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산수 및 읽기 능력 테스트가 도입될 전망이다. 

연방정부는 교육전문가들이 “초등학교 입학 어린이 개개인에게 추가로 필요한 학업적 지원과 장기적 차원의 성적 향상을 위해 기초학력테스트가 필요하다”는 권고를 정책으로 수립하는 방안을 현재 적극 검토중이다.

교육전문가들은 "다수의 호주 어린 학생들의 성적이 뒤처지는 이유가 어린이들의 산수나 읽고 쓰기 능력에 대한 전국단위의 조기 평가가 결여돼 있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이같은 지적은 정부가 위촉해 조직된 공공 교육싱크탱크 '인디펜던트 스터디즈 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제기됐다.

 

인디펜던트 스터디즈 연구소, NAPLAN 전 단계의 전국단위 시험 권고

 

이 보고서는 특히 "상당수의 학교들이 개별적으로 초등학교 입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학력테스트를 실시하고 있지만 전국 단위의 통합된 시스템이 없고 더욱이 의무적이 아닌 관계로 시험결과에 상응하는 추가 조치도 없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런 맥락에서 이 보고서는 "전국단위의 기초학력평가 테스트 실시 결과에 따라 성적이 지나치게 저조할 것으로 우려되는 어린이들을 조기에 찾아내  담임교사가 각별한 관심을 쏟아부음으로써 산수와 읽기의 기초 학력 수준을 조기에 달성할 수 있게된다"고 분석했다.

 

사이먼 버밍험 연방교육장관은 ABC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2년 안에 전국적으로 시행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호주의 3학년 어린이 20명 가운데 한 명꼴로 읽고 쓰기의 기초 수준에 미달된 상태라는 것은 NAPLAN 시험을 통해 드러난 사실이다”면서 “이 시험을 통해 교사들의 관심을 필요로 하는 어린이들을 간편히 가려낼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

 

버밍험 교육장관 발음중심의 어학 교수법(Phonics) 중요성 역설

 

버밍험 연방교육장관은 "2019년에 전면적 시행이 가능하도록 각 주 및 테러토리 교육당국과 긴밀한 협조를 할 것이지만, 교육 정책은 정치를 초월해서 백년대계를 향한 정치권과 각 정부 단위의 통합된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같은 맥락에서 그는 “발음중심의 어학 교수법(PHONICS)이 입증된 언어교육방법으로 인식되듯이 1학년 어린이 대상 기초학력테스트가 분열적 논쟁의 대상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거듭 당부했다.

 

그러나 이번 계획에 대해 일부 노동당 주정부는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노동당 시험 불필요”…반대 입장 피력

 

연방정부가 전국의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산수와 읽고 쓰기에 대한 기초능력테스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일부 노동당 주정부가 벌써부터 반기를 들고 있다.

 

퀸슬랜드 주정부의 케이트 존스 교육장관은 "기존의 커리큘럼을 통해 학생들의 성적에 대한 평가와 추가 조치가 충분히 이뤄지고 있다"면서 "연방정부가 주정부 차원의 학교 교육제도를 장악하려 하고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

 

연방노동당의 예비교육장관 타냐 플리버세크 의원도 "중요한 것은 시험이 아니라 풍요로운 교육 자원 확충이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플리버세크 의원은 "당 차원의 공식적 반응은 이번 보고서를 구체적으로 검토한 후에 내보일 것이지만 원칙적으로 성적이 뒤처진 어린이들을 파악해 이 아이들의 성적 향상을 위해 조치한다는 원칙은 절대 공감하지만 무엇보다 학교 재원 확충과 지원 확대가 우선돼야 할 것"이라는 단서를 달았다.

 

또한 일부 초등학교 교장들도 “이미 교사들이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추가적인 테스트 도입은 불필요하다”면서 “교사나 어린이 모두에게 불이익만 안길 것”이라며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

 

한편 인디펜던트 스터디즈 연구소는 “1학년 대상 기초학력테스트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엄중한 분위기 속의 공식적인 시험이 아니라 교사와 어린이들간의 간단한 면접 방식으로 치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버밍험 연방교육장관은 “이를 위한 충분한 예산도 마련된 상태”라고 밝혔다.

 

©TOP Digital 

http://www.topdigital.com.au/node/4609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51 호주 소셜 미디어의 힘... WA의 핑크빛 호수, 중국 관광객 넘쳐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0 호주 호주 최대 국경일... 시드니서 즐기는 ‘Australia Day’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49 호주 2019년 NSW 신생아 최다 이름은 ‘Oliver’와 ‘Charlott’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48 호주 잘 쉬는 사람이 업무능률도 좋다... 2020년 휴일 최대한 활용하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47 호주 호주 역대 최악의 산불 상태, 관광산업에도 ‘타격’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46 호주 국가 총력전, 국민들도 나서서 “산불 피해 복구하자”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45 호주 우한 폐렴, 호주에도 전파될까... 방역 당국 여행 주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44 호주 대학 새내기들의 집구하기- 시드니 각 대학 인근의 임대료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43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예비 구매자 주택 검색 상위 지역(suburb)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42 호주 Now and then... 지난 10년 사이, 시드니 부동산 시장 변화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41 호주 호주 각 지역의 독특하고 재미있는 지명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40 호주 “극단적 기후 상황, 호주 정치 실패도 하나의 요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39 호주 NSW 주 산불, 시드니 경제에 하루 최대 5천만 달러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38 호주 호주 빈부격차 확대 여전... 억만장자들의 부, 더욱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37 호주 지난 10년 사이 호주인의 ‘구글’ 최다 검색어는 ‘산불’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36 호주 산불-우박 등 자연재해로 인한 보험 보상액, 20억 달러 육박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35 호주 시드니 경전철, 이번에는 승용차와 충돌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34 호주 Australian Day가 아니라 침략의 날?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33 호주 호주 우한 폐렴 확진 환자, 1월30일 현재 7명으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1932 호주 시드니 오틀랜즈 음주운전 참사에 지역 사회 ‘비분’ 톱뉴스 20.02.04.
1931 호주 중국 출발 외국인 호주 입국 금지…귀국 호주인도 2주 격리 조치 톱뉴스 20.02.04.
1930 호주 콴타스, 베이징, 상하이 직항 노선 운항 잠정 중단 톱뉴스 20.02.04.
1929 호주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12명으로 늘어 톱뉴스 20.02.04.
1928 뉴질랜드 2020년 한-뉴질랜드 참전용사 후손「비전캠프」개최 일요시사 20.02.05.
1927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2017년 이래 가장 큰 성장세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26 호주 지난해 광역시드니 일부 지역 주택가격, 3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25 호주 호주에서 가장 인종차별 심하고 행복도 낮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24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들, 태권도 수련으로 자신감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23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22 호주 호주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전 세계 57개 국가 중 최악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21 호주 지난 10년 사이의 시드니, Bigger-Wealthier-Denser-Crankier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20 호주 광역시드니 소재 일부 사립학교 학비, 연 4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19 호주 이상기온으로 산불 사태에 이어 이제는 독거미 경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18 호주 파라마타 도심 지나는 경전철 생긴다... 2023년 개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17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경계 속 ‘잘못된 정보-가짜뉴스’ 만연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16 호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From Wuhan to Australia- 타임라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15 호주 ‘전 세계 비상사태’ 불러온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정보 업데이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914 호주 호주 의료계, '신종 코로나' 사망 원인은 급성 폐렴! 치료시기가 가장 중요… 호주브레이크.. 20.02.08.
1913 호주 이민지 동생 이민우, 유러피언투어 첫 우승! ‘호주남매’ 낭보… 호주브레이크.. 20.02.09.
1912 호주 호주 산불, ‘집중 호우’로 20곳 이상 자연 진화…일부 지역 ‘산사태’ 우려로 이중고 호주브레이크.. 20.02.10.
1911 호주 아들 잃은 中여성 입국 허가한 호주... “정부차원에 협력” 호주브레이크.. 20.02.10.
1910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업데이트'...악성이메일 바이러스 탐지 호주브레이크.. 20.02.10.
190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올해 첫 경매시장, 402채 등록-낙찰률 79.9%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1908 호주 부동산 시장 신뢰 회복으로 시드니 주택거래량,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1907 호주 애주가들에게 경고, “술이 불법약물 보다 건강에 더욱 위험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1906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1905 호주 호주 대학들, ‘Times Higher Education’ 평가 순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1904 호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호주 모나쉬(Monash) 대학 개교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1903 호주 중국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호주 국제교육산업도 ‘비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1902 호주 기후-기상 관련 과학자들, 정치권에 ‘기후변화 행동’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