1).jpg

시리아 라카 주 주도인 라카는 IS 테러조직에 점령된 이후 이를 탈환하려는 시리아 정부군 및 서방세계의 집중 타격으로 거의 폐허가 되다시피 했다. 미군의 공중 폭력 후 피어오르는 폭발의 연기와 먼지를 바라보는 시리아 정부군 병사(사진).

 

종합(중동 2).jpg

IS 조직의 점령 이후 오랜 도시 라카의 비수니파 유적지는 대부분 파괴된 것으로 알려졌다.

 

 

■ Sub Saharan Africa- 모가디슈, 소말리아(Mogadishu, Somalia)

사하라 사막 남쪽의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뉴스의 대상이 되는 국가는 소말리아(Somalia)이다. 지난 수십 년 간 소말리아는 내전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수도 모가디슈(Mogadishu)는 차량폭탄 테러 등이 끊이지 않아 민간인 희생도 엄청나게 발생하고 있다.

소말리아 내전을 일으킨 무장세력은 알샤바브(al-Shabaab. 정확한 이름은 Harakat al-Shabaab al-Mujahideen)가 이끄는 이슬람 무장조직 알 카에다(Al-Qaeda)로부터 직접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부 해안에는 해적들이 각국의 상선을 약탈하는 일도 수시로 일어나고 있다.

 

종합(사하라 1).jpg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의 한 거리. 이슬람 무장세력 알 카에다가 지원하는 반군과의 치열한 내전이 끊이지 않는 모가디슈에서 테러 장면은 익숙한 풍경이다.

 

종합(사하라 2).jpg

차량 폭탄테러의 흔적. 반군 세력의 무차별 테러는 수많은 민간인 희생자를 만들어내고 있다.

 

 

■ Indian subcontinent- 카라치, 파키스탄(Karachi, Pakistan)

인구 2천300만 명의 대도시이자 파키스탄 금융, 무역, 제조업 중심지인 카라치(Karachi)는 살인과 납치 등 강력범죄와 인종-종교 테러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곳으로 악명이 높아 인도 아(亞)대륙(Indian subcontinent)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로 꼽힌다. 게다가 파키스탄 정국 불안으로 정치인 암살과 차량테러가 일상적으로 발생하며 치안부재를 틈타 갱 조직도 활개를 치고 있다.

 

종합(인도 지역 2).jpg

파키스탄 최대 도시인 카라치를 위험 도시로 만든 것은 우선 이 나라의 정치 불안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사진은 카라치 시민들의 반정부 시위.

 

 

■ Far East- 마닐라, 필리핀(Manila, Philippines)

극동 아시아에서 최악의 범죄도시는 단연 마닐라가 꼽힌다. 근래에는 마닐라 여행 한국인들의 범죄피해 사건도 눈에 띄게 발생하고 있다. 혼잡한 빈민가, 빈곤과 납치, 마약은 이 도시의 혼란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특히 지난해 6월, 16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로드리고 두테르트(Rodrigo Duterte)가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사형제도 부활”을 의회에 요청하는 등 마약사범에 대한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음에도 마약 조직들간의 총기사건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6월에는 한 무장 강도가 카지노에 침입, 170만 파운드의 칩을 빼앗고 도박 테이블에 불을 지르는 일까지 발생한 바 있다. 이 방화로 유독가스를 마신 카지노 고객 36명이 숨지고 50명이 심각한 증상으로 병원에 실려가기도 했다.

 

종합(극동 1).jpg

마닐라(Manila)의 한 길거리에서 마약 조직에 의해 살해된 채 버려진 젊은이. 마닐라의 마약 범죄는 이 도시를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로 만들어놓고 있다.

 

 

■ Australia and New Zealand- 퍼스, 서부 호주(Perth and Western Australia)

호주 서부지역 최대 도시이자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주의 주도인 퍼스(Perth)는 유명 관광도시이면서 근래 들어 늘어나는 불법 마약사범으로 인해 대양주 지역 최대 위험 도시로 꼽혔다. 특히 퍼스 인근 지방 지역에서도 속칭 ‘아이스’(ice)로 불리는 불법 환각제 복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퍼스 소대 대형 병원의 병실 가운데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다. 헤로인이나 코카인 등 강력한 마약과 달리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메탐페타민(methamphethamine)은 은연중 중독되는 것으로 알려져 환자 발생도 늘어나고 있다.

 

종합(대양주 1).jpg

퍼스 도심의 밤 풍경. 아름다운 도시로 빼어난 야경을 갖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암페타민 계열의 불법 환각제 사용자 또한 크게 확산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는 지적이다.

 

종합(대양주 2).jpg

퍼스(Perth)를 중심으로 인근 서부 호주 지방 지역의 불법 환각제인 ‘아이스’ 복용자 수도 크게 증가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0 위험도시 메인.jpg (File Size:55.0KB/Download:33)
  2. 종합(극동 1).jpg (File Size:72.8KB/Download:39)
  3. 종합(대양주 1).jpg (File Size:52.4KB/Download:37)
  4. 종합(대양주 2).jpg (File Size:55.7KB/Download:43)
  5. 종합(동유럽 1).jpg (File Size:63.1KB/Download:22)
  6. 종합(라틴 아메리카 1).jpg (File Size:48.4KB/Download:41)
  7. 종합(라틴 아메리카 2).jpg (File Size:91.0KB/Download:31)
  8. 종합(라틴 아메리카 3).jpg (File Size:81.7KB/Download:39)
  9. 종합(러시아 중앙아시아 2).jpg (File Size:52.7KB/Download:38)
  10. 종합(미국 1).jpg (File Size:108.0KB/Download:38)
  11. 종합(미국 2).jpg (File Size:52.3KB/Download:26)
  12. 종합(사하라 1).jpg (File Size:89.3KB/Download:41)
  13. 종합(사하라 2).jpg (File Size:101.9KB/Download:38)
  14. 종합(서유럽 1).jpg (File Size:81.5KB/Download:41)
  15. 종합(서유럽 2).jpg (File Size:87.0KB/Download:32)
  16. 종합(인도 지역 2).jpg (File Size:100.8KB/Download:33)
  17. 종합(중동 1).jpg (File Size:75.2KB/Download:38)
  18. 종합(중동 2).jpg (File Size:36.9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뉴질랜드 강창희 국회의장 주최 동포 초청 간담회 굿데이뉴질랜.. 14.03.11.
6800 뉴질랜드 더니든 남성 99글자짜리 이름으로 개명 성공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9 뉴질랜드 주오클랜드분관 청사 이전 안내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8 뉴질랜드 2014 한인의날 Korean Day 안내 (3월 15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7 뉴질랜드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오리엔테이션 및 문제해설 특강 (4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6 뉴질랜드 총선 끝난 후 ‘뉴질랜드 국기 교체 여부’ 국민투표 굿데이뉴질랜.. 14.03.12.
6795 뉴질랜드 청소년 백일장 우리말 글쓰기 예선 합격자 굿데이뉴질랜.. 14.03.13.
6794 뉴질랜드 A형 간염 주의보 ‘감염자 접촉 사과, 복숭아 리콜’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3 뉴질랜드 대한민국 하키 여자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하키 여자국가대표팀과 공식 경기 예정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2 뉴질랜드 다음 정권은 9월 20일에 결판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1 뉴질랜드 기업체, 고유식별번호로 통합 관리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0 뉴질랜드 뉴질랜드, OECD중 단연 경제 성장률 높아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9 뉴질랜드 웰링턴 박지관 교수, 여왕메달(QSM) 수여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8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7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6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5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4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3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2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1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0 뉴질랜드 2014 오클랜드 한인의 날 성공리에 개최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9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매매중 1/4은 중국인이 사들였다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8 뉴질랜드 뉴질랜드 낮은 실업률, 고용시장 안정화 국면 file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제 상승곡선위에서 주춤주춤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6 뉴질랜드 교육부, 학생성적에 따라 학교운영비 지원 추진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5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4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3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2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1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0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69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8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공동위, 양국간 협력 강화 합의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7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6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5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4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3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2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1 호주 AFC 아시안컵축구, 북한 중국 우즈베키스탄 C조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0 호주 애보트 총리 “봉쇄 작전 큰 효과” 선언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9 호주 합참의장 출신.. 애보트 총리 측근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8 호주 2.5%.. 호주달러 미화 93센트 육박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1.
6757 뉴질랜드 국민 3분의 1 "수입 격차 점점 벌어지고 있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2.
6756 호주 여야, 군소정당 총력전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5 호주 바이키단체 변호사 ‘명예훼손’ 보상 청구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4 호주 스트라스필드시 연방, 주정부 입장 청취 후 처리 방침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3 호주 BP, 필립모리스 "호주 생산 중단" 발표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2 뉴질랜드 유아교육은 뉴질랜드가 미국보다 앞서 굿데이뉴질랜.. 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