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건축가 에릭김(한국명 김규범·모마 설계 대표 건축가) 씨가  ‘2017 시드니 디자인 어워드’에서 은상을 수상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8월29일 시티 소재 시아벨로 갤러리(Schiavello Gallery)에서 열린2017 시드니 디자인 어워드 시상식에서 김씨가 대표 건축가로 있는 모마 설계의 ’Lidcombe walk 프로젝트’가 건축 제안부문 은상을 수상했다. 금상은 설립90년의 시드니 소재 BVN 건축이 수상 했으며, 공동 은상은 일본 대표 건축 회사  사나 (SANAA)에게 돌아갔다.

김 대표는 “매 프로젝트를 건축주와 공동체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며 창조적 공간을 만들어 내는 끝없는 노력이 모마 건축의 설계 정신이며,이를 이해하고 지지하는 건축주들과 함께 일할 수있어 크나큰 행운”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시드니 디자인 어워드는 디자인 콘셉트와 혁신성 등을 평가해 매해  건축,시각, 제품, 디지털 디자인 등 각 분야의 최고의 디자인 작품을 선정하는 호주 대표 건축 디자인 어워드로 꼽히며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NSW 지역에는 총 300여점이 넘는 디자인 참가작 가운데 3점을 선정하는 건축 제안 부문에 ‘모마 건축’이 은상을 수상했다.

금상을 수상한 ‘BVN 건축’은 시드니, 브리즈번  및 뉴욕과 홍콩에 지점을 두고 있는 글로벌 회사이며 , 공동 은상을 수상한 일본 건축사무소 사나(SANAA -세지마 가즈요+니시자와 류에)는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뿐 아니라 일본 건축학회상, 황금사자상 등 건축계에서 내로라하는 건축상을 휩쓴 일본의 대표 건축사무소다.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건축 회사와 경쟁하며 공동 은상을 수상한 것은 놀랄만한 성과를 이뤄낸 것으로 한인 건축디자인의 실력을 입증한 것이나 다름없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공동체를 배려하는 건축물을 만들어보자는 일념으로 팀원들과 합심해 설계 제안을 완성시켰는데 이렇듯 좋은 평가를 받게 돼 기쁘다” 며, “설계안의 중심부로 이웃 건물에서 부터 이어지는 통행을 가로 지르게 하여 공공 동선을 끌어들이는 것을 설계 중점으로 두었다"고 설명했다.

 

도시사회건축의 통합체

리드컴 지역의 남부 상가지역은 2차대전 이후 부터 70년대초 사이 유럽과 중동에서 이민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번영을 누렸지만 이후 파라마타와 뱅스타운에 들어선 대형 쇼핑몰의 영향으로 상권을 빼앗겼다.

모마 설계가 제안한 'Lidcombe walk'는 대지의 한정된 설계안이 아닌 주위 여러 건물들과 앞으로 지어질 건물까지를 아우르는 공공의 동선을 제시했다. 도시와 사회, 건축이 서로 상호 작용하는 통합체로서의 이해 안에서 디자인 한 것이다.

여기서 공공의 동선이란 “기차역 부근의 활기찬 상가지역과 이웃 건물의 아케이드를 통해 본 설계의 지상층까지 연결해 상권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걷고 싶은 거리를 만드는 것을 이야기 한다”며, “좋은 거리가 조성되면 상시 유동인구가 늘어나 자연스레 치안 문제 등 해당 지역이 안고 있는 문제도 해결 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김 대표는 설명했다.

 

사람과 환경이 마주하는 공간

'Lidcombe walk'는 리드컴 리멤버런스 공원을 마주보게 위치한, 연면적8천196㎡에 지하 3층, 지상10층 규모의 주상복합 설계안이다.

김 대표는 건축가의 사회적 역할로 친환경성(sustainability)을 전면에 내세운다.

이번 설계안 역시 기존 아파트들과는 달리 중정(건물과 건물사이 공간)의 개념을 도입해 자연 채광과 자연 통풍을 최대화했다. 건물 중심에 내부공간의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인 보이드(Void)를 설계한 것.  

자연 채광과 자연 통풍을 효율적으로 건물 중앙으로 끌어 들였고, 보이드(Void) 내부의 더운 공기가 상승하는 것에 착안한 스테크 효과(Stack effect)로 동력 없이 항상 신선한 외부공기가 지상층으로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될수 있도록 했다.

건물의 외피(facade) 또한 고각의 여름 자연광은 차단하고 완만한 각도의 겨울 자연광만 내부로 들여 내부 온도를 조절하고, 지붕에서 모아진 빗물은 정원과 화장실 등에 재사용 된다.

건물의 외피는 곧 건물의 피부라고도 할수 있는데 내부 볼륨을 감싸는 외부 부분을 일컫는 용어다. 건물의 외피는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보호기능과 더불어 내부공간과 외부환경 사이에 균형유지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김 대표는 “카운슬 규정으로는 아파트내 지정된 주민 공동 공간에만 빨래 건조를 하게 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주민들이 베란다 공간을 이용한다. 이용자는 편리하지만 건물 외관이 지저분해져 버린다"며 “이를 보안하기 위한 방책으로 새하얀 스크린 프레임 외피로 시각적 주의를 끌었다. 상대적으로 외피 뒷쪽 발코니 공간을 잘 보이지 않게 하는 효과를 노린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유의 주거공간 일지라도 외부로 드러나는 건물의 외관은 도시와 시민의 공공의 소유라고 김 대표는 역설했다.   

지상층(ground floor)에는 상가와 중앙정원이, 그리고 상층부에는 고급 아파트와 근린시설이 자리잡고 있으며 모든 시설이 지상층(ground floor)과는 완전히 분리되어 거주민의 프라이버시 및 높은 거주의 질을 이루어 내는데 설계의 주안점을 두었다. 옥상정원(Rooftop garden)에서는 도심지역의 스카이라인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며 거주민들의 바베큐 파티와 야외 영화 상영이 가능하다.

김 대표는 “매번 새 프로젝트를 시작할때 마다 먼저 겁이 난다. 건축물이란 것이 한번 지어지면  짧게는 수십년 길게는 수백년 동안 도시의 한 자리를 차지해 역사의 일부가 되는 것인데, 설계의 모든 과정에 신중을 기하지 않을수가 없다.” 라며 “도시와 공동체를 위한 철학을 앞으로의 설계 프로젝트들을 통해 담아내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에서 출생해 13세 때 호주로 이민 온 김 대표는 시드니대에서 건축학을 전공해 건축학 학사, 석사학위를 각각 이수했다. 이후 PTW (Peddle Thorp & Walker) 와 HBO+EMTB등을 거쳐 2012 모마 설계 사무소(moMA Architects)를 대만계 화교 파트너와 공동 설립했다. 대표작으로는

St.Vincents 병원 응급병동, NSW주Jindabyne 청소년 수련원 대강당, 리드컴The Parkview 아파트 등이 있다.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545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뉴질랜드 강창희 국회의장 주최 동포 초청 간담회 굿데이뉴질랜.. 14.03.11.
6800 뉴질랜드 더니든 남성 99글자짜리 이름으로 개명 성공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9 뉴질랜드 주오클랜드분관 청사 이전 안내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8 뉴질랜드 2014 한인의날 Korean Day 안내 (3월 15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7 뉴질랜드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오리엔테이션 및 문제해설 특강 (4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6 뉴질랜드 총선 끝난 후 ‘뉴질랜드 국기 교체 여부’ 국민투표 굿데이뉴질랜.. 14.03.12.
6795 뉴질랜드 청소년 백일장 우리말 글쓰기 예선 합격자 굿데이뉴질랜.. 14.03.13.
6794 뉴질랜드 A형 간염 주의보 ‘감염자 접촉 사과, 복숭아 리콜’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3 뉴질랜드 대한민국 하키 여자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하키 여자국가대표팀과 공식 경기 예정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2 뉴질랜드 다음 정권은 9월 20일에 결판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1 뉴질랜드 기업체, 고유식별번호로 통합 관리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0 뉴질랜드 뉴질랜드, OECD중 단연 경제 성장률 높아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9 뉴질랜드 웰링턴 박지관 교수, 여왕메달(QSM) 수여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8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7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6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5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4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3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2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1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0 뉴질랜드 2014 오클랜드 한인의 날 성공리에 개최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9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매매중 1/4은 중국인이 사들였다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8 뉴질랜드 뉴질랜드 낮은 실업률, 고용시장 안정화 국면 file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제 상승곡선위에서 주춤주춤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6 뉴질랜드 교육부, 학생성적에 따라 학교운영비 지원 추진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5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4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3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2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1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0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69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8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공동위, 양국간 협력 강화 합의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7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6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5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4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3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2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1 호주 AFC 아시안컵축구, 북한 중국 우즈베키스탄 C조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0 호주 애보트 총리 “봉쇄 작전 큰 효과” 선언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9 호주 합참의장 출신.. 애보트 총리 측근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8 호주 2.5%.. 호주달러 미화 93센트 육박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1.
6757 뉴질랜드 국민 3분의 1 "수입 격차 점점 벌어지고 있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2.
6756 호주 여야, 군소정당 총력전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5 호주 바이키단체 변호사 ‘명예훼손’ 보상 청구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4 호주 스트라스필드시 연방, 주정부 입장 청취 후 처리 방침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3 호주 BP, 필립모리스 "호주 생산 중단" 발표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2 뉴질랜드 유아교육은 뉴질랜드가 미국보다 앞서 굿데이뉴질랜.. 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