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태권도협회).jpeg

제6대 재호대한태권도협회 집행부가 구성됐다. 협회는 지난 7월29일 권성근 관장(뒷줄 오른쪽에서 두 번째)을 새 회장으로 선출하고 양일중, 김건우 관장을 각각 부회장 및 사무총장으로 선임했다.

 

부회장-사무총장 인선 완료... 오는 10월 친선대회 계획도

 

재호대한태권도협회 제6대 집행부가 새로이 구성됐다.

재호태권도협회는 금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7월29일 신임 회장단 선거를 통해 권성근 관장을 참가회원 만장일치로 선출했으며, 부회장에 양일중 관장, 사무총장에 우건우 관장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전까지 재호태권도협회를 맡아온 김명만 회장은 명예회장으로 추대됐다.

아울러 재호태권도협회는 올 하반기 주요 활동으로 오는 10월22일(일) 록데일 스포츠센터(Rockdale Sports Centre)에서 협회 주관의 태권도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친선대회로 치러지는 이번 대회에는 태권도 품새와 겨루기 경기로 펼치며 참가자 단체 수련 프로그램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재호태권도협회는 동포 태권도인을 대상으로 정회원/준회원 가입을 권하고 있다. 정회원 조건은 호주에서 정식으로 등록된 도장을 운영하면서 태권도를 지도하는 공인 4단 이상의 지도자이다.

협회는 회원들에게 First Aid 교육 및 Public Liability 보험 등을 저렴한 비용으로 지원할 예정이며 친선대회, 한국에서 개최되는 전국체전 선수선발전 및 다양한 교류를 통해 태권도인들의 화합과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협회가입은 동 협회 우건우 사무총장(0430 586 565)에게 문의하면 된다.

 

  • |
  1. 종합(태권도협회).jpeg (File Size:56.5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43 호주 동포자녀 유소년-청년들 스포츠 행사 연이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1842 뉴질랜드 제17기 평화통일자문회의, 뉴질랜드협의회 통일 워크샵 개최 - 자문회의 역할과 차세대 통일교육방안에 대한 토론 발표회 가져 굿데이뉴질랜.. 16.01.29.
1841 뉴질랜드 겨우 15일 남은 4·13총선 재외선거 신고·신청일 막바지 등록 위해 총력 다 하고 있지만…턱없이 저조한 상태 굿데이뉴질랜.. 16.01.29.
1840 호주 재외 유권자 등록 마감, 1주일 앞으로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9 호주 ‘한지’를 통해 매력적인 한국문화를 만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8 호주 파워하우스뮤지엄, 한국 현대 도자기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7 호주 재외국민 투표참여 독려, 재외언론인들 나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6 뉴질랜드 재외선거인 등록 D-8, 턱없이 부족한 해외 홍보 뉴질랜드는 두 번의 황금주말 연휴 겹쳐 실제 등록일 겨우 5일 남아 file 굿데이뉴질랜.. 16.02.11.
1835 호주 시드니 한국교육원, 확장 이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4 호주 시드니 한인회, 재해 피해 동포 위한 모금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3 호주 김봉현 대사, 프라이덴버그 장관 면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2 호주 시드니재외선관위, 투표소 설치장소-운영기간 의결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1 호주 “한국 내외 국민-동포들, 다함께 도약 이끌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0 뉴질랜드 4·13 총선 재외선거인신고 신청률, 19대 대비 27% 증가…재외유권자 수의 8% file 굿데이뉴질랜.. 16.02.18.
1829 호주 김봉현 대사, 캔버라 다문화 축제 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8 호주 제20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신고·신청 마감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7 호주 시드니 최초, ‘한지문화제’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6 호주 “한지 페스티벌에 참가하게 돼 너무 기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5 호주 주호주 대사관 직원, 면세품 초과 구매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6.02.25.
1824 호주 “한국의 고급문화 선보인 것이 가장 큰 의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