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양주, 동남아 및 중앙 아시아 7개 협의회 총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는 호주등 대양주 지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및 중앙아시아 지역의 7개 해외 협의회를 총괄 대표하는 아시아 부의장에 이숙진 16, 17기 호주협의회장을 임명했다.  

민주평통은 최근 의장인 문재인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 이숙진 아시아 부의장을 비롯 전 세계 43개 해외지역협의회를 대표하는 일본, 미주, 중국, 유럽  등 5명의 부의장에 대한 임명 절차를 마무리했다.

이숙진 아시아 부의장 외에 일본 부의장에는 오공태(71)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중앙단장, 유럽 부의장에는 박종범(60) 전 유럽한인총연합회장, 미주 부의장에는 황원균(62) 전 버지니아주 한인회장, 중국 부의장에는 이숙순(57) 재중국한국인회장이  각각 임명됐다.

이숙진 부의장이 총괄하게 되는 아시아 지역회의에는 ▶호주협의회 ▶뉴질랜드 협의회 ▶서남아 협의회 ▶동남아 남부 협의회 ▶동남아 북부 협의회 ▶동남아 서부 협의회 ▶중앙아시아 협의회가 포함되며, 여기에는 총 29개 나라와 대만 홍콩 등에 걸쳐  총 640명의 위원이 위촉됐다.

이숙진 부의장은 “향후 고국 정부의 지침에 근거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과 민주 통일 기반 구축을 위한 대양주 및  동남아시아, 중앙 아시아 지역의 공공 외교 역량 강화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 부의장은 또 “민주평통 아시아 지역회의의 관할 구역은 탈북자 이슈와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만큼 탈북자 문제에 대한 아시아 및 대양주 지역 국가의 관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이숙진 부의장은 16, 17기 호주협의회장 임기 동안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호주 사회의 관심 제고 및 민주평통의 주류화에 가시적 업적을 남기는 등 해외협의회 활동의 모범적 사례를 보인 것으로 평가받은 바 있다.

한편 민주평통은 제18기 해외지역회의 자문위원으로 122개국 3천630명을 위촉했다.

전체 해외지역 자문위원의 숫자는 17기(117개국 43개 해외지역협의회 3천278명)보다 352명이 늘었다.

호주 협의회 위원 131명 위촉…협의회장에 형주백 전 부회장

호주협의회 회장에는 16, 17기 부회장을 역임한 형주백 씨(57)가 임명됐으며, 호주협의회 소속 위원으로는 131명이 위촉됐다.  17기 대비 위원 수가 무려 31명 증원됐다.

아울러 빅토리아주의 멜버른 분회가 지회로 승격됐으며 지회장은 형주백 호주협의회장의 추천을 통해 민주평통 의장인 문재인 대통령의 임명 절차를 밟게된다.

5명의 지역회의별 부의장과 함께 43개 해외지역협의회 회장, 간사 등 130여 명은 오는 10월 말부터 2박 3일간 서울 광진구 광장동 워커힐 호텔에서 열리는 '해외 간부 자문위원 워크숍'에 참가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9월 1일에는 김덕룡 수석부의장 이하 국내외 부의장 및 상임위원 등 50명은 제141차 운영위원회를 갖고 제18기 국내외 협의회 출범식 계획 및 2017년 하반기 주요 업무 추진 계획안을 심의 의결한다.

아울러 회의 기간 중 이숙진 부의장 등 국내외 부의장은 민주평통 의장인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게된다.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456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43 호주 동포자녀 유소년-청년들 스포츠 행사 연이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1842 뉴질랜드 제17기 평화통일자문회의, 뉴질랜드협의회 통일 워크샵 개최 - 자문회의 역할과 차세대 통일교육방안에 대한 토론 발표회 가져 굿데이뉴질랜.. 16.01.29.
1841 뉴질랜드 겨우 15일 남은 4·13총선 재외선거 신고·신청일 막바지 등록 위해 총력 다 하고 있지만…턱없이 저조한 상태 굿데이뉴질랜.. 16.01.29.
1840 호주 재외 유권자 등록 마감, 1주일 앞으로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9 호주 ‘한지’를 통해 매력적인 한국문화를 만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8 호주 파워하우스뮤지엄, 한국 현대 도자기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7 호주 재외국민 투표참여 독려, 재외언론인들 나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6 뉴질랜드 재외선거인 등록 D-8, 턱없이 부족한 해외 홍보 뉴질랜드는 두 번의 황금주말 연휴 겹쳐 실제 등록일 겨우 5일 남아 file 굿데이뉴질랜.. 16.02.11.
1835 호주 시드니 한국교육원, 확장 이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4 호주 시드니 한인회, 재해 피해 동포 위한 모금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3 호주 김봉현 대사, 프라이덴버그 장관 면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2 호주 시드니재외선관위, 투표소 설치장소-운영기간 의결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1 호주 “한국 내외 국민-동포들, 다함께 도약 이끌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0 뉴질랜드 4·13 총선 재외선거인신고 신청률, 19대 대비 27% 증가…재외유권자 수의 8% file 굿데이뉴질랜.. 16.02.18.
1829 호주 김봉현 대사, 캔버라 다문화 축제 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8 호주 제20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신고·신청 마감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7 호주 시드니 최초, ‘한지문화제’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6 호주 “한지 페스티벌에 참가하게 돼 너무 기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5 호주 주호주 대사관 직원, 면세품 초과 구매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6.02.25.
1824 호주 “한국의 고급문화 선보인 것이 가장 큰 의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