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메인.jpg

아웃백의 하이킹 코스 여행 상품은 성공할 수 있을까. 퀸즐랜드 주 북서부, 인적이 거의 없는 오지의 한 목장주가 주변 지역의 하이킹 여행 상품을 개발하고 있어 이의 성공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사진은 카무윌(Camooweal) 북쪽, 허버트베일 목장(Herbertvale Station)의 메인 켐프에서 저녁을 즐기는 여행자들.

 

퀸즐랜드 주 카무윌(Camooweal) 북쪽, 허버트베일 목장의 호킨스씨

5일 일정의 60킬로미터 하이킹, ‘마운트 아이사’ 오프로드 코스 개발도

 

호주 인구의 85% 이상은 해안가 지역에 거주한다. 내륙 깊숙한 곳은 주요 도시와는 너무 먼 거리라는 지리적 제한, 척박한 자연환경으로 사람이 살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

반면 사람이 적고 활용 가능한 토지가 넓다는 점에서 대규모 가축을 사육하기에는 오히려 나은 점도 있다.

백인들이 이 땅에 정착하고 곳곳에 농장과 목축지가 개발되던 당시, 호주에는 곳곳의 목축장을 돌며 일시적으로 고용되어 양털깎기나 소몰이(일명 ‘drover’)로 일하다 맡은 일이 끝나면 다른 농장으로 이동하는, 떠돌이 노동자들이 있었다. 반조 패터슨의 시 ‘왈칭 마틸다’(Walzting Matilda)는 바로 이런 이들을 일컫는 말이다.

오늘날, 아무리 먼 거리의 오지라 해도 이런 풍경은 찾아볼 수 없다. 하지만 지금의 호주라는 국가적 기틀을 일구었던 개척시대와 아웃백 떠돌이들의 이야기는 대다수 호주인들의 정서에서 비중 있는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체험 여행 또는 더없이 한적한 곳에서 얼마간의 시간을 보내고 싶어하는 이들을 위한 내륙 오지의 ‘팜 스테이’(Farm Stay)가 중요한 여행상품이 되고 있는 배경에는 이 같은 정서가 자리잡고 있다.

 

매거진 1.jpg

허버트베일 목장의 쉘리 호킨스(Shelly Hawkins)씨는 친구와 함께 주변 지역을 하이킹 하면서 이곳의 아름다움을 새삼 발견하고는 이 여행 상품을 개발하기로 결심했다고 말한다. 하이킹 코스 중 일출을 보고 있는 여행자들.

 

매거진 2.jpg

카무윌 북쪽의 허버트베일 목장 표지판.

 

최근 퀸즐랜드 주 먼 내륙 오지의 한 목장이 본래의 목축 비즈니스와 함께 홀리데이 메이커(holiday maker)들을 위한 아웃백 캠프로 여행객 유치를 시도한다는 소식이다.

그 주인공은 퀸즐랜드 주와 노던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 경계 부근, 카무윌(Camooweal)이라는 작은 마을 북쪽에 자리한 허버트베일 목장(Herbertvale Station)의 셸리 호킨스(Shelly Hawkins)씨다.

카무윌은 퀸즐랜드(Queensland) 주 주도인 브리즈번(Brisbane)에서 북서쪽으로 1천700킬로미터, 북부 호주(NT) 주도인 다윈(Darwin)에서 남동쪽으로 1,140킬로미터 거리에 위치한 인구 180명 정도의 작은 시골 마을이다. 아주 먼 내륙 오지이지만 카무윌은 과거 농장의 소몰이꾼인 ‘드로버’와 함께 오지 목장지대의 생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아웃백 이벤트 ‘카무윌 드로버스 캠프 페스티벌’(Camooweal Drovers Camp Festival)로 제법 알려져 있는 곳이기도 하다(본지 1258호 참조).

호킨스씨는 내년도, 자녀들이 기숙사가 있는 도시학교로 진학하기 때문에 목축 이외 또 하나의 비즈니스를 구상하게 됐다고 말한다. 목장 주거지의 남는 방을 활용해 아웃백 캠프를 만드는 것이다.

이와 함께 그녀는 오지 여행자를 위해 허버트베일 목장의 메인 캠프를 출발해 다시 이곳으로 돌아오는 60킬로미터 거리, 5일 일정의 순환 하이킹 코스를 비롯해 주변의 짧은 단거리 코스를 개발하고 있다.

호킨스씨는 한 친구와 메인 캠프에서 허버트베일 목장에 이르는 길을 하이킹하면서 이 사업을 떠올렸다.

“허버트베일 목장 일을 하면서 나는 자동차로 이 길을 수천 번을 오갔다. 그런데 친구와 직접 도보로 여행을 하면서 그 동안 내가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이 코스의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하이킹을 하면서 작은 물웅덩이들, 놀라운 바위 지형의 아름다움이 비로소 눈에 들어오더라는 것이다.

 

매거진 3.jpg

허버트베일 목장의 쉘리 호킨스씨. 그녀는 자신이 개발한 하이킹 코스에 대한 평가를 얻고자 친구들을 초대해 여행을 한 결과 좋은 반응을 얻었고 용기를 낼 수 있었다고 말한다.

 

매거진 4.jpg

호킨스씨가 친구와 선보일 허버트베일 목장 인근의 하이킹 코스.

 

그녀의 일터인 허버트베일 목장은 카무윌에서도 무려 100킬로미터의 비포장 자갈길을 달려야 한다. 호킨스씨는 이것이 자신의 새 비즈니스에 하나의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이킹 코스 이외에 허버트베일 목장에서 700킬로미터 떨어진 마운트 아이사(Mount Isa) 국립공원까지의 여행 코스도 개발할 계획이다. 장기 일정으로 4륜구동 차량 여행은 물론 허버트베일 목장에 소형 항공기 활주로가 마련되어 있어 이를 기반으로 전세기를 운항하는 방법도 구상 중이다. “마운트 아이사까지는 먼 거리이지만 우리 목장 캠프에서 그곳까지 가는 코스는 모든 면에서 흥미를 주기에 충분하다”는 게 그녀의 말이다.

호킨스씨는 이어 “여행자들은 이 지역 아웃백을 여행하면서 길을 잃거나 타이어를 잃어버릴 것을 우려할 필가 없다”며 “그것은 내 문제”라는 말로 오지 여행자들이 마음 놓고 이 지역 아웃백 풍경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장담했다.

호킨스씨는 새로운 비즈니스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퀸즐랜드 주 각지에 사는 친구들을 초대, 자신이 만들어낸 5일 일정의 하이킹 코스를 함께 여행했다. 친구들의 반응은 대단했다. “여행자를 위한 하이킹 코스로 개발해도 충분할 것 같다. 특히 전 세계 오지 여행자들에게도 소개할 만하다”는 게 친구들의 반응이었다.

올해 초에는 퀸즐랜드뿐 아니라 NSW 주에 사는 또 다른 친구 그룹을 초대해 여행 코스를 선보였고 이들 또한 같은 의견이라는 점에서 호킨스씨는 이 비즈니스를 본격화 한다는 계획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매거진 1.jpg (File Size:63.3KB/Download:26)
  2. 매거진 2.jpg (File Size:40.8KB/Download:31)
  3. 매거진 3.jpg (File Size:49.6KB/Download:23)
  4. 매거진 4.jpg (File Size:112.8KB/Download:25)
  5. 매거진 메인.jpg (File Size:74.4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01 호주 중국여행자 입국 금지로 호주 관광산업 타격, 월 1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1900 호주 영화 <기생충>, ‘Cannes’ 이어 ‘Academy’ 최고상 ‘영예’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1899 호주 ‘호주 언론’ 법원 판결에 두번 죽었다! "경찰의 공영방송사 압수수색, 합법적 행위"… 호주브레이크.. 20.02.17.
1898 호주 호주도 일본 크루즈선서 자국민 200여명 구출 예정…”전세기로 송환후 격리 할 것” 호주브레이크.. 20.02.17.
1897 호주 ‘우왕좌왕’ WHO 팀… ‘발원지’ 후베이성만 안간다 시드니대학 보건 전문가 일침..."최선을 다한다는 중국 주장에 의문점" 호주브레이크.. 20.02.18.
1896 뉴질랜드 폐렴 증세로 뉴질랜드 콘서트 중단한 엘턴 존…목소리 안나오자 울음 까지 호주브레이크.. 20.02.18.
1895 호주 호주, 중국 출발 외국인 입국제한 조치 연장…관광, 화물 산업 ‘직격탄’ 톱뉴스 20.02.18.
1894 호주 “생태 테러범이 조직적으로 산불 방화했을 수도” 톱뉴스 20.02.18.
1893 호주 호주, 영국 등 신종 코로나 백신 개발 박차 톱뉴스 20.02.18.
1892 호주 호주 소방당국 타임스 스퀘어에 감사 인사 광고! “호주를 지켜줘 고맙습니다.” 호주브레이크.. 20.02.19.
1891 호주 호주, 日에 해상초계기 배치! "北불법환적 감시 목적" 호주브레이크.. 20.02.20.
1890 호주 호주, 1월 실업률 5.3%로 부진…예상치 5.1% 보다 저조한 성적 호주브레이크.. 20.02.20.
1889 호주 호주서 발생한 ‘산불 연기’ 뉴질랜드 빙하 녹인다… NASA 연구 논문 게재 호주브레이크.. 20.02.20.
188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250만 달러의 랜드윅 소재 주택, 입찰 과정서 15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1887 호주 2020년 호주 주택가격, 전국적으로 8% 상승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1886 호주 House Price Report- 주택가격 상승 두드러진 지방도시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1885 호주 ‘콴타스 항공’, 7년 연속 ‘World's safest airlines’에 이름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1884 호주 호주의 ‘Most romantic city’는 타스마니아의 론세스톤 타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1883 호주 지방정부 지역별 ‘Smart city’ 순위, 최상위는 ‘North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1882 호주 1896년, 435명 목숨 앗아간 열풍... “지금은 더 뜨거워지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1881 호주 지난 2년간 NSW 주 애완견 공격 피해자 2,800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1880 호주 NSW, COVID-19 바이러스 ‘진정 국면’ 들어간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1879 호주 “중국여행자 입국 제한 확대, 호주 안전 유지 고려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1878 호주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수자원 위기, 최근 폭우로 일단 넘겨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1877 호주 日크루즈선 송환 호주•미국인 양성판정…방역 당국 긴장! 호주브레이크.. 20.02.21.
1876 호주 ‘왜소증' 호주 원주민 소년에 응원 보낸 휴 잭맨… 호주브레이크.. 20.02.21.
1875 호주 NAB "호주 금리 인하, 당장은 어려울 것" 호주브레이크.. 20.02.24.
1874 호주 ‘호주 산불’로 19억 호주 달러 보험손실 추산! 전년 대비 두 배 증가… 호주브레이크.. 20.02.24.
1873 호주 에어 뉴질랜드, 코로나바이러스로 서울 운항 잠정 중단 톱뉴스 20.02.25.
1872 호주 호주, 한국 여행 경보 2단계로 격상…대구•청도는 3단계 톱뉴스 20.02.25.
1871 호주 중국인 호주입국 제한 조치 부분 완화…11, 12학년 유학생 입국 허용 톱뉴스 20.02.25.
1870 호주 QLD 일가족 몰살 참사, ‘가정 폭력 예방의 총체적 실패’ 톱뉴스 20.02.25.
1869 호주 호주, 대북 제재 감시용 해상초계기 일본에 6번째 배치 톱뉴스 20.02.25.
1868 호주 호주, 올림픽 의료팀 국장의 쓴소리! "일본, 방역 통제 능력 시험대 올라" 호주브레이크.. 20.02.26.
186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00년 넘은 서리힐 테라스 주택, 잠정가에서 44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866 호주 Metro Northwest 기차노선 지역, 주택 검색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865 호주 SNS 인스타그램, 유튜브 광고 수익 앞질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864 호주 호주 산불의 역사... 원주민들은 산불에 어떻게 대처해 왔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863 호주 3주간의 ‘시드니 마디그라’, 도심 퍼레이드로 ‘피날레’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862 호주 호주 과학자들, 전 세계 최초 ‘COVID-19’ 백신 개발에 근접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861 호주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호주 전문가들의 우려, “무엇을, 왜?”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860 호주 “호주, COVID-19 최악 상황시 180만 개의 병상 필요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859 호주 호주, "한국 입국금지 안한다” 투명한 국가 인정... 한국 의료시스템 신뢰, '주호주한국대사관도 실시간 정보 공유' 호주브레이크.. 20.03.01.
1858 호주 호주도 우한코로나 첫 사망자 발생! “78세 西호주 남성”… 호주브레이크.. 20.03.01.
1857 호주 동성애 축제로 뜨거운 시드니! 세계 성 소수자들의 한마당, 『마디그라 축제』 호주브레이크.. 20.03.02.
1856 호주 <속보>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사람간 전염 첫 사례 발생! “해당지역 교민들 주의 당부” 호주브레이크.. 20.03.02.
1855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0.75%→0.5%로 역대 최저치 호주브레이크.. 20.03.03.
1854 호주 호주, '생물보안법' 적용 경고…”코로나19 확산시 최후의 수단 될 것” 호주브레이크.. 20.03.03.
1853 호주 호주, "언론의 슬픈 날" 호주 AP통신 85년 만에 문 닫는다… 호주브레이크.. 20.03.04.
1852 호주 호주서 ‘화장지’ 때문에 난데 없는 흉기 소동…경찰 출동후 상황 종료 호주브레이크.. 20.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