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알코올 1).jpg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암 발병으로 매년 2천5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가운데 호주인 각 개개인이 연간 알코올 소비를 1리터만 줄여도 간암 발병률을 15%가량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CAPR-FARE, ‘연령별 음주인구 감소에 따른 영향’ 연구에서 언급

 

매년 호주에서는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암 발병으로 2천500명 이상이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전체 암 사망 3%에 해당하며, 이중 유방암(1천330명)과 대장암(830명)이 가장 많다.

최근 영국 ‘London School of Hygiene and Tropical Medicine’ 연구팀이 지난해 주류제조 기업 27곳의 웹사이트 및 문서를 조사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알코올 섭취가 일부 암 발병률을 낮추기도 한다”며 “주류업계가 잘못된 주장을 퍼뜨리고 있다”고 지적한 가운데(본지 1260 보도), 호주인 개개인이 1년에 음주량을 1리터만 줄여도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또는 간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최근 들어 호주 전체의 음주량은 줄어든 반면 기존에 음주를 즐기던 이들의 알코올 소비, 다시 말해 주당들의 음주량은 더욱 늘어난 것으로 나타난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특히 50세 이상 남성의 암 사망 수치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암시적 증거를 제시한 결론이라고 금주 월요일(2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이번 보고서는 호주 라 트로보대학교(La Trobe University) 내 ‘알코올 정책연구소’(Centre for Alcohol Policy Research. CAPR)와 ‘알코올 연구-교육재단’(Foundation for Alcohol Research and Education. FARE)이 지난 1968년에서 2011년 사이, 성별-연령별 음주인구 감소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지난 20년 사이 호주인의 음주량은 연간 1리터 줄었으며, 이에 따라 남성의 두경부암 사망은 11.6%, 여성은 7.3%가 감소했다.

특히 알코올 섭취가 인체의 암 발병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은 50세 이상 남녀 모두에게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간암 발병률은 15%가 감소했다. 다만 각 개인의 알코올 소비와 췌장암 사망 사이의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알코올과 암 형태 사이의 관련성 또한 명확하지는 않았다.

그 동안 장기간의 알코올 섭취는 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이는 각 개개인별 연구를 통해 알코올과 암 관계가 다루어졌던 것이며, 호주 전체 인구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종합(알코올 2).jpg

알코올과 암 발병의 연관성에 대해 호주인들의 인식은 여전히 크게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50년간 알코올 섭취로 인한 두경부암 사망이 남성이 6.5%, 여성은 4.1%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또 알코올로 인한 남성의 간암 사망은 8.4%로 추정됐으며, 여기에는 흡연비율과 의료비 부담이 고려됐다.

‘CAPR’의 부소장인 마이클 리빙스턴(Michael Livingston) 교수는 “알코올이 특정 질환을 일으킨다는 역학적 증거를 통해 호주인의 질병군에 있어 알코올이 하나의 주요 원인이 된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보고서의 저자인 제이슨 지앙(Jason Jiang)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호주인들이 왜 알코올 섭취를 줄여야 하는지를 밝혀냈다”고 말했다.

‘FARE’의 마이클 손(Michael Thorn) 이사장은 “호주인들에게 있어 알코올이 암 발병 요인이 된다는 인식이 크게 부족하다”고 지적하면서 “이번 연구는 암 및 암 관련 질환과 사망을 줄이기 위한 공공보건 교육 차원의 캠페인, 알코올에 대한 보다 나은 공공 보건정책 및 알코올 가이드라인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 이사장은 이어 “성인의 경우 하루 두 잔 이상의 알코올을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는 공식 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호주인 가운데 알코올 관련 암 사망자는 매년 2천5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암을 비롯해 알코올 관련 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연간 5천500명에 이르며 내년 15만7천 명이 입원치료 수준의 병원 신세를 지고 있다. 이 같은 수치는 알코올이 호주인들에게 있어 가장 큰 보건문제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호주 1인당 알코올 섭취는 지난 1950년에서 1970년 사이 크게 증가했지만 최근 수십 년 사이 두드러지게 감소했다. 호주 통계청(ABS)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알코올 소비는 9년 만에 다시 증가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알코올 1).jpg (File Size:36.3KB/Download:19)
  2. 종합(알코올 2).jpg (File Size:30.9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01 호주 시드니 파란 하늘 사라졌다... 산불 스모그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00 호주 호주 의학계 "시드니 대기 오염, ‘공중 보건 비상 사태’" 강력 경고 톱뉴스 19.12.17.
1999 호주 NSW 주 산불 사태, 주말까지 ‘진행형’ 톱뉴스 19.12.17.
1998 호주 모리슨 총리 “기후변화, 산불 원인 제공” 첫 시인 톱뉴스 19.12.17.
1997 호주 호주 정부, 구글·페북 등 공룡 플랫폼 조준 ‘공정 경쟁 지침’ 도입 톱뉴스 19.12.17.
1996 호주 노동당, 석탄 수출 '반대' 정책 급선회 시사 톱뉴스 19.12.17.
1995 호주 연방정부 18개 부처, 14개로 축소 톱뉴스 19.12.17.
1994 호주 韓-호주 외교·국방장관 "北 긴장고조 중단·대화재개 촉구" 톱뉴스 19.12.17.
1993 호주 새해맞이 불꽃놀이로 번지는 최악의 산불 불똥 톱뉴스 19.12.17.
199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 드럼모인 소재 타운하우스, 입찰 경쟁으로 낙찰가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8.
1991 호주 2020년 호주의 실내 인테리어 트렌드는 ‘자연과의 통합’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90 호주 시드니-멜번 고급 부동산 가격,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9 호주 자동차 페트롤 가격, 가장 비싼 소매업체는 ‘Coles Express’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8 호주 호주 방문 인도 여행자 급증... 순수 ‘관광’ 비율은 낮은 편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7 호주 호주 원주민들의 성역, 울룰루만 있는 게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6 호주 호주 연구진의 시도, 알츠하이머 환자에 희망 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5 호주 한류의 힘... 한국에서 시작된 ‘먹방’, 호주인들에게도 ‘먹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4 호주 또 하나의 럭셔리 기차 여행, ‘Great Southern’ 서비스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3 호주 시드니 경전철, 개통 3시간 만에 기술적 결함으로 멈춰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2 호주 산불피해 돕기 초대형 자선 공연 ‘Fire Fight Australia’ 톱뉴스 20.01.14.
1981 호주 호주 사법당국 “가짜 산불 성금 모금 행위 엄단” 톱뉴스 20.01.14.
1980 호주 ‘산불’ 불똥 직격탄 맞은 스콧 모리슨…지지율 급락 톱뉴스 20.01.14.
1979 호주 노스 파라마타 맥도날드 터에 아파트 350채 건립 추진 톱뉴스 20.01.14.
1978 호주 페더러·윌리엄스·나달 등 호주 산불 피해 돕기 자선 경기 출전 톱뉴스 20.01.14.
1977 호주 '호주 산불 피해 성금’ 세계적 유명인사 기부 행렬…디캐프리오 400만 달러 쾌척 톱뉴스 20.01.14.
1976 호주 호주광산재벌 ‘통 큰 기부’...포리스트 회장 산불성금 7천만 달러 쾌척 톱뉴스 20.01.14.
1975 호주 역대 최악의 호주 산불 사태, 그 피해 규모는...? 톱뉴스 20.01.14.
1974 호주 2019년 호주 주택 가격, 2.3% 성장... 시드니-멜번이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73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가장 저렴하게 거래된 주택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72 호주 2020 호주 부동산 시장 전망- “주택가격 상승세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71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공항으로 가는 새 도로 2020년 착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70 호주 “전 세계는 지금 호주의 커피 문화에 매료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69 호주 올 1월 1일부터 변경된 정책과 규정들,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68 호주 “수개월 이어진 최악의 산불, 지울 수 없는 상처 남겼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67 호주 <산불피해 호주동남부> 집중 폭우에 돌풍…캔버라 ‘골프공 우박’ 강타 톱뉴스 20.01.21.
1966 호주 산불피해 호주동남부, 집중 호우 ‘강타’ 톱뉴스 20.01.21.
1965 호주 호주 사상 최악 산불 피해 성금 2억 달러 돌파 톱뉴스 20.01.21.
1964 호주 올해부터 적용되는 새 규정들 톱뉴스 20.01.21.
1963 호주 호주 산불 사태, ‘기후 난민’ 국가 될 수도… 기상악화에 집 포기 톱뉴스 20.01.21.
1962 호주 호주 산불 피해 직접 도울 수 있는 방법은? 톱뉴스 20.01.21.
1961 호주 호주오픈 테니스, 산불 때문에 이틀 연속 예선 진행 차질 톱뉴스 20.01.21.
1960 호주 역대 최악의 산불, 호주 통화정책 ·경제 지표에도 직격탄 톱뉴스 20.01.21.
1959 호주 부모로부터의 독립... 대학 새내기들 위한 주거지 마련 조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8 뉴질랜드 환경/화산/분출/폭발; 바닷속 뉴질랜드 화산 분출구 화이트 섬 일요시사 20.01.23.
1957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주택거래 활발했던 상위 지역(suburb)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6 호주 시드니 지역 아파트 임대료, 공급 부족으로 상승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5 호주 On the move... 국내이주로 인구 성장 혜택 받는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4 호주 생존율 10% 미만의 췌장암, ‘호주인의 치명적 질병’ 중 하나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3 호주 63개 국가 대상 ‘디지털 경쟁력’... 호주 14위로 순위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2 호주 전 세계 여행자들, ‘방문할 만한’ 가장 아름다운 도시로 파리 꼽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