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주택 경량화 지원 대책 절실

주택난 심화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지만, 방이 남아도는 주택이  NSW주와 빅토리아 주에만 10만 여 채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 가운데 시드니와 멜버른에 소재한 6 베드룸의 저택 6천여 채에는 단 한 사람만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어팩스 미디어는 “이번 통계는 호주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것이며 이같은 상황이 호주의 주택난을 심화시키고 있는 핵심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시드니-멜버른, 혼자 사는 대형 주택증가임대난 정비례

패어팩스 미디어가 호주통계청 자료를 분석해 보도한 수치에 따르면 캔터베리-뱅스타운, 노던 비치, 블랙타운 카운슬 관할 구역에는 혼자 거주하는 4 베드룸 주택이 1400~2000여 채 가량으로 추산됐다.

시드니 허스트빌 일대를 관할하는 조지스 리버 카운슬 구역 내에는 주거인이 한 명인 것으로 보이는 4 베드룸 주택이 무려 664채인 것으로 파악됐고 그 밖에도 5 베드룸 주택 169채, 6베드룸 주택 37채가 혼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흥미로운 점은 이 지역의 경우 주민 6명 가운데 1명꼴로 심한 임대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는 현실이다.

시드니 시청 관할 구역에도 주민의 1/3이 임대료 지불에 힘겨워 하고 있지만 95채의 6 베드룸 맨션이 비어있는 상태로 나타났다.

랜드윅의 경우 혼자 사는 4베드룸과 5베드룸 주택이 500여채로 나타났다.

멜버른 시티의 경우 주민의 35%가 임대 스트레스를 겪고 있지만, 6베드룸 주택 43채에 혼자 살고 있는 실정이다.

포트 필립 지역 역시 20%의 주민이 임대료 지불에 힘겨워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혼자 거주하고 있는  4베드룸 주택이 167채, 5  베드룸 30채, 6 베드룸 29채로 파악됐다.

빅토리아주의 모나쉬, 화이트호스, 프랭크스톤에도 혼자 거주하는 4 베드룸 주택이 1000여채로 파악됐다.

 

임대난의 새로운 원인….”

이같은 통계에 대해 NSW 대학 부설 주택 및 도시 연구소의 할 포우슨 소장은 “주택난이 가장 심각한 두 도시에서 방이 남아도는 주택이 가장 많다는 것은 아이러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결과적으로 한 두 명만이 사는 큰 주택이 양대 도시에 십만여 채라는 현실은 결국 전체 가구의 40%를 임대 시장으로 내몬 결과를 양산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패어팩스 미디어의 이번 분석자료에 따르면 이처럼 큰 주택에서 혼자사는 경우의 대부분은 65 세 이상의 노년층이라는 점에서 이들의 ‘주거지 축소’에 대한 지원 혜택이 절실하다는 여론이 높아질 전망이다.

 

노인 주거지 축소위한 정부 지원 대책 절실

실제로 큰 주택을 보유한 노년층의 다수는 주택취득세 부담때문에 주거지 이전을 크게 주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빅토리아 주의 경우 33만 달러 이하의 주거용 부동산에 대해 노인 펜셔너에 대한 취득세 면제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반면 NSW주정부는 지난 2012년 노인을 위한 주택 취득세 할인 혜택을 폐지한 바 있다.

그래탄 연구원의 브랜던 코츠 연구원은 “이같은 현실이 결국 주택 불균형 현상을 촉발시켰고 더나아가 젊은 서민층의 내집 마련의 꿈을 소원하게 함과 동시에 임대난을 가중시킨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연방정부는 지난 5월 예산안을 통해 노인층의 주택매매자금을 수퍼애뉴에이션에 일부 적립하는 방안을 허용하는 등의 ‘주택 경량화’ 대책을 선보였지만 여전히 노인 펜션 자산 테스트 조건이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 팽배하다.

뿐만 아니라 수퍼 적립 혜택도 10년 이상 소유해온 주택에 국한된 상태다.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433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01 호주 전 세계에서 가장 취약한 국가, 코로나 바이러스 ‘핫스폿’ 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0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취약 계층, 고령자들만이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099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호주인의 일하는 방식에도 변화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098 호주 애니메이션 ‘블루이’, ‘International Emmy Kids Award’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097 호주 ‘Working Parents’ 자녀에게 무료 차일드 케어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096 호주 광역시드니 인구 증가율, 7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095 호주 호주 NBN, “인터넷 접속 증가했지만 문제는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094 호주 3월 주택가격 상승... 성장폭은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09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온라인 경매 지속... 대다수 매물, 직접 매매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092 호주 NSW 주, ‘목적 없는 외출’ 금지... 강력한 통제 규정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91 호주 정부, 기업의 고용자 임금 지원 위해 1천300억 달러 책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90 호주 해외에서 도착시 2주간 호텔-캐러밴 파크서 ‘격리 강제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89 호주 ‘공황’ 상태서 마구잡이 사들인 음식물... 결국 쓰레기통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88 호주 호주 음악치료사의 ‘Every Little Cell’, 지구촌으로 퍼져나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87 호주 연방 정부의 ‘Two-person rule’, 각 주-테러토리 제재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86 호주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 모든 모임 2명으로 제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85 호주 호주 전역의 캐러밴 여행자들, 현지 투어리스트 파크에 발 묶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84 호주 NSW 주 COVID-19 감염자 3분의 1이 20-30대 계층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83 호주 각 주 주요 도시들, 주차위반 범칙금 부과 ‘완화’하기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82 호주 모리슨 정부, ‘코로나 바이러스 지원금’ 수혜대상 범위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81 호주 “강한 메시지가 필요하다”... 각 주 정부, ‘pupil-free’ 선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80 호주 호주 관광산업, 해외여행자 감소로 월 30억 달러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79 호주 시드니 경매서 가장 많이 거래된 매물은 2개 침실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7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Coronavirus shutdown’ 조치 후 온라인 경매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5077 호주 호주, 확진자 4500명 넘었는데 매춘까지…경찰, 비밀 매춘 적발! 호주브레이크.. 20.03.31.
5076 호주 호주, 해외 입국자 격리 ‘5성급 호텔’ 활용…“숙박 업체 생명줄 될 것 호주브레이크.. 20.03.31.
5075 호주 호주 NSW주, 강력한 코로나 법 시행! “징역 또는 11,000달러 벌금”... 호주브레이크.. 20.03.31.
5074 호주 호주, 코로나 확진자 4247명 사망 18명…”20대는 여성 확진자가 더 많다.” 호주브레이크.. 20.03.31.
5073 호주 호주, 연방법원 ‘사칭통용’ 인정… “유명 상표 무단사용은 이익 침해” 호주브레이크.. 20.03.31.
5072 호주 호주, 하늘에서 코로나 감시? “열 센서 탑재, 팬데믹 드론 개발”… 호주브레이크.. 20.03.31.
5071 호주 호주서 BCG 백신 인체실험 예정… “코로나 19에 효과 검증 절차” 호주브레이크.. 20.03.31.
5070 호주 호주, 100조원 규모 고용 보조금 지급! “호주 국민을 위해 보장”… 호주브레이크.. 20.03.31.
5069 뉴질랜드 Covid 19] 그레이마우스 병원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첫 사망 사례 나와 일요시사 20.03.30.
5068 뉴질랜드 크루즈 탑승 108명 오늘(30일) 뉴질랜드에 도착 일요시사 20.03.30.
5067 뉴질랜드 뉴질랜드록다운을 이용하여 가격 폭리 취하는 행동에 강력한 경고 일요시사 20.03.30.
5066 호주 호주, 코로나 확진자 4000명 넘을 듯...사망16명 호주브레이크.. 20.03.30.
5065 호주 호주, “세입자 6개월간 퇴출 못 시킨다”vs˝근본적 대책은 임대료 인하 호주브레이크.. 20.03.30.
5064 호주 호주, 이어지는 강경 대책…”2명 초과하는 모임 금지한다” 호주브레이크.. 20.03.30.
5063 호주 호주, NSW주 코로나 19 확진자 1617명…전국 3600명 육박, 사망 14명 호주브레이크.. 20.03.28.
5062 뉴질랜드 4.15총선 뉴질랜드 재외 투표 어려울 듯 NZ코리아포.. 20.03.27.
5061 뉴질랜드 창가에 "곰인형을 올려주세요", 곰인형 찾기 놀이 NZ코리아포.. 20.03.27.
5060 호주 ‘Coronavirus shutdown’ 2단계 조치... what's banned and what's not?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59 호주 ‘사회적 거리’ 두기 위반 행위에 강력한 처벌 부과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58 호주 연방정부의 코로나 바이러스 피해를 위한 두 번째 지원 패키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57 호주 호주 연구진의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법 연구 진행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56 호주 호주에서 ‘가장 살기 좋은 지방 도시’는 발라랏-벤디고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5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공황’ 틈 탄 사이버 범죄자들 ‘극성’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54 호주 서비스 업종 잠정 휴업으로 실직자 수, 최대 200만 명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53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로 늘어나는 재탁근무, 직원 안전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5052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예방의 첫 단계는 손 청결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