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스페인의 워킹푸어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수당을 받으며 생계를 꾸려가는 스페인 인구의 비율이 2004년 이후 두 배로 늘었다. 일하지만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워킹푸어(노동빈공층)"가 늘어나고 있다.



스페인 일간 엘파이스 지는 7월 10일 자 보도를 통해 스페인 “워킹푸어”의 실태에 대해 알렸다. 워킹푸어가 늘어난 주된 이유는 정규직이 줄고 비정규직이 증가해 시간제로 일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지난 6월 25일에 발표된 스페인 통계청(INE: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의 자료를 보면 2004년에는 100명 중 6명이 시간제 임시직으로 생계를 꾸려갔지만, 2012년에는 이 비율이 100명 중 12.25명으로 배로 늘었다. 유럽연합 소속국 중 루마니아와 그리스만이 스페인보다 악화된 노동조건에 있다.



비정규직 증가에 따른 임금수준의 하락은 이미 예고된 것이었다. 스페인 정부는 늘어나는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동계약을 갱신하면서 임금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노동개혁안을 추진했다. 고용주들의 임금부담을 덜어줌으로써 더 많은 고용을 창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목적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스페인 경영자연합회(el Círculo de Empresarios)는 정규교육을 이수하지 못한 노동자들에 대한 최저임금기준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스페인 노동자회의(CCOO: Comisiones Obrereas) 경제부장 카를로스 마르틴은 “건설사업이 도산하면서 특별한 자격이 필요하지 않았던 건설일용직 일자리가 사라졌다. 건설노동자로 일하던 사람들의 일부는 스페인을 떠났지만, 대부분은 아직 여기에 남아있다. 이들이 찾을 수 있는 일자리는 단순노무직뿐이기 때문에 비정규 일자리에 대한 압박이 심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스페인 노동자총연맹(UGT: Unión General de Trabajadores)의 조직국장인 안토니오 페레르는 시간제 임시직 일자리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그중 68%가 여성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변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업종은 숙박업과 가사서비스, 농업이다.



세대별로 보았을 때 가장 불안한 노동조건을 견뎌야 하는 것은 청년층이다. 이들은 정규학교 교육을 이수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정규 노동계약을 체결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말라가 출신의 마리나(25)는 직업학교(FP: Formación Profesional)를 졸업하였지만, 일주일에 36시간을 일하고 매달 530유로를 받는다. 현재 스페인의 월 최저임금은 645.3유로이다. 또한, 청년층을 위한 새로운 고용조건에 따라 근무시간의 15%는 교육이수에 할애해야 하지만 그 또한 지켜지지 않고 있다. 그녀는 임금을 적게 받는 것도 문제이지만, 무엇보다 고용안정이 보장되지 않는 것이 생활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미 수없는 해고와 구직과정에 익숙해졌다고 그녀는 말했다.





<사진: 최저임금 이하로 살아가는 노동자의 비율을 2004년부터 2012년까지 나타낸 그래프.>




스페인 유로저널 최영균 기자




< 유럽 19개국에 배포되는 주간신문  유로저널  www.eknews.net >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0 영국 8개 사립교, 옥스브리지 ‘독식’ 코리안위클리 18.12.12.
129 기타 “세계 항공기 지도 ‘동해’로 바꾸자” file 뉴스로_USA 19.01.24.
128 영국 故 김복동할머니 해외 추모 행렬 file 뉴스로_USA 19.02.04.
127 프랑스 ‘프랑스 한인 100년사’ 출간 file 뉴스로_USA 19.02.15.
126 영국 4.16해외연대, 전세계 세월호참사 기억 5주기 추모행사 file 뉴스로_USA 19.04.09.
125 프랑스 영화 ‘무성한 소문’의 준한선 감독과의 만남 프랑스존 19.04.12.
124 프랑스 삼성전자, 콩코르드 광장에 ‘갤럭시’ 한글 옥외광고 프랑스존 19.04.12.
123 프랑스 삼성 스마트폰에 일 드 프랑스 온라인 교통카드 장착 프랑스존 19.04.12.
122 프랑스 한국계 입양인 마리 팔로, '나는 완전한 프랑스인' 프랑스존 19.04.12.
121 프랑스 문화와 혁신의 아이콘, 대한민국 프랑스존 19.04.12.
120 프랑스 제35대 프랑스한인회 나상원 號의 힘찬 출발 프랑스존 19.04.12.
119 프랑스 역사는 정명을 찾아가는 과정 프랑스존 19.04.12.
118 프랑스 대한민국 임시 정부 파리 위원부 프랑스존 19.04.12.
117 프랑스 파리 위원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기폭제가 되다 프랑스존 19.04.12.
116 프랑스 프랑스 한인사회 100년의 역사를 담아내다 프랑스존 19.04.12.
115 프랑스 1920년대, 피끓는 한인 유학생들 프랑스존 19.04.12.
114 프랑스 3·1절 그날의 함성, 주불 대사관에서 외친다 프랑스존 19.04.12.
113 프랑스 프랑스 한인 100년사, 서울 출판기념회 성료 프랑스존 19.04.12.
112 프랑스 프랑스 한인사회, 다시 미래의 출발점에 서다 프랑스존 19.04.12.
111 프랑스 헬스케어 그룹 바디프랜드, 유럽시장 본격 진출 프랑스존 19.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