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1-라파주.jpg

 

 

르 파리지앙에 따르면 프랑스-스위스 공업 그룹 라파르주-홀심(Lafarge-Holcim)은 2008년에 이집트 그룹 오라스콤 (Orascom Construction Industries)을 88억 유로에 인수하면서 북한에 있는 상원 시멘트 공장을 소유하게 되었다고 한다. 오라스콤의 지분의 60%는 스위리스(Swiris) 가족이 보유하고 있었다. 오라스콤 시멘트는 이집트, 알제리, 아랍에미레이트, 이라크 등 떠오르는 건축 시장의 리더다. 그 외에도 사우디, 터키, 시리아 등 중동 지역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건축 자재 부문에서 세계적인 리더인 라파르주그룹은 9년 전부터 북한의 상원 시멘트 회사의 지분 36%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것을 금년에 매각했다. 

상원 시멘트 회사는 평양 부근에 있다. 오라스콤은 2007년에 상원 시멘트 회사의 자본에 참가했다. 그 이듬해인 2008년에 오라스콤이 라파르주에 의해 인수되었다. 따라서 라파르주가 상원 시멘트의 지분 36%를 보유하게 된 것이다.

 

라파르주 그룹은 ‘프랑스 고용인은 한 사람도 북한에서 일하지 않으며, 상원 시멘트의 경영에도 관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2015년에 북한의 해외 홍보를 위한 공식적인 인터넷 사이트 중 하나인 ‘COREE’에 상원 시멘트가 소개 되었다. 

"COREE의 건설 목표에 적극적으로 기여한다. 석회석의 질이 좋고 매장량이 풍부하며, 운송면에서도 위치가 좋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 시멘트 회사를 극찬한 것은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라파르주 그룹이 조인트-벤춰로 북한에서 시멘트 공장을 운영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핵 확산과 관련이 있는 불법 활동과 연계된 경제 활동 분야는 국제적 처벌을 받지만 시멘트와 건설은 이와 무관하다. 그럼에도 라파르주 그룹은 상원 시멘트의 지분 36%를 매각하고 북한을 떠났다. 매입자가 누구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오라스콤 매입에 연관된 다른 취득에 대하여 6월 9일 파리 검찰청은 라파르주-홀심을 대상으로 법적 증인 신문을 개시했다. 이유는 ‘테러 활동에 대한 재정 지원’ 및 ‘타인의 생명에 대한 위험’이다. 

프랑스-스위스 그룹 라파르주가 2008년에 오라스콤을 매입했을 때 시리아 북동쪽에 있는 잘라비아(Jalabiya) 시멘트 공장도 인수했다. 사회단체인 쉐르파(Sherpa)와 ‘베를린 헌법 권리 유럽 센터’는 라파르주가 IS(Daech)를 포함하는 시리아 무장 그룹을 간접적으로 지원했다고 고발했다. 지난 5년간 시리아에서 치열한 전쟁을 하고 있는데 시멘트 공장의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 이들 무장 그룹들과 관계를 유지했다는 것이다. 라파르주 그룹은, 2012년에서 2014년까지 잘라비아 시멘트 공장 지대의 안전을 위해 ‘수락해서는 안되는 합의를 체결했다’는 사실을 3월 2일 시인했다.        

1970년대 이래 북한은 프랑스에 이자를 포함하여 4억 유로의 빚을 지고 있다. 그런데 북한은 1984년 이후 환불을 중단했다고 프랑스 외무부가 밝혔다. 프랑스는 북한과 정식 외교 관계가 없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이런 상황을 타개할 방법이 없다. 

   

프랑스와 북한의 교역은?

 

프랑스와 북한의 교역액은 2016년에 1200만 유로로 2014년 교역액의 두 배다. 프랑스가 북한에서 수입하는 제품은 기계류, 자동차 부품, 플라스틱, 고무 등이다. 

2016년에 프랑스가 구입한 북한 제품의 가격 총액은 1080만 유로. 프랑스 외교부에 따르면, ‘북한은 프랑스의 153번째 수입국이며, 금액은 프랑스 수입 총액의 0.002%에 불과하다.

프랑스의 대 북한 수출 총액은 200만 유로이며 수출품은 주민들에게 직접 필요한 식료품, 치과 및 의학 기재 등이라고 프랑스 재무부가 밝혔다. 

2015년 프랑스의 대 북한 수출품과 가격은 살충제와 화학 제품 715,068유로, X-레이 기계와 계측기 393,283유로, 가공식품 252,138유로, 가공곡물과 밀가루 229,267유로, 의약품 84,790유로 등이다 

 

【프랑스(파리)=한위클리】이진명 편집위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98 독일 독일 대학교가 외국 학생들에 인기가 높은 이유 유로저널 14.11.23.
1097 영국 영국 최저임금 일자리, 동유럽 노동자들이 채워 유로저널 14.11.23.
1096 프랑스 프랑스인들 대다수가 동성애 결혼에 찬성 file 유로저널 14.11.23.
1095 프랑스 미노토르의 미로가 되어버린 피카소 박물관 유로저널 14.11.23.
1094 프랑스 ‘닷 파리’ 도메인, 본격 개통 프랑스존 14.12.04.
1093 프랑스 종교의 역사와 예술의 도시, 아비뇽, Avignon 프랑스존 14.12.04.
1092 프랑스 화기애애했던 재불한인회장선거 & 재불한인송년의 밤 프랑스존 14.12.04.
1091 프랑스 재불한인회장 세대교체, 한인사회 도약의 계기로 file 프랑스존 14.12.04.
1090 영국 영국 노동자들, 실질임금 하락 가장 커 유로저널 14.12.11.
1089 독일 독일, 미국 다음 두번째로 중요한 이주국가 유로저널 14.12.11.
1088 프랑스 작은 정성 큰 베품, 함께 보내는 따뜻한 크리스마스 프랑스존 14.12.18.
1087 프랑스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공존하는 마르세유, Marseille 프랑스존 14.12.18.
1086 프랑스 이국정취 가득한 프랑스의 폴리네시아, 글래낭 군도 프랑스존 14.12.18.
1085 프랑스 이한치한? 연말 추위를 즐기는 방법 프랑스존 14.12.18.
1084 프랑스 다사다난했던 한 해를 보내면서… 프랑스존 14.12.18.
1083 독일 경제 전문가, 독일경제 예상 의외로 성장할 것 유로저널 15.01.07.
1082 영국 영국주택가격, 하루 평균 42파운드(약 70달러) 인상 유로저널 15.01.07.
1081 베네룩스 네덜란드인의 모슬림에 대한 부정적 시각 최고조에 달해 유로저널 15.01.07.
1080 기타 터키 여행시 친근하게 접근하는 터키인들 주의해야 유로저널 15.01.07.
1079 프랑스 프랑스인 60%, 외국인들 투표참여에 반대 유로저널 1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