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낙태 허용 문제 다시 수면 위로 오르나?




UN 인권이사회로부터 낙태 허용 권고 받아









11.jpg

사진 출처 : Post.jagran.com






 UN 가입국의 인권상황 개선을 위한 총회 보조기관인 유엔인권이사회(UNHRC)가 자체 보고서를 통해 인권에 위배되는 낙태 금지법으로 인해 아일랜드의 수많은 여성들이 고통받고 있으며 아일랜드에 조속히 낙태가 허용되어야 한다고 권고했다고 아이리쉬 타임즈가 보도했다.




  UNHRC는 보고서에서 낙태 금지법이 아일랜드의 여성들특히 원치 않은 임신을 한 여성이나 임신 중 건강이 악화되어 의학적으로 낙태가 불가피한 여성들에게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주고 있으며 임신 중절술을 받기 위해 해외로 나가야 하거나 그러한 경제적 여유마저 없어 원치 않는 출산을 해야 하는 아일랜드 여성들의 현실을 지적했다.




  한 해낙태와 관련하여 수 천명의 아일랜드 여성들이 아이리쉬 가족 계획 협회의 상담 및 의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그보다 더 많은 수의 여성들이 임신 중절술을 받기 위해 영국 또는 낙태가 허용되는 다른 나라로 여행 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UNHRC의 보고서에 대해 아일랜드 정부는 자국 여성들은 낙태를 위해 다른 나라로의 여행할 권리와 낙태에 관한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권리가 주어지고 있다며 정부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자국민 인권 침해에 대해 정당화하려는 모습을 보였다또한 오직 경제적 여유가 있는 여성들만이 임신 중절을 위해 다른 나라로 여행할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많은 전문가들의 지적에 대해서도 정부 당국은 '현실적으로 해결책이 없다', '본 법안을 변경해야 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라는 이해할 수 없는 반응을 보이며 현실을 외면하고 있거나 혹은 문제 해결에 전혀 의지가 없음을 드러냈다.




  아일랜드에 있는 다른 모든 의료 서비스들이 아일랜드 국내에서 다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유독 여성의 낙태 권리와 관련해서만 정부가 임신한 여성 개인의 탓으로 돌리는 것은 정부의 직무유기라 하지 않을 수 없다아일랜드에 있는 모든 여성들이 낙태를 위해 필요할 경우 언제든 외국으로 나갈 수 있으면 좋겠지만 여러가지 법적신체적재정적인 이유 등으로 모두 다가 그러지 못하는 게 사실이다걔 중에는 저소득층 혹은 빈곤층 여성가정 폭력에 시달리는 여성장애 여성젊은 여성망명을 원하는 여성 등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는 여성들이 너무나도 많으며 더 큰 문제는 이들의 자신들의 권리를 향한 목소리는 사회적으로 더 묻히기 쉽다는 데 있다아일랜드 정부의 전향적 사고가 절실해 보인다


 




 아일랜드 유로저널 신철웅 인턴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 유럽 19개국에 배포되는 주간신문  유로저널   www.eknews.net >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0 영국 8개 사립교, 옥스브리지 ‘독식’ 코리안위클리 18.12.12.
129 기타 “세계 항공기 지도 ‘동해’로 바꾸자” file 뉴스로_USA 19.01.24.
128 영국 故 김복동할머니 해외 추모 행렬 file 뉴스로_USA 19.02.04.
127 프랑스 ‘프랑스 한인 100년사’ 출간 file 뉴스로_USA 19.02.15.
126 영국 4.16해외연대, 전세계 세월호참사 기억 5주기 추모행사 file 뉴스로_USA 19.04.09.
125 프랑스 영화 ‘무성한 소문’의 준한선 감독과의 만남 프랑스존 19.04.12.
124 프랑스 삼성전자, 콩코르드 광장에 ‘갤럭시’ 한글 옥외광고 프랑스존 19.04.12.
123 프랑스 삼성 스마트폰에 일 드 프랑스 온라인 교통카드 장착 프랑스존 19.04.12.
122 프랑스 한국계 입양인 마리 팔로, '나는 완전한 프랑스인' 프랑스존 19.04.12.
121 프랑스 문화와 혁신의 아이콘, 대한민국 프랑스존 19.04.12.
120 프랑스 제35대 프랑스한인회 나상원 號의 힘찬 출발 프랑스존 19.04.12.
119 프랑스 역사는 정명을 찾아가는 과정 프랑스존 19.04.12.
118 프랑스 대한민국 임시 정부 파리 위원부 프랑스존 19.04.12.
117 프랑스 파리 위원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기폭제가 되다 프랑스존 19.04.12.
116 프랑스 프랑스 한인사회 100년의 역사를 담아내다 프랑스존 19.04.12.
115 프랑스 1920년대, 피끓는 한인 유학생들 프랑스존 19.04.12.
114 프랑스 3·1절 그날의 함성, 주불 대사관에서 외친다 프랑스존 19.04.12.
113 프랑스 프랑스 한인 100년사, 서울 출판기념회 성료 프랑스존 19.04.12.
112 프랑스 프랑스 한인사회, 다시 미래의 출발점에 서다 프랑스존 19.04.12.
111 프랑스 헬스케어 그룹 바디프랜드, 유럽시장 본격 진출 프랑스존 19.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