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필 3국 소녀와 김학순할머니동상

이용수할머니 감격 눈물

 

Newsroh=노창현기자 newsroh@gmail.com

 

 

50377FB0-E346-4AA1-9B38-6D20BBA40095.jpg

 

 

황금색 휘장이 걷어지는 순간, 고개를 돌려 이 장면을 바라보는 이용수(90) 할머니의 표정은 한껏 상기됐다. 눈가엔 감격의 이슬이 맺힌 듯 했다.

 

9월 22일 샌프란시스코 다운타운의 세인트 메리 스퀘어. 역사적인 위안부 기림비가 건립됐다. 미국내 위안부 기림 조형물(造形物)로는 11번째, 그러나 이번은 더욱 특별했다. 미국의 대도시에서는 그것도 중심부에 사상 처음 세워진 것이고 샌프란시스코 시의회의 결의안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한인사회는 물론, 중국계와 필리핀 커뮤니티 등 일본 제국주의의 피해국들과 미국 시민들이 대대적인 성금운동에 참여했다는 점에서도 특별하다. 특히 중국커뮤니티는 초기 40만 달러의 제작비중 30만 달러를 부담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04FB12DA-3C6B-4825-B4C0-76DED931E521.jpg

 

56EC3092-9D97-43E8-8632-30D69F8C5E81.jpg

 

 

위안부 기림비는 한국과 중국, 필리핀을 상징하는 세명의 소녀가 선채로 마주보고 지난 1991년 위안부 피해자로는 최초로 세상에 일본제국주의의 범죄를 공개 증언한 故 김학순 할머니가 이들을 쳐다보는 조형물로 형상화됐다.

 

 

B656FE56-2E27-405A-8F9B-F7239D137C54.jpg

 

 

‘여성 강인함의 기둥’이라는 타이틀의 조형물은 캘리포니아 카멜의 유명 조각가 스티븐 와이트가 제작한 것으로 하단 동판에는 “1931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태평양 13개국 여성과 소녀 수십만 명이 일본군에 의해 이른바 '위안부'로 끌려가 고통을 당했다”는 문구와 “제2차 세계대전 중 자행된 고통의 역사가 잊힐 것이라는 사실이 가장 두렵다"는 위안부 할머니의 유언도 새겨져 있다.

 

 

IMG-1167.jpg

 

 

제막식에는 한국에서 초청된 이용수 할머니를 비롯해 마이크 혼다 전 연방하원의원, 에릭 마 SF시의원, 칸센 추, 데이비드 추 가주 하원의원, 조형물 제작에 앞장선 중국계 단체 ‘위안부 정의연대(CWJC)’의 릴리안 싱, 줄리 탕 공동의장, 김진덕정경식 재단의 김한일 대표, 김순란 이사장, 샌프란시스코 지역 한인회 관계자들, 가주한미포럼의 김현정 사무국장과 시민 등 500여명이 함께 했다.

 

 

B3B52204-FB20-4366-B41C-6665268EA2DD.jpg

 

 

고운 한복 차림의 이용수 할머니는 제막식 축사(祝辭)에서 “그간 맺힌 억울한 한이 풀리고 소원을 이룬 것 같다”며 “여러분들 덕분에 힘이 나서 200살까지 살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해 큰 박수와 환호를 받았다.

 

이용수 할머니는 ABC-TV와의 인터뷰에서 “하늘나라에 간 피해자들을 생각하니 너무 마음이 아프다”면서 “언젠가는 일본 도쿄에도 반드시 소녀상이 세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샌프란시스코 법원 판사를 역임한 릴리안 싱 CWJC 공동대표는 “이용수 할머니를 비롯한 생존 할머니들의 용감한 활동들이 오늘날 세계에서 벌어지는 인신매매와 성폭력의 문제들을 일깨워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용수 할머니는 전날 김진덕정경식재단(대표 김한일, 이사장 김순란)이 쿠퍼티노에서 주최한 환영모임에서 “여러분의 용기와 지지로 내가 서있다. 기림비 제막에 헌신해준 한인들이 고맙고 또 고맙다”고 감사를 표했다.

 

지난 2007년 미연방의회가 역사적인 위안부결의안 표결을 놓고 청문회(聽聞會)를 열었을 때 직접 참석해 증언한 이용수 할머니는 샌프란시스코 위안부기림비 건립 결의안이 일본의 극렬한 반대 로비로 위기에 봉착했을 때 공청회에 참석해 눈물을 흘리며 일본제국주의의 끔찍한 범죄를 증언해 만장일치로 결의안 통과를 끌어내기도 했다.

 

 

7EA8ED81-C142-406B-AB6A-F6F9DED12E37.jpg

 

 

김현정 가주한미포럼 사무국장은 “너무나 기쁘다. 이번 기림비는 중국계 한국계 필리핀계 커뮤니티와 유대계와 종교계 등 주류사회가 힘을 합쳐 샌프란시스코 한복판에 세워졌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동안 함께 지지해주고 기부해주신 여러분 모두께 큰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번 제막식은 한국언론은 물론, CBS ABC FOX TV와 AP통신 등 주류언론에서도 대거 취재를 나오는 등 비상한 관심을 기울였다.

 

한편 이날 제막식에는 샌프란시스코 시의원들과 샌프란시스코 중국 총영사 등이 참석한 반면, 한국 총영사관(총영사 신재현) 등 한국 정부 측 인사는 한 명도 참석하지 않았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불참 사유는 '한국 정부가 기림비 건립에 관여했다는 일본의 억지 주장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알려졌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박근혜정권때 맺은 2015년 한일위안부 협약 때문에 여전히 눈치보기로 일관하고 있다”며 곱지 않은 시선을 보냈다.

 

 

IMG-1180.jpg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한미중일 시민들 샌프란시스코서 '위안부합의 무효' 시위 (2016.1.14.)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4837

 

 

 

 

  • |
  1. 50377FB0-E346-4AA1-9B38-6D20BBA40095.jpg (File Size:120.1KB/Download:20)
  2. 04FB12DA-3C6B-4825-B4C0-76DED931E521.jpg (File Size:111.9KB/Download:21)
  3. 7EA8ED81-C142-406B-AB6A-F6F9DED12E37.jpg (File Size:191.1KB/Download:23)
  4. 56EC3092-9D97-43E8-8632-30D69F8C5E81.jpg (File Size:125.2KB/Download:20)
  5. B3B52204-FB20-4366-B41C-6665268EA2DD.jpg (File Size:204.2KB/Download:22)
  6. B656FE56-2E27-405A-8F9B-F7239D137C54.jpg (File Size:122.8KB/Download:20)
  7. IMG-1167.jpg (File Size:107.2KB/Download:39)
  8. IMG-1180.jpg (File Size:120.5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77 캐나다 캐나다, 9월 20일 조기 총선 확정…선거운동 돌입 file Hancatimes 21.08.27.
2376 캐나다 퀘벡주, 의료 종사자에 백신 접종 의무화 file Hancatimes 21.08.27.
2375 캐나다 몬트리올, 2023년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 file Hancatimes 21.08.27.
2374 캐나다 퀘벡주, 4차 대유행으로 개학 관련 지침 변경…교실 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file Hancatimes 21.08.27.
2373 캐나다 퀘벡주 25일부터 새 백신여권 “백시코드” 앱 다운로드 가능 file Hancatimes 21.08.27.
2372 캐나다 몬트리올, 온실가스 배출량 줄이기 위한 계획 발표 Hancatimes 21.08.27.
2371 캐나다 두베 장관 “의료 종사자 3만명 여전히 No 백신” file Hancatimes 21.08.27.
2370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 9월초 집단면역 가능... 팬데믹 내년초 끌날 수도" file 코리아위클리.. 21.08.27.
2369 캐나다 1997년생 영주권자 내년 1월 15일까지 국외여행허가 받아야 file 밴쿠버중앙일.. 21.08.28.
2368 캐나다 밴쿠버 한인 아역배우 비바 리, 월드모놀로그게임즈 결선 진출 쾌거 file 밴쿠버중앙일.. 21.08.28.
2367 캐나다 노인회 청원소송 판결, 현 이사들과 회장 등 모두 무효 file 밴쿠버중앙일.. 21.08.28.
2366 미국 텍사스 주지사, “백신 강요 말라” 행정명령 file YTN_애틀란타 21.08.28.
2365 미국 반려견 심장사상충 약 동났다…코로나 예방 효과 헛소문 때문 file YTN_애틀란타 21.08.28.
2364 미국 미국 주택시장 가장 ‘핫’한 도시는?…프리스코 1위, 오스틴 2위 file YTN_애틀란타 21.08.28.
2363 캐나다 밴쿠버 총영사관이 알려주는 격리면제 신청 방법 file 밴쿠버중앙일.. 21.08.31.
2362 캐나다 BC주 이름과 주깃발의 영국 상징 "그대로 좋아요" 67% file 밴쿠버중앙일.. 21.08.31.
2361 캐나다 올 상반기 새 한인 영주권자는 304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8.31.
2360 캐나다 랭리-알더그로브 선거구 연방NDP 장민우 후보 30일 선거사무소 개소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1.
2359 캐나다 트뤼도의 장고 끝 악수...보수당 차기 집권 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1.
2358 캐나다 BC 코로나19 유행 내륙보건소에서 전 지역으로 확산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