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언론이 북한의 제 6차 핵 실험 소식을 연일 톱 기사로 다룬 가운데 이 소식을 전한 조선중앙 TV 간판 아나운서 리춘히에게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시드니모닝헤럴드는 5일 북한 정권의 목소리 역할을 맡고 있는 74세의 아나운서 리춘히의 로이터통신 기사를 웹사이트 메인 화면 중앙에 배치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기사는 리춘히가 드라마틱하면서도 강한 목소리를 내세워 북한 정권이 이뤄낸 업적을 서방 국가에 알리는 일을 도맡아왔으며, 지난 3일 어김없이 그의 특기인 과장된 목소리 톤으로 “수소탄 실험이 완벽하게 성공했다”는 소식을 전했다고 밝혔다. 그의 목소리는 북한의 강경한 태도를 전하는데 완벽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리춘히는 1971년 이래 핵실험, 장거리 미사일 발사뿐 아니라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과 2011년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소식 등 북한의 중대 방송을 맡아 왔다. 공식적으로 2012년 은퇴했지만 주요 소식을 발표할 때마다 TV에 등장하며 북한에선 영웅 대접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뉴스닷컴은 이에 앞서 4일 “우먼 인 핑크(Woman in Pink)”의 귀환을 알리며 핵 실험 소식을 발표하기 위해 리춘히가 돌아왔다고 전했다. 리춘히가 ‘우먼 인 핑크’라고 불리는 이유는 그가 분홍색 한복 저고리를 자주 입기 때문.  

뉴스닷컴은 최근 리춘히의 모습을 보기 어려웠지만 두 달 전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알리면서 다시 모습을 드러냈고, 이어 3일 흥분에 찬 목소리로 “대륙간탄도미사일 탑재용으로 고안된 수소 폭탄 실험이 완벽하게 성공했다”는 소식을 전했다고 보도했다.

2009년 북한의 조선 월간 잡지에 실린 기사를 인용한 뉴스닷컴은 “1971년 조선중앙TV를 통해 아나운서로 카메라 앞에 선 그는 ‘인민방송원’으로 활약했으며 특히 격정적인 목소리로 북한이 충격적인 소식을 알릴 때마다 등장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한 북한 전문가는 “리춘히가 지난해 TV로 돌아왔다는 것은 분명한 메시지가 있다”면서 “북한이 냉전 시대의 강경한 태도로 돌아가겠다는 사인을 보낸 것”이라며 “북한 정권이 그녀를 다시 카메라 앞에 세운 건 우연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4일 호주방송 SBS의 ‘피드(The Feed)’프로그램 진행자 마크 험프리스가 리춘히를 패러디하는 영상에서 분홍색 기모노를 입고 나와 논란이 일기도 했다. 그는 “분홍색 옷을 급하게 찾다 벌어진 실수였다. 일본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음에 사과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 영상은 ‘피드’ 페이스북에서 100만건 이상 조회되며 큰 화제가 됐다.  

◆5일 시드니모닝헤럴드는 웹사이트 메인 화면 중앙에 리춘히 기사를 배치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미지 출처: 시드니모닝헤럴드 웹사이트 화면 캡처)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552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83 호주 지난 10년간 주택가격 상승 톱 10 시드니 지역은... 호주한국신문 15.11.12.
1882 호주 지난 주말 시드니 경매 낙찰률, 60% 이하로 호주한국신문 15.11.12.
1881 호주 섹스산업 관련 조폭 단속 요구 목소리 높아져 호주한국신문 15.11.12.
1880 호주 경찰, 200만 달러 규모 대마초 재배지 적발 호주한국신문 15.11.12.
1879 호주 유엔 사무총장의 꿈을 키워가는 케빈 러드 호주한국신문 15.11.12.
1878 호주 이민부 장관, 시리아 난민 수용 확대 가능성 남겨 호주한국신문 15.11.12.
1877 호주 대학 졸업 후 정규직 찾는 데에 5년 걸린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1876 호주 호주 10대 청소년 출산 여성 수치, 크게 낮아져 호주한국신문 15.11.12.
1875 호주 가톨릭 여학교 학생들, 대학진학 가능성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12.
1874 호주 시리아-이라크 지역 호주인 테러리스트 수치 ‘감소’ 호주한국신문 15.11.12.
1873 호주 중앙은행,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필요” 호주한국신문 15.11.12.
1872 호주 호주 최대 두 도시가 직면한 문제, “너무 크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1871 호주 턴불 정부, 의료보험 제도 과감한 개혁 예정 호주한국신문 15.11.12.
1870 호주 호주 사상 최대 미스테리 중 하나, ‘누간핸드 은행’ 호주한국신문 15.11.12.
1869 뉴질랜드 아메리칸 항공 뉴질랜드 노선 개설 소식에 에어 뉴질랜드 항공권 가격 인하 굿데이뉴질랜.. 15.11.14.
1868 뉴질랜드 존 키, "노동당은 성폭행∙살인 범죄자 지지자들” 굿데이뉴질랜.. 15.11.16.
1867 뉴질랜드 순수미술공모전 당선작 ‘마운트 쿡’ 국회의사당 전시 돼 file 굿데이뉴질랜.. 15.11.25.
1866 호주 호바트 ‘우정의 벽’에 ‘대한민국 태극기 패’ 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865 호주 한-호 경제협력 증진 공동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5.11.26.
1864 호주 애보트 전 수상, 한국대사관 방문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