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광복절).jpg

72주년 광복절의 의미를 새기는 기념식에서 광복회 호주지회 황명하 회장이 박유철 광복회장의 기념사를 대독하고 있다(사진). 특히 이날 윤상수 총영사가 대독한 대통령 경축사는 문재인 대통령이 항일 독립운동을 강조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재확인하는 내용이 담겨 있어 주목을 끌었다.

 

한인회관서 기념식 거행, 각계 한인단체-동포 150여명 참석

문재인 대통령 경축사, ‘항일독립운동’ 강조로 정통성 재확인

 

모국 광복 72년을 맞은 금주 화요일(15일), 시드니한인회(회장 류병수)와 광복회 호주지회(회장 황명하)는 한인회관에서 광복절 기념식을 갖고 이날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150여 한인 동포들이 함께 한 이날 기념식은 국민의례에 이어 광복회장 기념사, 대통령 경축사, 한인회장 축사, 광복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 등으로 진행됐다.

이날 박유철 광복회장은 호주지회 황명하 회장이 대독한 기념사에서 “우리 대한민국이 자유롭고 풍요로운 나라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누구보다 독립운동 선열들의 희생 덕분이라 생각하며 우리나라는 이분들의 독립투쟁으로 세워진 자랑스런 나라”라면서 “세월이 흐르고 세대가 바뀌어도 항구여일한 독립운동 정신은 대한민국의 근간인만큼 대한민국과 한반도가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한 우리가 결코 잊어서는 안 될 소중한 정신”이라고 강조했다.

또 윤상수 총영사가 대독한 문재인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는 특히 항일 독립운동을 강조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재확인하는 내용이어서 주목을 끌었다. 문 대통령은 “국민주권은 임시정부 수립을 통한 건국의 이념이 됐고, 오늘 우리는 그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고 밝혀 지난 정부 당시 일각에서 제기해 온 건국절 관련 논쟁에 분명한 마침표를 찍었다.

또한 문 대통령은 경축사 가운데 ‘경북 안동이 임청각이라는 집안, 9명의 독립투사를 배출한 독립운동의 산실이자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상장하는 것’에 대해서도 언급, 현 정부의 통치 이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어진 류병수 한인회장은 축사를 통해 “조국이 없으면 보수나 진보가 무슨 소용이며 해외동포가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라면서 “조국의 진정한 광복, 영광된 평화통일을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하며 우리 조국을 위해 해외동포가 한마음 한뜻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에서 광복회 호주지회는 한인동포 청소년을 대상으로 민족정신을 고취시킨다는 취지의 ‘민족캠프’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진행해 온 시드니한국교육원 강수환 원장에게 공로패를, 또 박유철 광복회장의 감사패를 전달했다.

이날 기념식 2부에서는 동포 예술단체인 ‘모아모아 크로마하프단’ ‘시드니한인예술단’ ‘칸토포유’ 등의 축하 공연이 이어졌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광복절).jpg (File Size:82.6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43 호주 동포자녀 유소년-청년들 스포츠 행사 연이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1842 뉴질랜드 제17기 평화통일자문회의, 뉴질랜드협의회 통일 워크샵 개최 - 자문회의 역할과 차세대 통일교육방안에 대한 토론 발표회 가져 굿데이뉴질랜.. 16.01.29.
1841 뉴질랜드 겨우 15일 남은 4·13총선 재외선거 신고·신청일 막바지 등록 위해 총력 다 하고 있지만…턱없이 저조한 상태 굿데이뉴질랜.. 16.01.29.
1840 호주 재외 유권자 등록 마감, 1주일 앞으로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9 호주 ‘한지’를 통해 매력적인 한국문화를 만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8 호주 파워하우스뮤지엄, 한국 현대 도자기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7 호주 재외국민 투표참여 독려, 재외언론인들 나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6 뉴질랜드 재외선거인 등록 D-8, 턱없이 부족한 해외 홍보 뉴질랜드는 두 번의 황금주말 연휴 겹쳐 실제 등록일 겨우 5일 남아 file 굿데이뉴질랜.. 16.02.11.
1835 호주 시드니 한국교육원, 확장 이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4 호주 시드니 한인회, 재해 피해 동포 위한 모금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3 호주 김봉현 대사, 프라이덴버그 장관 면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2 호주 시드니재외선관위, 투표소 설치장소-운영기간 의결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1 호주 “한국 내외 국민-동포들, 다함께 도약 이끌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0 뉴질랜드 4·13 총선 재외선거인신고 신청률, 19대 대비 27% 증가…재외유권자 수의 8% file 굿데이뉴질랜.. 16.02.18.
1829 호주 김봉현 대사, 캔버라 다문화 축제 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8 호주 제20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신고·신청 마감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7 호주 시드니 최초, ‘한지문화제’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6 호주 “한지 페스티벌에 참가하게 돼 너무 기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5 호주 주호주 대사관 직원, 면세품 초과 구매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6.02.25.
1824 호주 “한국의 고급문화 선보인 것이 가장 큰 의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