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중국 1).jpg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들의 해외 부동산 개발 투자를 통제하겠다고 발표, 호주 부동산 개발에 적신호가 켜진 가운데, 스티븐 키오보(Steven Ciobo) 호주 통상장관(사진)은 “호주-중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양국간 무역이 이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무원’ 첫 규제안 발표 호주 부동산 개발 시장에도 지각변동 예상

카지노-방어기술 해외투자 전면금지, 부동산 개발-호텔은 일부 제한

 

중국 정부가 해외 부동산 개발에 대한 중국 기업들의 대규모 자금투자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이에 따라 호주 부동산 시장에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고 금주 월요일(21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중국의 최고 정책결정기관인 국무원(State Council or Cabinet)은 지난주 금요일(18일) 중국 기업들의 해외투자에 대한 첫 규제안을 발표했다.

새로 제정된 규율에 따라 카지노 및 방어기술 부분의 해외투자는 전면 금지되며, 해외 부동산 개발 및 호텔에 대한 투자는 일부 ‘제한’된다. 국무원은 해외투자 규율을 어긴 기업들은 처벌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런던 기반의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사인 ‘나이트 프랑크’(Knight Frank)가 올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기업들은 호주 전체 주거용 부동산의 38%를 구매했다.

그러나 중국 국가개발개혁위원회(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 NDRC)는 최근 몇 년간 중국의 거대 사기업들이 ‘비이성적’(irrational)으로 해외 부동산 사재기 움직임을 보여 왔다고 지적했다. 다만 해당 부동산(property) 부문은 ‘실질적으로 국내 자본유출로 중국 경제에 해를 가할 만한 해외 부동산(real estate) 투자가 아니다’는 입장이다.

‘나이트 프랑크’의 올해 1월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내 중국 기업들이 지난해 구매한 부동산 개발 지역의 평균 면적은 2만1,045 평방미터에 달해 4년 전보다 18배 늘었다.

중국 정부는 주요 4대 대규모 해외투자 기업들(HNA, Dalian Wanda, Fosun International, Anbang)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18일) 공표된 해외투자에 관한 규율은 중국 정책상 최초로 이들 4개 기업 이외 기업들의 해외 부동산 개발 및 호텔 구매까지 확대된 단속이다. 영화산업,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투자는 ‘제한’된 분야로 분류됐다.

 

종합(중국 2).jpg

‘달리안 완다 그룹 컴퍼니’(Dalian Wanda Group Co.)의 왕 지안린(Wang Jianlin) 회장(사진)은 1년 전 상하이 디즈니랜드 개장을 앞두고 테마파크 '완다시티'를 설립, 월트디즈니에 정식 도전장을 내밀었다.

 

현재 중국 주요 기업들의 호주 투자는 상당히 활발한 편이다. 중국의 억만장자 왕 지안린(Wang Jianlin)이 소유한 중국 최대 부동산개발회사 중 하나인 ‘달리안 완다 그룹 컴퍼니’(Dalian Wanda Group Co.)는 2주 전 기업 구조조정을 시작하고 시드니 서큘러키(Circular Quay)와 골드코스트(Gold Coast)의 아파트 건설 및 호이츠(Hoyts) 체인 영화관을 건설하는 10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중국의 항공운수 및 공항운영 업체인 ‘하이항(海航)그룹’(HNA)은 호주 항공사인 버진 오스트레일리아(Virgin Australia)의 지분 13%를 매입했고, 빅토리아(Victoria) 주 소재의 한 컨벤션 센터도 소유하고 있다. HNA 그룹은 세계 각국의 공항 및 항공사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계열사 하이난 항공(Hainan Airlines)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이외에도 수많은 중국계 회사들의 활발한 투자가 호주 부동산 및 호텔 시장 전반으로 뻗어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의 세계적인 보안업계 선두주자로 손꼽히는 CCTV 기업 다화(Dahua)는 지난해 멜번(3억4,700만 달러)과 시드니(4억 달러) 외곽지역에 다수의 토지를 매입, 대규모 종합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상하이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화 그룹은 2015년 시드니 피시 마켓(Sydney Fish Markets) 재개발 사업과 관련, NSW 주 정부에 수십억 달러의 자발적 입찰(unsolicited bid)을 제안했으나 실패한 바 있다.

그린랜드(Greenland) 그룹과 컨트리 가든(Country Garden)도 중국 상하이에 기반을 둔 기업들로, 호주 주요 부동산 프로젝트의 중요한 투자자들이다. 이런 가운데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중국 정부의 새 규정이 이들의 해외투자 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전했다.

그런 한편 중국 국무원은 자국 기업들에게 해외투자보다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사업에 투자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중국에서 중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육상 실크로드(일대), 동남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를 잇는 해상 실크로드(일로)를 뜻하는 말로, 2013년 9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처음 제시한 글로벌 경제개발 프로젝트이다. 중국이 전 세계 기업들에게 이 다국적 사업에 참여할 것을 장려하고 있는 가운데, 호주 정부는 아직 결정을 보류한 상태다.

스티븐 키오보(Steven Ciobo) 호주 통상장관은 올해 호주와 중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일대일로가 아니어도 양국간 무역이 이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규율을 발표한 국무원은 호주에서 중국 기업들이 그동안 전통적으로 투자해온 분야인 석유 및 가스 탐사, 미네랄 및 에너지 부문에 대한 해외투자를 지속할 것을 추천한다고 전했다.

농업 및 어업 투자는 이미 허용된 상태며, 중국 기업들은 해외 기업들과 함께 기술 및 첨단생산기술 부문에 활발한 공동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중국 영자신문 차이나 데일리(China Daily)는 보도를 통해 “중국 정부가 각각의 사업 분야별로 다른 해외투자 방향을 제시해야 하고, 해외투자가 장려되는 부문에 대한 지원과 제한되는 부문에 대한 팁을 제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중국 1).jpg (File Size:49.4KB/Download:34)
  2. 종합(중국 2).jpg (File Size:28.8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51 호주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차단에 기여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750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예방의 첫 단계는 손 청결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749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로 늘어나는 재탁근무, 직원 안전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748 호주 서비스 업종 잠정 휴업으로 실직자 수, 최대 200만 명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747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공황’ 틈 탄 사이버 범죄자들 ‘극성’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746 호주 호주에서 ‘가장 살기 좋은 지방 도시’는 발라랏-벤디고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745 호주 호주 연구진의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법 연구 진행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744 호주 연방정부의 코로나 바이러스 피해를 위한 두 번째 지원 패키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743 호주 ‘사회적 거리’ 두기 위반 행위에 강력한 처벌 부과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742 호주 ‘Coronavirus shutdown’ 2단계 조치... what's banned and what's not?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741 뉴질랜드 창가에 "곰인형을 올려주세요", 곰인형 찾기 놀이 NZ코리아포.. 20.03.27.
1740 뉴질랜드 4.15총선 뉴질랜드 재외 투표 어려울 듯 NZ코리아포.. 20.03.27.
1739 호주 호주, NSW주 코로나 19 확진자 1617명…전국 3600명 육박, 사망 14명 호주브레이크.. 20.03.28.
1738 호주 호주, 이어지는 강경 대책…”2명 초과하는 모임 금지한다” 호주브레이크.. 20.03.30.
1737 호주 호주, “세입자 6개월간 퇴출 못 시킨다”vs˝근본적 대책은 임대료 인하 호주브레이크.. 20.03.30.
1736 호주 호주, 코로나 확진자 4000명 넘을 듯...사망16명 호주브레이크.. 20.03.30.
1735 뉴질랜드 뉴질랜드록다운을 이용하여 가격 폭리 취하는 행동에 강력한 경고 일요시사 20.03.30.
1734 뉴질랜드 크루즈 탑승 108명 오늘(30일) 뉴질랜드에 도착 일요시사 20.03.30.
1733 뉴질랜드 Covid 19] 그레이마우스 병원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첫 사망 사례 나와 일요시사 20.03.30.
1732 호주 호주, 100조원 규모 고용 보조금 지급! “호주 국민을 위해 보장”… 호주브레이크.. 20.03.31.
1731 호주 호주서 BCG 백신 인체실험 예정… “코로나 19에 효과 검증 절차” 호주브레이크.. 20.03.31.
1730 호주 호주, 하늘에서 코로나 감시? “열 센서 탑재, 팬데믹 드론 개발”… 호주브레이크.. 20.03.31.
1729 호주 호주, 연방법원 ‘사칭통용’ 인정… “유명 상표 무단사용은 이익 침해” 호주브레이크.. 20.03.31.
1728 호주 호주, 코로나 확진자 4247명 사망 18명…”20대는 여성 확진자가 더 많다.” 호주브레이크.. 20.03.31.
1727 호주 호주 NSW주, 강력한 코로나 법 시행! “징역 또는 11,000달러 벌금”... 호주브레이크.. 20.03.31.
1726 호주 호주, 해외 입국자 격리 ‘5성급 호텔’ 활용…“숙박 업체 생명줄 될 것 호주브레이크.. 20.03.31.
1725 호주 호주, 확진자 4500명 넘었는데 매춘까지…경찰, 비밀 매춘 적발! 호주브레이크.. 20.03.31.
172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Coronavirus shutdown’ 조치 후 온라인 경매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23 호주 시드니 경매서 가장 많이 거래된 매물은 2개 침실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22 호주 호주 관광산업, 해외여행자 감소로 월 30억 달러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21 호주 “강한 메시지가 필요하다”... 각 주 정부, ‘pupil-free’ 선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20 호주 모리슨 정부, ‘코로나 바이러스 지원금’ 수혜대상 범위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19 호주 각 주 주요 도시들, 주차위반 범칙금 부과 ‘완화’하기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18 호주 NSW 주 COVID-19 감염자 3분의 1이 20-30대 계층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17 호주 호주 전역의 캐러밴 여행자들, 현지 투어리스트 파크에 발 묶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16 호주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 모든 모임 2명으로 제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15 호주 연방 정부의 ‘Two-person rule’, 각 주-테러토리 제재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14 호주 호주 음악치료사의 ‘Every Little Cell’, 지구촌으로 퍼져나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13 호주 ‘공황’ 상태서 마구잡이 사들인 음식물... 결국 쓰레기통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12 호주 해외에서 도착시 2주간 호텔-캐러밴 파크서 ‘격리 강제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11 호주 정부, 기업의 고용자 임금 지원 위해 1천300억 달러 책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10 호주 NSW 주, ‘목적 없는 외출’ 금지... 강력한 통제 규정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70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온라인 경매 지속... 대다수 매물, 직접 매매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708 호주 3월 주택가격 상승... 성장폭은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707 호주 호주 NBN, “인터넷 접속 증가했지만 문제는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706 호주 광역시드니 인구 증가율, 7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705 호주 ‘Working Parents’ 자녀에게 무료 차일드 케어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704 호주 애니메이션 ‘블루이’, ‘International Emmy Kids Award’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703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호주인의 일하는 방식에도 변화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702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취약 계층, 고령자들만이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