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함”이 건넨 따스한 위안

16일 어스름이 내려앉은 마스덴 하이 스쿨(웨스트 라이드)에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인근엔 주차 공간을 찾기 어려울 만큼 차들이 들어섰다. 올해로 제 7회를 맞이한 칸토포유의 정기 공연을 보기 위해서다.

오후 7시 30분. 학교 홀을 가득 채운 관객은 숨죽여 무대를 기다렸다. 올해 주제는 ‘영원한 친구들’. 첼리스트 신혜정의 연주로 시작된 무대는 열정으로 넘쳤다.

첫 회 무대부터 지금까지 함께 해 온 이승윤(소프라노), 임형선(테너), 진정철(테너), 이주연(피아노)은 오랜 세월 함께 해 오는 동안 맞춰낸 호흡을 오롯이 선보이며 근사한 무대를 선사했다. 임형선의 ‘시간에 기대어’는 호소력 짙은 목소리로 좌중을 압도했고, 이승윤과 진정철의 ‘어느 봄날’은 따뜻했다.

이번 무대에 함께한 바리톤 김영훈은 ‘피가로의 결혼’ 중 ‘더 이상 못 날으리’로 경쾌함을 더했고 신혜정의 ‘자칼린의 눈물’은 우수에 젖은 첼로의 선율로 아련함을 전했다.

중간 휴식 시간이 끝난 뒤 펼쳐진 2부는 열기로 채워졌다. 제이 브루 밴드는 ‘왓 어 원더풀 월드’, ‘문 리버’ 등 귀에 익숙한 곡으로 흥을 북돋웠다.

특히 이 날의 하이라이트는 칸토포유가 특별히 준비한 ‘흥부가 기가 막혀’였다. 이승윤, 임형선, 진정철, 김영훈은 ‘랩’까지 멋들어지게 소화했고 관객은 큰 박수로 화답했다. 약 100분 간의 공연 시간만큼은, 무대에 서는 이도, 객석에 앉아 있는 이도 함께였다. ‘공유’는 ‘위안’이었다.

동포사회에서 해마다 공연을 무대에 올리는 건 쉽지 않다. 앙코르 곡 ‘꿈을 꾼다’를 부르며 눈물을 보인 이승윤은 공연이 끝난 뒤 “칸토포유는 계속 가지만, 당분간 정기공연을 가져가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며 “지나간 시간들이 스쳐갔다. 가사가 내 마음 같아 울컥했다”고 말했다.

칸토포유의 색깔로 채워낸 정기공연의 무대는 눈부셨다. 쉼표가 오래가지 않기를 바란다.

 

(사진: 16일 마스덴하이스쿨에서 칸토포유의 제 7회 정기공연이 열렸다. 왼쪽에서부터 테너 진정철, 소프라노 이승윤, 바리톤 김영훈, 테너 임형선. )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619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03 호주 어번 카운슬, ‘Festival of All Abilities’ 공동 주관 호주한국신문 15.11.05.
1902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낙찰률, 올 들어 최저 호주한국신문 15.11.05.
1901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1840년대 코티지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05.
1900 호주 시드니 주말시장의 상징, ‘로젤 마켓’ 종료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9 호주 시드니 도심 초등학교, 교실 부족 사태 직면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8 호주 네드 켈리 수감됐던 빅토리아 주 감옥, 매물로 나와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7 호주 올해 멜번컵, 예상치 못한 ‘Prince Of Penzance’ 우승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6 호주 NSW 주 정부, 강화된 대테러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5 호주 노틀담 대학 시드니 캠퍼스, IB 교수 과정 도입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4 호주 50세 이상 호주 고령층,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3 호주 카운슬 합병, “확고한 계획 없다는 게 이상하다”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2 호주 턴불 수상의 세제개혁안에 일부 자유당 의원들 ‘반발’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1 호주 투자의 귀재, 호주판 ‘워렌 버핏’은 누구일까 호주한국신문 15.11.05.
1890 뉴질랜드 2015 대양주 차세대 옥타 포럼, 끈끈한 친목 도모와 활성화 진일보 도모 해 굿데이뉴질랜.. 15.11.10.
1889 뉴질랜드 편안한 노후를 위해서는 키위세이버에 얼마를 예금해야 할까 굿데이뉴질랜.. 15.11.10.
1888 뉴질랜드 2015 Turn Toward Busan(부산을 향하여) 추모 묵념 오클랜드에서도 거행 돼 file 굿데이뉴질랜.. 15.11.12.
1887 호주 한국문화원, 현대미술 세미나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1.12.
1886 호주 힘내라 청춘,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1885 호주 광복회, 국정교과서 ‘왜곡’ 부분 적극 대응 천명 호주한국신문 15.11.12.
1884 호주 “북한 인권 개선은 통일의 로드맵” 호주한국신문 15.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